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ategy of the Activating the Kunsan Port of Changing Global Logistics Circumstances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군산항만의 활성화를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2.12
  • Accepted : 2010.03.2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Kunsan port based on the selection of Kunsan Free Trade Area is expected to develop into a regional beach-head port and foreign investment area, and as the result it will play a great role in accelerating the coming age of the west sea. To promote the foreign competitiveness of Kunsan port as a central container port it can be pointed out that 1) to raise up the utilization ratio of Kunsan port as the front base of export and import by multinational corporations, 2) to hustle up the development of Kunsan container port toplay the central role as the composite container linkage central port, 3) to strengthen the attraction activities of foreign investment into the Kunsan Free Trade Area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in nation, 4) the support of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accelerate the comingage of the west sea are necessary.

본 연구는 글로벌 물류환경의 변화에 따른 군산항만의 향후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어 군산 항만의 항세와 시설의 현황 및 그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전략을 모색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군산항의 물류인푸라 확충을 위해서는 배후지인 자유무역지대와 새만금군산자유구역 등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군산항을 수출입 거점 전략항으로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중국과의 지경학적 우위를 확보하고 환황해권역의 대중국 역내분업과 경쟁 가능한 업종을 배후지에 유치하여 지역경제의 획기적인 혁신을 꾀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투자의 활성화와 배후 산업의 신기술 도입을 위해 외자유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군산항의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물류비를 낮추는 즉, 규모의 경제를 실현 시키는 방안도 강구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 물류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술, 마케팅, 무역정보 활용과 전문기술의 공유 등을 통한 항만간 협력체제 구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토사로 인한 수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책을 강구하고, 셋째, 중국의 성장 에너지를 군산항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환황해권의 항만 간 대중국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 넷째, 글로벌 물류기업의 고부가가치 화물유치를 위해 기반시설 확충과 공동물류센터 건립하는 방안도 강구해 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군산항이 동북아 물류허브항 으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군산을 유비쿼터 시티와 첨단물류시스템이 결합된 유-물류 군산시티로 탈바꿈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관세청 .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수출입물류통계연보, 2006.
  2. 군산지방해양수산청, 제2회 군산항 활성화 포트세일즈 및 토론회, 2007.
  3. 김형근, "중국 북부의 환적컨테이너 물동량유치 강화해야" 해양수산동향. 한국해양수산개원 2002. 제 908호
  4. 박형창. "군산항유치가능 수출입컨테이너화물 추정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4권제호
  5. 백종실, "아시아주요국 항만 배후지 물류거점화 정책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1999.
  6. 여기태, "중국효과에 따른 군산(새만금)항만의 전략적 발전 가능성 모색" 동북아 물류 증가에 대비한 새만금 세계화 전략 토론회. 2007. 10.
  7. 이충배. "새만금 신항의 발전전략", 2009. 6. 24.
  8. 임진수 외 4인, 세계 물류 환경변화와 대응방안(I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12.
  9. 전북발전연구원, 군산항 물류 기종점(O/D) 분석에 관한 연구, 2005.
  10. 전라북도 SG FEZ "물류기본계획" 전라북도 새만큼 경제자유구역청, 2009.11
  11. 정석물류통상연구원, "한.중 물류 네트워크 거점지역의 비교분석과 한국의 대응방안" 2008. 8.
  12. 한국선주협회, 황해정기선사협회 및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사자료.
  13. 한국종합물류연구원 군산항 장.단기 종합발전계획 연구, 2008. 12.
  14. 한국해양수산개발원.한국해양대학교, "군산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여건 개선방안 연구", 2007. 8
  15. 황호만,"새만금 신항개발을 위한 물류 인프라구축", 한국항만경제학회지26권제 4호
  16. 해양수산부, 전국 무역항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2006. 12.
  17. 해양수산부, 전국 항만물동량 예측, 2004. 12.
  18. Container International Yearbook, 2005.
  19.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2003.3호.
  20. Comtois, C., "The Integration of China's Port System into Global Container Shipping", GeoJournal, Vol. 48, 2006, pp.3542.
  21. Frankel, Ernst G., Port planning and development,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21. New York, 2003.
  22. Slack, B., "Containerization Interport Competition and Port Selection",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Policy and Management, Vol. 12, No. 4, 2004, pp.29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