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존성

Search Result 4,53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김치의 보존성 증진 방안

  • 김순동;오영애;김미경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 no.1
    • /
    • pp.71-80
    • /
    • 1996
  • 김치의 보존성을 높여 가식기간을 연장시키고져 하는 연구는 김치의 숙성원리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근에 있어서도 저온관리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주로 김치의 미생물 생육을 제어함으로서 보존성을 증진코져하는 시도가 많았다. 김치의 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함에도 일부 측면에 한정하여 보존성을 다룸으로서 지금까지 얻어진 효과가 미흡하지 않았나 판단된다. 김치 보존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몇가지 항목들은 (1)재료의 청정화 (2)소금절임에 대한 과학화 (3)효소저해제 개발 (4)호모형 젖산균의 선택적 저해 (5)완충제 및 중화제의 개발 (6)신맛의 완화 및 억제 물질 개발 (7)철저한 저온관리 등이다. 따라서 김치의 보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측면에서 그리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서 보존성문제에 대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Application of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 Stack Room (서고환경관리를 위한 보존성 평가지수 활용에 관한 연구)

  • Yoon, Dai-Hyun;Shin, Hyun-Cha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1
    • /
    • pp.139-161
    • /
    • 2012
  • Donald K. Sebera model can quantitatively compare the preserving environment by calculating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with changing on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is study, Donald K. Sebera model was used in order to compare and evaluate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on the best condition and the worst condition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ange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s the results,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in the best conditions was larger 2.47 times than the worst conditions within the preserving environment permitted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lso, the influence of the humidity on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of a paper archives as decreasing the activation energy for the hydrolysis reaction was larger rather than temperature. Thus the preserving valuation index can easily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preserving a archive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useful tool for preservation of archives on chang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ffect of alkali chemical compound on paper properties for acidic papers preservation (산성지 보존을 위한 알카리 토금속 화합물이 종이물성에 미치는 영향)

  • 최찬호;신종순;마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int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45-45
    • /
    • 2001
  • 자료의 보존에 있어서 종이의 열화로 인해 자료의 분석, 열화메커니즘의 해석, 종이의 보존이란 측면 하에서의 관심이 서서히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요성도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성지를 중성화하는 화학적시스템, 즉, 탈산성화처리는 알카리계금속(Ca, Mg, Zn, Na)과 유기용매, 수용성용매를 이용하여 이들 약품을 종이내에 침투시켜 중성화(pH 6-8) 함으로써 종이의 주성분인 cellulose를 보다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산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탈산처리란 화학적으로 종이속에 생기는 산 또는 산을 발생하는 물질을 알칼리물질로 중화하는 것이다. 또한 중화후 알칼리 물질이 종이에 잔류하면 장래에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산이나 외부(대기중의 오염물질 등) 로부터 침입하는 산도 중화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성초지법에 의해 제조된 용지들의 열화특성과 알카리 토금속을 처리한 후에 알카리도를 상승시킨 용지의 열화특성을 물리·화학적 변화를 통하여 종이의 보존성을 비교 검토·규명함으로써 문(도)서의 보존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며, 보존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 PDF

Adhesives Used in Conservation Treatment of Oriental Paintings -Comparison of Adhesiveness and Conservativeness in Relation to Starch and Protein Contents of the Adhesive Formula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 - 전분과 단백질의 함량에 따른 접착력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 Chun, Ji Youn;Park, Chi sun;Kim, Kang Su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2 no.1 s.15
    • /
    • pp.83-91
    • /
    • 2003
  • The paste used for conserving and mounting has much to do with the life of cultural properties of paintings. Previous studies on the pastes dealt with elimination of protein from wheat flour as protein has been known to do harm to paste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arch and protein content on adhesive strength and conservativeness. We found that protein content inversely affected adhesive strength while adhesive strength and viscosity of paste were proportionally related to starch concentration of the paste. The adhesives with more protein showed less conservativeness. Types and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found to increase as protein percentage increased. All these results points that the higher content of protein in adhesive formula support higher microbial growth with reduced adhesive strength, but higher flexibility. The optimized paste of conservation treatment was wheat starch paste with not only minimize viscosity but also maximized adhesive strength.

