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법칙을 이용한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의 분석

Analysi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Depth in Tinted Lenses Using the Law of Diffusion

  • 투고 : 2011.10.29
  • 심사 : 2011.12.17
  • 발행 : 2011.12.31

초록

목적: 확산법칙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방법: Fick의 제2확산법칙을 바탕으로 유도된 이론적 맞춤곡선을 측정값에 맞춤한다. 결과: 맞춤곡선은 측정값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착색렌즈의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간 단위면적당 착색용액의 질량과 착색시간 사이의 관계, 착색렌즈 내 착색염료에 대한 농도분포, 확산깊이 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착색렌즈의 착색기전은 확산법칙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Purpose: To study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depth in tinted lenses using the law of diffusion. Methods: The measured values taken from experiments were fitted with the theoretical fitting curve induced on the basis of Fick's second law of diffusion. Results: The fitting curves were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values. As the results, we foun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mass of dye solution diffused into the tinted lens per unit area and dyeing time, and evaluat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dye in tinted lens, diffusion depth, etc. Conclusions: The dyeing mechanism of tinted lenses can be well described by diffusion theory.

키워드

참고문헌

  1. 마기중, "안경용 플라스틱 착색렌즈의 시감투과율 측정", 서울보건대학 논문집, 12(1):165-170(1992).
  2. 임현선, 지택상, 김봉환, "선글라스 렌즈의 광학적 성능", 한국안광학회지, 5(1):193-198(2000).
  3. 박문찬, 정부영, "착색렌즈의 UV 차단효과와 UV TESTER 평가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7(2):129-134(2002).
  4. 정병만, 박광호, 김용근, "착색시간에 따른 칼라렌즈 색좌표 이동", 한국안광학회지, 8(1):53-57(2003).
  5. 이원진, 성덕용, 육도진, 강성수, 장윤석, 박상철 등,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선글라스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9(1):125-134(2004).
  6. 정주현, "착색렌즈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4(2002).
  7. 최은정, 정주현, 김현정, 서원, 주영준, 양계탁, "CR-39 플라스틱 칼라렌즈에서 착색시간에 따른 총분광투과율", 새물리, 59(3):272-277(2009).
  8. Jost W., "Diffusion in Solids, Liquids, Gases", Academic, New York, Chap. 1(1970).
  9. Crank J., "The mathematics of Diffusion", 2nd ed., Oxford Science Publications, New York, Chap. 3(1990).
  10. Park J. W., Lee W. J. and La S. K., "Diffusion in Solid", KAIST, Daejeon, Chap. 1(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