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Discharges in Masan Bay Watershed

마산만 유역의 지하수 유출량 추정

  • 양정석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김상준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discharges of groundwater flow were estimated using Darcy's method along the coastal zone in the Masan Bay. The estimates using the information, i.e., groundwater level, location of the observation well, hydraulic conductivity, the thickness of the aquifer, and coastline length, were 1.65% of the precipitation of the watershed. The estimated groundwater discharges through fractured rock aquifer and the aquifer with sedimentary material were $0.7\times10^4$$m^2/year$and $1.0\times10^7$$m^3/year$ respectively. Whereas, the discharge estimated by KORDI (2003) using isotopes method is about 20 times larger than the estimates from this stud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re-circulated seawater through the coastal zone aquifer. In order to quantify this effect in detail, the groundwater levels and salinity changes in the observation wells located in the coastal zon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analyzed.

마산만 연안유역의 지하수 유출량을 Darcy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지하수위, 관정의 위치, 투수계수, 대수층 두께, 해안선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강우량 대비 1.65%정도이다. 마산만 유역의 암반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0.7\times10^4$ $m^2/year$정도로 추정되었으며, 충적층을 통한 지하수 유출량은 $1.0\times10^7$$m^3/year$정도로 추정되어 암반층을 통한 유출량은 무시할 만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한편, 한국해양연구원(2003)에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은 본 연구에서 추정한 지하수 유출량의 20배 정도에 해당하지만, 이는 연안 대수층으로 침입한 재순환 해수의 영향으로 파악되었으며, 해안선에 근접한 관측정의 운영을 통하여 지하수위 및 염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재순환해수의 정량적인 영향분석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처 (2002).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사업 3-3과제 중 해안지하수 유출량 산정 연구
  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4). http://www.gims.go.kr/
  3. 기상청 (2004). http://www.kma.go.kr/
  4. 김규한 (1982). 동위원소의 지하수학에 응용, 지질학회지, 18(3), 167-171
  5. 박남식, 이용두 (1997). 중.동 제주수역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침투. 대한지하수환경학회, 4(1), 5-13
  6. 부성안, 정교철 (2000). 제주도 동부권역 담지하수 대수충에서의 염수침입. 대한지질공학회지, 10(2), 115-130
  7. 선우중호 (1983). 수문학. 동명사
  8. 조홍연 (2002). 연안유역의 지표수 및 지하수량 산정방법. 한국해앙환경공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주대학교, 297-306
  9. 한국수자원공사 (1999). 울진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10. 한국수자원공사 (2000). 낙동강권역 광역 지하수조사 연구
  11. 한국해양연구원 (2000).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개발 환경조성 기반기술, BSPE-784-00-1294-4
  12. 한국해양연구원 (2002).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개발 환경조성 기반기술, BSPE-819-00-1392-4
  13. 한국해양연구원 (2003). 연안역에서의 육지와 해양상호작용 연구. 남해동부연안역의 영양물질 유입과 생물생산력 개발 환경조성 기반기술, BSPE-827-01-1493-4
  14. Basu, A.R., Jacobsen, S.B., Poreda, R.J., Dowling, C.B. and Aggarwal, P.K. (2001). Large groundwater strontium flux to the oceans form the Bengal basin and the marine strontium isotope record. Science, 293, 1470-1473 https://doi.org/10.1126/science.1060524
  15. Brenner, M., Smoak, J.M., Allen, M.S., Schelske, C.L. and Leeper, D.A. (2000). Biological accumulation of ${^{226}}$Ra in a groundwater-augmented Florida lake. Limnology and Oceanography, Notes, 45(3), 710-715 https://doi.org/10.4319/lo.2000.45.3.0710
  16. Fetter, C. W. (1994). Applied hydrogeology. 3rd Edition, Prentice Hall
  17. Kelly, R.P. and Moran, S.B. (2002). Seasonal changes in groundwater input to a well-mixed estuary estimated using radium isotopes and implications for coastal nutrient budge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7(6), 1796-1807 https://doi.org/10.4319/lo.2002.47.6.1796
  18. Krest, J.M. and Harvey, J.W. (2003). Using natural distributions of short-lived radium isotopes to quantify goundwater discharge and recharge. Limnology and Oceanography, 48(1), 290-298 https://doi.org/10.4319/lo.2003.48.1.0290
  19. Moore, W.S. and Arnold, R. (1996). Measurement of ${^{223}}$Ra and ${^{224}}$Ka in coastal waters using a delayed coincidence counter. J. of Geophysical Research, 101(C1), 1321-1329 https://doi.org/10.1029/95JC03139
  20. Smith, L. and Wheatcraft, S.W. (1993). Groundwater flow. Handbook of Hydrology (Editor in Chief, D.R. Maidment), McGraw-Hill
  21.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94). Guide to hydrological practices.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Analysis, Forecasting and Other Applications, Fifth edidon, WMO-No.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