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evaluation systems and BSC systems affecting performances in governmental offices, A case of Korea Postal Office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시스템과 BSC의 통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정사업본부 사례 -

  • Received : 2011.06.21
  • Accepted : 2011.07.1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ies shows that Balanced Score-Card(BSC)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customer-oriented or finance-ori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utilization of BSC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Second,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rporate performance. Third, utilization of Balanced Score-Card(BSC)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공공기관은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경쟁 환경 속에서 계속기업으로 존속 발전하기 위하여 경영전략을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 관리기법들을 도입함으로써 대외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효과적인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공공기관은 경영성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보상을 위한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BSC 및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BSC가 성과평가지표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BSC의 활용정도에 따라 성과평가유형에 미치는 영향, 성과평가유형과 경영성과간의 영향, BSC활용정도에 따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구배, 이문식, 강태호, "금융기관고객의 만족도와 재무성과간의 상호 관련성 연구" 재무와 회계정보저널, 제9권 제2호, 2009.
  2. 김종원, 김은정, "SCM 기업들의 IT전략이 IT투자와 경영성광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2, 2009년, pp.59-71.
  3. 김태만. "중앙인사위원회의 직무성과계약제". 인사행정, 2004, pp. 25-32.
  4. 김태정, 공공부문 성과관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pp.25.
  5. 나선채, 내부서비스품질이 내부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대학원 경 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pp. 27-106.
  6. 박경원, "전략과 성과측정시스템의 이용 및 측정의 다양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07년 대한회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7. 박해육,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의 비교 및 통합방안", 지방행정연구, 제21권 제2호, 2007. 6월, pp.117-149.
  8. 송재기, "새로운 정부업무평가 추진방향" 평가리뷰, 제1권, 제1호, 2006. pp.8-19.
  9. 안영철, 제약회사의 부문별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 경영학과 42회 석사학위논문, 2001, pp. 58-60.
  10. 안태식, 김완중, "고객만족과 재무성과 간의 관계" 회계학연구, 제25권, 제1호, 2000, pp.75-95.
  11. 유상준, 김병건, 최종화, 임춘성,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한 내.외부 역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4, No.1, 2009년, pp.17-31.
  12. 유원종, "비재무적 성과측정 활용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환경 불확실 성의 조절 효과", 회계연구, 제6권 제1호, 2001, pp.121-139.
  13. 윤종원, SCM과 BSC의 도입이 성과평가유형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 회계학과 77회 박사학위논문, 2005.
  14. 이선화, AHP를 활용한 컨벤션센터의 성과평가와 성과의 구조적 관계, 동국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pp. 108-134.
  15. 이세구, 성과주의 예산제도 도입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성과 관리방안, 한국지방재정논집, 2003, pp.135-159.
  16. 이재범, 남기찬, 한희영, "ERP시스템 도입전략 및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99춘계학술대회논문집, 1999, pp. 247-260.
  17. 이윤식.제갈돈.김주환.김홍률.윤기석.박재신, 국가평가인프라구축을 위한 통합적 성과관리체계에 관한연구, 정책기획위원회, 2004, pp. 45-53.
  18. 이창우,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지표체계의 균형에 관한 실증분석, 중앙대학교 회계학전공 제76회 박사학위논문, 2004, pp. 110-114.
  19. 이창대, 김봉기, "균형성과표 도입시 변화관리의 효율성과 성과지표의 적합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제12권 제1호, 2007, pp.47-71.
  20. 이창수, 박승식, 균형성과표에 의한 원가관리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제18권, 2002, pp.73-89.
  21. 이충섭, "시장환경에 따른 균형성과정보의 사용정도와 기업성과", 재무와회계정보저널, 제7권,제2호, 2007, pp. 115-135.
  22. 최무진, "국내 ERP연구에 대한 고찰과 과제", 한국경영정보학회 99춘계학술대회논문집, 1999, pp. 285-292.
  23. Hoque, Z, and W. James,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 :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Vol.12, 2000, pp. 1-17. https://doi.org/10.2308/jmar.2000.12.1.1
  24. Kaplan, R. S., and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Th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February, 1992, pp. 71-79.
  25. Poister, Theodore H. and Gregory Streib. "Performance Measurement in Municipal Government: Assessing the State of the Pract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9, No.4, 1999, pp. 325-335. https://doi.org/10.2307/3110115
  26. Wholey, Joseph S. and Hatry, "The Case for Performance Monitori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52, No.11, 1992, pp. 604-610. https://doi.org/10.2307/977173

Cited by

  1. The Effect of Integrative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on Employee Role Clarity and Job Performance vol.55, pp.None, 2011, https://doi.org/10.21073/kiar.2014..55.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