첨가제가 배접용 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콩, 석회, 황랍, 백반 첨가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Additives on the Properties of Pasting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 조경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수원) ;
  • 이영희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Baek, Young-M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 Kyoung-Sil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Young-H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6.16
  • 심사 : 2011.08.16
  • 발행 : 2011.09.20

초록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풀을 조제하여 배접하는 경우 첨가제가 풀의 성질 및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향후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용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에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類全集), 다능비사(多能鄙事), 죽여산방잡부(竹嶼山房雜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반과 황랍을, 장황지(裝潢志)와 제민요술(濟民要術)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회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그 특성 즉, 점도, pH, 유연성, 박리강도, 항균성, 방미성, 보존성 등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첨가제 고유의 특성이 풀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반은 유연성을 증가시켰으나, 점도, 접착강도, pH는 감소시켰으며, 황랍은 유연성, 점도, 접착강도, pH를 모두 감소시켰으며, 석회는 유연성, 점도, pH, 접착강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raditional paste materials and additives for investigation were selected through careful literature survey. We used the immersed glutinous rice flour, soybean as a traditional paste materials and a yellow wax, alum, and lime as additives. The effect of additives on viscosity, pH, adhesive strength, flexibility, antibacterial activities, mildew resistance, and conserva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viscosity, pH, and adhesive strength)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ditives. Alum increased flexibilty but decreased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Yellow wax deceased flexibilty,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Lime increased flexibilty, viscosity, adhesive strength, and pH. The conservation properties increased by adding all additive. The present work was therefore carried out with the objective of offering the base datum for keeping traditional papers and textiles using traditional paste.

키워드

참고문헌

  1. 조흥윤, G. Prunne, "장황-한국에서의 동아시아 그림 처리법". 동방학지, 49, (1985).
  2. 조흥윤, "장황 문화의 뜻과 길". 고문화, 33, (1988).
  3. 천혜봉, "한국전적장황고". 대동문화연구, 25, (1990).
  4. 안희균, 김기섭, "표구의 과학". 보존과학연구, 9, (1988).
  5. 박지선, "동양 회화 문화재의 보존". 고문화, 54, p105-127, (1999).
  6. 최태호, "충북대학교 박물관소장 16-19세기 지류문화재의 특성". 보존과학회지, 16, p27-38, (2004).
  7. 박지선, "왕실자료의 보존과 관리". 古典籍, 2, (2006).
  8. 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9. 山林經濟.
  10. 裝潢志.
  11. 古今秘苑續錄 第8券.
  12. 백영미, 권영숙, "통밀 삭힌풀의 푸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과학기술학회지, 4, p87-106, (1998).
  13. 전지연, 박지선, 김강성,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전분과 단백질의 함량에 따른 접착력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12, p83-91, (2003).
  14. 조경실, 이영희, 정병준, "동아시아 전통 콩풀에 관한 문헌 연구". 동국사학, 49, p377-398, (2010).
  15. 백영미, "장황용 풀에 사용된 약재에 관한 문헌연구". 한국민족문화, 33, p455-486, (2009).
  16. 本草綱目.
  17. 김중권, 고서의 벽두방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 (1989).
  18. American Association for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 Test Method 100-2004, "Antibacterial Finishes on Textile Meterials". AATCC, p149-151, (2005).
  19. 歷代名畵記.
  20. 전지연, "장황에 쓰인 풀에 관한 문헌연구". 생활문물연구, 19, p5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