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Pigment Analysis for Wall Paintings According to Verification of Penetration Depth for X-ray: Ssanggyesa Daeungjeon (Main Hall of Ssanggyesa Temple) in Nonsan

  • 전유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Chun, Yu-G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6.17
  • 심사 : 2011.09.05
  • 발행 : 2011.09.20

초록

이 연구에서는 안료층에 대한 X-선의 투과깊이를 산출하여 벽화안료의 효과적인 P-XRF 분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P-XRF에서 발생한 X-선은 안료의 1.17mm까지 투과가 가능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X-선의 투과깊이와 특성을 활용하여 논산 쌍계사 대웅전 벽화에 채색된 8가지 색상의 안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안료는 전통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근대에 복원한 벽화는 원래의 벽화와 색상은 유사하지만 현대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have suggested effective P-XRF analysis method for pigment painting layer by calculating penetration depth of X-ray. This experiment calculated that X-ray generated from P-XRF was possible penetration until 1.17mm deep in the pigment paint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nalysis for eight color pigments on wall paintings in Ssanggyesa Main Hall, most pigments were painted traditional pigments. However pigments on recently restorated wall painting were used synthetic modern pig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Winter, J., "한국 고대안료의 성분분석". 미술자료, 43, p1-36, (1989).
  2. 홍종옥, 정광용, "금산사 벽화 안료성분에 관한 비교 분석". 보존과학연구, 13, p73-82, (1992).
  3. 김사덕, 이은희, 엄두성, 조남철, "봉정사 극락전 벽화조사(I)". 보존과학연구, 20, p175-207, (1999).
  4. 조남철, 문환석, 홍종옥, 황진주, "경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보존과학연구, 22, p93-114, (2001).
  5. 조남철, 홍종옥, 문환석, 황진주, "봉정사 극락전 벽화안료의 재질분석 연구(II)". 보존과학연구, 21, p119-144, (2001).
  6. 한민수, 홍종옥,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쌍계사 탱화안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4, p131-152, (2003).
  7. 한민수, 홍종옥,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존과학연구, 26, p165-188, (2005).
  8.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연구소, "무위사 극락전 내벽 사면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연구소, p47-75, (2006).
  9. 한림보존테크, "흥국사 대웅전 전수월관음 벽화 및 무사전외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 여수시청, p58-80, (2008).
  10.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 p383-398, (2009).
  11. 성보문화재연구원, "한국의 사찰: 사찰건축물 벽화조사보고서-충청남도․충청북도". 문화재청, p133-15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