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phone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이문봉 (동의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1.09.07
  • Accepted : 2011.11.0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Smartphone is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that converges PDA into a mobile phon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phon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are composed of the subjective norm,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cost relevance.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from 289 students who are using a smartphon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subjective norm, innovativeness, perceived usefulness, the perceived enjoyment, and cost relevanc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phone,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ot. Second, the perceived enjoyment is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the intention to use.

스마트폰은 PDA와 같은 고급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전화로서 대표적인 컨버전스 기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사용 의도의 독립 변수로 주관적 규범, 혁신성,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유희성과 비용의 적정성을 설정하여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289명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설문 분석한 결과는 다음파 같다. 첫째, 주관적 규범, 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유희성, 비용 적합성은 스마트폰 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된 유희성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현, 권순동,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참여가 밀착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2호, pp. 41-72, 2008.
  2. 곽기영, 이유진,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모바일뱅킹 사용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7권, 제2호, pp. 85-100, 2005.
  3. 김경규, 류성렬, 김문오, 김효진, "모바일 웹 브라우징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Management, 16(1), pp. 149-168, 2009.
  4. 김경남, 박지혜, 정도범, "스마트폰 특성이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 저항성의 조절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20권, 제2호, pp. 57-80, 2011.
  5. 김병곤, 박순창, 김진화, 김종욱, "국내 기업의 인트라넷 수용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3권, 제4호, pp. 147-169, 2003.
  6. 김수연, 이상훈, 황현석,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1), pp. 29-39, 2011. https://doi.org/10.3923/itj.2011.29.39
  7.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 특성이 스마트폰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 318-326, 2010.
  8. 김윤지, "IT산업 지각변동의 축, 스마트폰", 한국수출입은행, Issue Briefing, 제14호, 2010.
  9. 남종훈, "DMB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2호, pp. 143-188, 2007.
  10. 문현필, 옥석재, "모바일 서비스 사용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4권, 제2호, pp. 133-154, 2005.
  11.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 227-252, 20110.
  12. 신현식, "인지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 인터넷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혁신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9권 제3호, pp. 209-236, 2010.
  13. 양희동, 문윤지, "정보기술 수용에 있어서 사용자 특성과 정보기술 특성에 따른 사회적 영향의 차이",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97-120, 2005.
  14. 오종철,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 UTAUT 모형에 대한 재평가", 경영학연구, 제39권, 제1호, pp. 55-79, 2010.
  15. 유일, 최혁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영향이 플로우,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7권, 제2호, pp. 113-135, 2008.
  16. 윤승욱, "모바일 인터넷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3호, pp. 274-301, 2004.
  17. 윤승욱, "IPTV의 수용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1호, pp. 162-197, 2009.
  18. 이금실, 이형용, "스마트폰 서비스에 대한 여행자의 지각이 태도와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관광학연구, 제35권, 제2호, pp. 271-292, 2011.
  19. 이문봉, "e-Learning 플로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85-94, 2010.
  20. 이문봉, 김은정,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참여 동기와 사회적 영향 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14권, 제2호, pp. 191-214, 2005.
  21. 이봉규, 여윤기, 김기연, 이종훈, "신회와 인지적 몰입 매개변수가 스마트폰의 사용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 471-480, 2010.
  22. 이원빈, 정경수, "모바일 커머스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2007년 추계 공동 국제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pp. 123-129, 2007.
  23. 이웅규, 이승헌, "정보기술사용에서의 놀이성, 유용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미니홈피 사용을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3호, pp. 91-109, 2005.
  24. 정현우, "스마트폰과 미래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지, 제8권, 제2호, pp. 28-33, 2010.
  25. 조선경제, "스마트폰 가입자수 1500만명 돌파..가입자 3명중 1 명꼴", 2011년7월13일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13/2011071301671.html
  26. 한미란, 이성주, 박범, "Widget 인터페이스 영향 요인 분석: 속성을 고려한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 127-137, 2010.
  27. 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5권, 2호, pp. 277-313, 2011.
  28. .R Argawal and J. Prasad,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9, issue 2, pp. 204-215, 1998. https://doi.org/10.1287/isre.9.2.204
  29.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Vol. 50, pp. 179-21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30. I. Ajzen and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1980.
  31. G. C. Bruner and A. Kumar, "Explaining consumer acceptance of handheld Internet devi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8, Issue 5, pp. 553-558, 2005. https://doi.org/10.1016/j.jbusres.2003.08.002
  32. J. V. Chen, D. C. Yen and K. Chen,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the Innovative Smart Phone Use: A Case Study of a Delivery Service Company in Logistics",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6, Issue 4, pp. 241-248, 2009. https://doi.org/10.1016/j.im.2009.03.001
  33. F. D. Davis,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Doctorial Dissertation, Sloan School of Management, MIT, 1986.
  34. F. D. Davis, R. P. Bagozzi and P. R. Warshaw,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22, Issue 14, pp. 1111-1132, 1992.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2.tb00945.x
  35. C. H. Hsiao and C. Yang,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Co-citatio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 31, Issue 2, pp. 128-136, 2011.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10.07.003
  36. K. C. Laudon and J. P. Laudon. Essentials of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Prentice Hall, 7th Edition, 2006.
  37. J. C. Lu, C. Y. Liu and K. Wang, "Determinants of Accepting Wireless Mobile Data Services in China,"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6, Issue 1, pp. 52-64, 2008.
  38. J. Moon and Y. Kim,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VOl. 38, Issue 4, pp. 217-230, 2001. https://doi.org/10.1016/S0378-7206(00)00061-6
  39. C. E. Porter and N. Donthu,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Explain How Attitudes Determine Internet Usage: The Role of Perceived Access Barriers and Demographic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9, pp. 999-1007, 2006. https://doi.org/10.1016/j.jbusres.2006.06.003
  40. D. H. Shi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lPI'V", Behavior & Information Technology, Vol. 28, Issue 4, pp. 361-372, 2009. https://doi.org/10.1080/01449290701814232
  41. V. Va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 46, Issue 2, pp. 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42. H. Verkasalo, C. Lopez-Nicolas, F. J. Molina-Castillo and H. Bouwman, "Analysis of Users and Non-users of Smartphone Application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27, Issue 3, pp. 242-255, 2010. https://doi.org/10.1016/j.tele.2009.11.001
  43. S. H. Kim, "Moderating Effects of Job Relevance and Experience on Mobile Wireless Technology Acceptance: Adoption of a Smartphone by individuals",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5, pp. 387-393, 2008. https://doi.org/10.1016/j.im.2008.05.002
  44. J. C. Nu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 Hill, 1976.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f switching intention of Smartphone users: Korean and Chinese vol.19, pp.6, 2014, https://doi.org/10.9723/jksiis.2014.19.6.131
  2. 스마트폰 센서스트림을 이용한 운전 패턴 인식 시스템 vol.17, pp.3, 2011, https://doi.org/10.9723/jksiis.2012.17.3.035
  3. 혁신성이 SNS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UTAUT를 중심으로 vol.17, pp.7, 2011, https://doi.org/10.9723/jksiis.2012.17.7.177
  4.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ed Us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vol.15, pp.3, 2011, https://doi.org/10.15719/geba.15.3.201406.139
  5. The Effects of Tourism Information Search using Smartphone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vol.15, pp.6, 2014, https://doi.org/10.15719/geba.15.6.20141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