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itability Analysis of Public Owned Land Build Small Park - The Case of Busan Megalopolis -

소규모 공원 조성을 위한 국공유지의 적합성 평가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 Received : 2010.08.23
  • Accepted : 2010.12.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repurposing small pockets of national/public lands, which can be constructed as park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status of these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that are scattered around Busan Megalopolis as well as the suitability of their construction. In order to attai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present status of these small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by utilizing a national land, city land list (lot number), land registration map and satellite image of Busan Megalopolis, and evaluating their suitability as parks through GI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ese small areas of lands with the potential to be turned into parks include 516 spots($375,934m^2$). Geographically, 39% of these areas are located on flat land and are the most scattered. 260 places met the requirements for optimal placement for conversion, while convenience included 305 places, and availability 267 places. The most optimal of the places meeting such standards include 61 spo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reas of national/public lands include being below $500m^2$, with flatlands and open areas above a 5' grade occupy the highest ratio, accounting for 25.4% of the land studied. These results have offered a methodology for a GIS DB, which can visualize the data for a positive utilization be yond the simple level of the maintenance/preservation of national/public land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types of area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국공유지 자투리땅을 대상으로, 공원으로 조성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실태파악과 적합성 평가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부산광역시의 국공유지 지목에 대한 재산 목록과 지적도면,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현황 파악과 GIS분석을 통한 공원 적합성 평가 및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토지 특성을 분류했다. 그 결과, 공원으로 조성 가능한 국공유지 자투리땅은 516개소($375,934m^2$)이며, 평지에 위치한 토지가 39%로 가장 많이 분포했다. 또한, 토지 특성은 $500m^2$ 미만이며, 경사도 $5^{\circ}$ 이상의 평지형과 개방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부지수의 25.4%를 차지했다. 그리고 공원 조성에 적합한 부지 선정을 위해 예상 공원이용자 및 공원소외를 고려한 필요성, 토지이용 현황에 대한 공원 공급을 고려한 용이성, 접근성을 배려한 이용가능성의 세 가지 판단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는 조성 가능한 공원의 최적합지로 필요성 260개소, 용이성 305개소, 이용가능성 267개소이며, 이러한 기준의 최대 적합지로서는 61개소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공유지의 단순한 유지 보존의 차원을 넘어 적극적인 활용하기 위해 자료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GIS DB(Date Base) 구축에 대한 방법론과 향후 국공유지 자투리땅의 활용 및 관리에 기초적 자료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표, 권태형 (1995) 국공유지 관리 및 효과적 활용방안.국토개발연구원 보고서.
  2. 김연금, 성종상, 조석만, 이규목 (2003) 주민 참여를 통한 도시 소공원 설계 및 조성.한국조경학회지 31(1):78-89
  3. 김후경, 이현택 (2005)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3):78-83
  4. 박문호 (1996) 일본 도시 소공원의 개발실태 및 정비수법.도시문제 31 (335):37-48.
  5. 이규목,박문호(1996) 도시 소공원의 확보 및 개발방향. 도시문제 31(335):49-60.
  6. 양병이(1996) 도시 내 자투리땅의 공원화.월간빌딩문화 no.9.pp.38-39.
  7. 양환직, 김희정, 송용호 (2002)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외부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보행자공간과 소공원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1):23-26
  8. 유병림 (1996) 도시소공원의 개념 및 기능. 도시문제 31(335):9-25.
  9. 이민화, 유응교, 장명수 (1991) 도시 소공원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TDR제도를 적용한 포켓파크(PocketPark)개발을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1(2):263-26
  10. 이시영, 문창순, 심준영 (2008) 보호수를 활용한 도심 소공원 조성에 관한 연구.한국식물․인간․환경확회지 11(2):9-17
  11. 정영선(1996) 우리나라 도시 소공원 개발사례.도시문제 31(335): 26-36.
  12. http://www.law.go.kr/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