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원의 시험착용 콘택트렌즈 및 관리용품 관리 실태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rial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Products in Local Optical Shops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운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Park, Mijung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Unjung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So Ra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1.11.03
  • 심사 : 2011.12.17
  • 발행 : 2011.12.31

초록

목적: 국내 안경원의 시험착용렌즈와 관리용품의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관리 소홀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성을 낮추고자 하였다. 방법: 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을 대상으로 시험착용렌즈의 착용 시 느끼는 점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콘택트렌즈를 취급하는 안경원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시험착용 콘택트렌즈인 미용렌즈와 RGP 렌즈 그리고 렌즈 관리용품의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시험착용 미용렌즈와 RGP 렌즈의 경우는 98% 이상의 안경사들이 렌즈 착용 전후 세척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렌즈의 위생 상태를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착용 미용렌즈의 착용 전 세척은 생리식염수 38.5%, 전용 다목적 용액 40.5%, 생리식염수와 다목적 용액의 병행 사용 21%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착용 후 세척은 생리식염수 13%, 다목적 용액 75%, 생리식염수와 다목적 용액의 병행이 12%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시험착용 RGP 렌즈의 경우는 착용 전 세척에는 생리식염수가 28.5%, 전용 다목적 용액이 38.5%, 식염수와 다목적 용액 병행이 33%로 나타났으며, 착용 후 보관전 세척은 식염수가 2.5%, 다목적 용액이 70%, 다목적 용액 세척 후 식염수 세척은 27.5%를 차지하여 비교적 세척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안경원에서 시험착용 미용렌즈의 세척은 주로 열흘에서 1개월을 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냈고, 보관용기의 세척은 1 개월을 주기로 이루어졌다. 시험착용 RGP 렌즈의 세척주기는 주로 1개월 또는 2~3개월이었다. 시험착용렌즈 보관용기의 경우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찬물로 헹구는 경우가 75% 이상으로 나타났다. 관리용품인 생리식염수의 보관기간은 주로 일주일로 나타났고, 다목적 용액의 보관기간은 주로 1개월이나 2~3개월로 나타나 안경원에서 렌즈 관리용액의 보관기간은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안경원에서의 시험착용렌즈 및 관련 관리용품의 관리는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이루지고 있었으나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세척을 지양하고, 2주 이내의 세척주기와 뜨거운 물로의 렌즈 보관용기 헹굼이 추가적으로 강화된다면 국민의 눈 건강 증진과 더불어 안경사에 대한 더 높은 신뢰성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rial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products in local optical shops was surveyed and analyzed to reduce the risk of lens complication possibly induced by neglecting lens care. Methods: The feeling of contact lens wearers during the wear of trial contact lenses was surveyed. Futhermore,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rial contact lenses such as cosmetic lens and RGP lens and lens care products was also investigated by surveying opticians who trade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sumers trusted the sanitary conditions of the lens since trial cosmetic contact lens and RGP lens were cleaned before and after trails by over 98% of opticians in local optical shops. For trial cosmetic lens, cleaning with normal saline, multipurpose solution for soft lens and combination of saline and multipurpose solution were 38.5%, 40.5% and 21%, respectively, before trials. After trials, cosmetic lenses were cleaned with normal saline, multipurpose solution for soft lens and a combination of saline and multipurpose solution were 13%, 75%, and 1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leaning with normal saline, multipurpose solution for RGP lens and combination of saline and multipurpose solution were 28.5%, 38.5% and 33%, respectively, before trying trial RGP lens. After trials, RGP lenses were cleaned with normal saline, multipurpose solution for RGP lens and a combination of saline and multipurpose solution were 2.5%, 70%, and 27.5%,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relatively many opticians followed the lens cleaning regimen. In local optical shops, the cleaning trial cosmetic lens was mainly conducted at every 10 days or a month and the washing cycle of cosmetic lens case was in a month or 2~3 months. The cleaning interval of trial RGP lens was primarily in a month or 2~3 months. For those lens cases, more than 75% of opticians washed them with a surfactant and then rinsed with cold water. The storing periods of lens care products were primarily in a week for saline and in a month and 2~3 months indicating that storing period of lens care products was relatively well-kept in local optical shops.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the concern about any microbial infection is not that high since trial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products were generally well-managed by opticians in local optical shops from the results above. However, better public eye health and better public confidence in opticians may be possible if further strengthen in avoidance of lens cleaning with saline, keep of cleaning cycles within 2 weeks and rinsing of lens cases with hot water happen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훈, 민경록, 성아영, "대학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0(2): 151-157(2005).