  • PDF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Authenticity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 With Focus on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Wonju Beopcheonsa Temple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따른 원형보존과 진정성 고찰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Tae Jong;Cho, Ha Jin;Park, Hee Jeong;Kang, San Ha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259-268
    • /
    • 2019
  • Stone cultural heritage will either be damaged by composite damage or will lose its original historical authenticity starting with the moment it is created. Various artificial interventions to restore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have been described, centering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case of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the Wonju Beopcheonsa Temple Site. Restoration of the Jigwang stone pagoda was carried out after securing al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ans for the research and protec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question. Since its restoration was promoted to retain its aesthetic and historical value and was based on a careful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materials and prototypes, extensive restoration was sought, which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resulting in both preservation and authenticity.

Management of the Preservation Media for Electronic Records (전자기록물을 위한 보존매체의 관리)

  • Song, B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4
    • /
    • pp.177-192
    • /
    • 2005
  • Traditional paper records have two aspects such that the paper records are information, and are information media itself. The preservation media for the paper records seems to be another forms for original ones including microfilm and optical disks. On the other hand, new-coming electronic records lack the aspect of information media. To guarantee the existency of the original electronic records we need the preservation media for the electronic records, different from the media for the traditional paper records. The preservation media helps the Authenticity, integrity, and usability as well.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the preservation media, identifies problems on the existing concept for them, derives the principle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suggests the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s.

Long-term Preservation of Private Digital Heritage (개인 디지털 유산의 장기보존 방안)

  • Lee, Byoung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07-109
    • /
    • 2012
  • 현재의 고도 디지털 정보화 사회에서는 많은 자료들이 디지털로 생산, 관리, 이용, 보존되고 있으며 이들의 안전한 장기보존은 역사의 연속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대규모 조직에서는 조직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런 디지털자료의 보관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개인의 디지털 자료는 영속성 있게 보관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이 소유한 디지털 유산도 안전하게 장기보존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기술적 방안들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PDF

Conservation & restoration works for ceramic objects of Hanam Museum of History (하남 역사박물관 소장 도.토기(陶.土器) 보존처리)

  • Mun Seong-Hui;Seo Jeong-Ho;Kim Se-Min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00-206
    • /
    • 2005
  • 보존 처리된 유물은 경기도 하남시의 발굴현장에서 수습된 도토기로, 박물관의 소장유물로써 지역사(地域史)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유물의 상태를 고려한 보존처리작업이 계획되었다. 보존처리작업은 가역성(可逆性)과 경제성에 중점을 두어, 박물관에서 이미 책정된 보존처리예산의 한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알맞은 약품과 재료를 선택하여, 복원작업이 필요한 부위 역시 추후 재처리작업이 필요할 때 해체가 용이한 기법을 이용하였다.

  • PDF

A Preservation of Materials for the Records (자료매체의 보존성)

  • 신종순;최찬호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 /
    • pp.71-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of preservation for paper, microfilm, digital media. First of all, for acidic papers produced in 19~20 centuries,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ses deterioration and factors causing deterioration. For book, also, environmental condition for preservation, and a preservation mechanism through acid-free procedure were suggested. Second for microfilm, it emphasiz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xidised substance during developing film, materials related to preservation. Third, for digital storages, storage conditions and needs, such as life-cycle and capacity were introduced.

  • PDF

Chitosan 및 Oligochitosan을 첨가한 창란젓의 보존 효과

  • 김우재;김상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94-95
    • /
    • 2000
  • Chitosan은 식품산업, 의료·의약, 환경, 농업 등 거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는 새로운 천연 기능성 물질이다. 최근에는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chitosan 및 oligochitosan을 활용하여 식품의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Chitosan은 축육소세지 (Park et al., 1999) 및 김치 (Yoo et al., 1998; No et al., 1995)에 대하여 보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저염 명란젓 (Kim, 1996)에는 보존 효과가 거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저염 창란젓의 유통기간 연장 및 기능성 강화를 할 목적으로 chitosan 및 oilgochitosan을 첨가한 창란젓의 숙성기간에 따른 보존성을 연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