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corporial substance by Leibniz (2): Is the corporial substance a substance?

라이프니츠에서 물체적 실체의 문제 (2): 물체적 실체는 하나의 실체인가?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Leibniz regards a corporeal substance, which is composed of monads, as 'one substance' and tries to prove that it has a true unity. This position seems to be contradictionary to his Monadology. Therefore, many scholars have ignored Leibniz's stand that corporeal substance is 'one substance', or consider this only as a stand from his theory of substance in his early works, which has been discarded afterwards. This Research will show that Leibniz adheres to this position throughout his lifetime; that although Leibniz uses the concepts such as substantial form and substantial bond to explain his stand, but the concept of substancial bond doesn't fit in with his philosophical system; that to explain the unity of the corporeal substance, the concept of substancial form and the theory of preestablished harmony are sufficient; and that nevertheless the stand that the corporeal substance is 'one substance' inconsistent with the position that the monad is 'one substance'; and that if Leibniz abandons that stand, the theory of the corporeal substance is a good foundation of his panorganism.

모나드를 근본적인 실체로 삼고 있는 라이프니츠는 동시에 모나드들로 구성된 물체적 실체를 또 '하나의 실체'라고 부르고 그것이 그 자체로의 단일성을 가짐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라이프니츠의 이러한 입장은 모나드론과 모순되어 보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물체적 실체가 하나의 실체라는 라이프니츠의 주장을 단순히 무시하거나, 중기 실체론에서 일시적으로 주장하다가 철회한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라이프니츠가 물체적 실체가 하나의 실체라는 주장을 중간에 일시적으로 유보하고 있기는 하지만 생애 말기까지 계속해서 주장한다는 것을 보이고, 또 물체적 실체가 진정한 단일성을 갖는다는 주장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체적 형상 및 실체적 연결 끈 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체적 연결 끈은 라이프니츠가 생애 말기까지 견지했던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체계와 조화될 수 없으며, 그러나 물체적 실체가 그 자체로의 단일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실체적 형상과 예정조화설만으로도 충분함을 보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체적 실체가 하나의 실체라는 주장은 모나드가 하나의 실체라는 주장과 조화될 수 없으며, 물체적 실체가 하나의 실체라는 주장만 포기하면 물체적 실체에 관한 이론은 라이프니츠의 범유기체론의 토대가 됨을 밝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KRF-2009-327-A0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