  2. 신재현, "콘택트렌즈의 저장 케이스의 위생관리에관한연구", 한국안광학회지, 5(2):33-42(2000).
  3. 한국안경신문, "식약청 렌즈의 유통기한, 시험착용 실태 조사"(2007), 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3(2007.08.13.).
  4. 식품의약품안전청, "콘택트렌즈 관리 및 사용방법에 대한 안내문"(2009), http://www.kfda.go.kr/index.kfda?mid=50&pageNo=63&seq=3204&cmd=v(2009.06.19.).
  5. 대한안경사협회, "2009 시험착용렌즈 설문조사 분석결과" (2009), http://www.optic.or.kr/cate_02/content.asp?board_id=notice&ref=379&step=1&page=9&code=&board_kind_sub=(2009.6.19.).
  6. 대한안경사협회, "미용렌즈, 무분별 노출.관리체계 전무" (2010), http://www.optic.or.kr/Cate_03/eOpticnews.asp?nmode=view&OnsSeq=171&search_what=&keyword=&search_type=4&page=1&conts=6&Con_name=%BF%AC%C1%DF%C4%B7%C6%E4%C0%CE(2010.7.12.).
  7. 보건복지부 공포 법률 11102호,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12조"(2011), http://www.law.go.kr/LSW/nwRvsLsInfoR.do?lsiSeq=118873(2011.11.22.).
  8. 고훈, 김은혜, 이흠숙, 박미정, "샘플착용 미용 콘택트렌즈의 세균 오염에 대한 관리방법", 한국안광학회지, 13(1):21-26(2008).
  9. 차흥원, 한태원, 한영호, 김재찬, "콘택트렌즈 및 콘택트렌즈 저장 용기의 오염도", 대한안과학회지, 41(2):349-355(2000).
  10. 박현주, 박동화, 김재민, 이기영, "Soft Contact Lens 다목적용액의 단백질 제거 효능에 관한 연구", 3(2):143-149(2001).
  11. Koffler B. H. and Karpecki P. M., "Positive aspects of the use of multipurpose disinfection solutions", Arch. Ophthalmol., 127(11):1540-1543(2009). https://doi.org/10.1001/archophthalmol.2009.289
  12. Campbell R. and Caroline P., "Multipurpose non-keratitis", Contact Lens Spectrum, 12:56(1997).
  13. McLaughlin-Borlace L., Stapleton F., Matheson M., and Dart J. K., "Bacterial biofilm on contact lenses and lens storage cases in wearers with microbial keratitis", J. Appl. Microbiol., 84(5):827-38(1998). https://doi.org/10.1046/j.1365-2672.1998.00418.x
  14. Gray T. B., Cursons R. T., Sherwan J. F., and Rose P. R., "Acanthamoeba,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storage cases", Br. J. Ophthalmol., 79(6):601-605(1995). https://doi.org/10.1136/bjo.79.6.601
  15. 김명혜, 박미정, "관리 용품에 따른 RGP 렌즈의 세척효과 및 습윤성 차이", 한국안광학회지, 11(1):27-34(2006).
  16. 박미정, 하주령, 이영민, 한현우, 김성태, "사용기간 및 온도에 따른 소프트 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의 변화", 한국안광학회지, 9(2):381-389(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