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on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관리유형의 평가

  • 김효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조중현 ((주)명소IMC)
  • Received : 2010.10.18
  • Accepted : 2010.11.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ustomized management method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ark.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termine the types of and management methods for urban park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involvement of citizens in park management and committing park management to the private se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ture, it has been found that each park should be managed separately according to its type in light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anagement method. For this reason, this must be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preventing damaging behavior at tourist destinations. First, natural mountainous parks are ordinary parks that do not require any professional management knowledge or skills. Accordingly, these parks should be managed by the districts in which they are located. Second, eco-oriented parks ask for specialized management. As domestic cases show, it will be advisable to commit the management of these parks to specialized, highly-experienced private organizations. Third, facilities-centered parks are large in size in response to the diverse needs of citizens, and it seems that a combination of different methods is better than merely sticking to any particular method.

본 연구는 최근 공원관리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됨에 따라 공원유형을 재분류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공원유형은 공원이용자, 이용시설 및 자원, 관리업무의 난이도에 따라 '산지자연형 공원', '생태목적형 공원', '시설집중형 공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과 일반시민 등 이용자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산지자연형 공원은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원으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목적형 공원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공원으로 전문성을 가진 민간단체를 지정하는 것이 좋으며, 시설집중형 공원은 복합적인 공간으로한 방식보다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리방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1997)도시공원의 확대전략에 관한 연구.경기개발연구원
  2. 김미나 (2006) 서울숲 공원관리에 있어서 시민참여에 대한 관리주체와 공원이용객 인식연구.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원주 (2007)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김종규, 고원용, 이원식, 김홍규 (2002) 시설기능에 따른 도시공원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 박동수(1990) 도시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 한국지방자치학회지 2(1):163-195
  6. 서울특별시 (1995)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방향 연구. 서울특별시
  7. 이명호(2006) 도시공원의 효율적 이용관리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현주 (2003) 도시공원의 서비스 평가.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