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Linkages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Eumsung County, Korea

음성군 공업의 입지적 특성과 지역연계

  • 홍숙 (청주 남중학교) ;
  • 김학훈 (청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ypes and factors of locations and regional linkages of manufacturing firms in rural areas using Eumsung County as a case of rural areas. Eumsung County is now vigorously industrializing owing to the government policy dispersing factories in the Capital reg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industrial firms in Eumsung County through questionnaires reveal that individual sites are dominantly preferred by factory owners in comparison to the designated industrial complexes because the former is cheaper in land price. The main factors of industrial location in Eumsung County are cheap land cost, convenient highway accessibility, and the dispersion policy of the Capital region. In terms of the regional linkage, the proportion of the linkage with other regions is larger than that within the local region in case of purchasing raw materials, but the linkage with other regions is lower than that within the local regions in case of selling products. Also most white collar employees in Eumsung County were revealed to reside in and around the Capital region. In order to develop and maintain industrial firms in rural areas so as to avoid "dependency development," efforts for improving of the linkages between the local firms and expanding of social overhead capital are necessary.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분산정책과 더불어 공업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음성군 지역의 공업활동을 기업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업입지의 유형과 요인, 그리고 지역연계에 관해 연구하였다. 제조업체들이 음성군에 입지하게 된 주요 요인들은 저렴한 공장부지가격과 편리한 교통조건이며, 수도권 공장 분산정책도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업체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물자 연계, 서비스 및 정보 연계, 고용 연재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수도권 공장 분산정책과 중부고속도로의 개통에 의하여 급격하게 성장한 음성군의 공업화는 내실있게 성장하지는 못했다. 수도권에 인접한 음성군은 1980년대 말부터 수도권에서 이전해온 공장들에 의해서 비약적인 공업화를 이루었으나, 국지적 연계보다 수도권과의 연계가 강한 측면이 있어서 종속개발의 폐단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음성군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려면 지역내 기업간의 연계 조성, 사회간접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서비스 및 정보 제공 등 보다 나은 지역경제 환경을 조성하는 정책적 노력과 함께 농촌공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