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es of inhibi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α-Asarone Ameliorates Memory Deficit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Mice via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icroglial Activation

  • Shin, Jung-Won;Cheong, Young-Jin;Koo, Yong-Mo;Kim, Sooyong;Noh, Chung-Ku;Son, Young-Ha;Kang, Chulhun;Sohn, Nak-W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1호
    • /
    • pp.17-26
    • /
    • 2014
  • ${\alpha}$-Asarone exhibits a number of pharmacological actions including neuroprotective, anti-oxidative, anticonvulsive, and cognitive enhancing ac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pha}$-asarone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mRNA, microglial activation, and neuronal damage in the hippocampus and on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n systemic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57BL/6 mice. Varying doses of ${\alpha}$-asarone was orally administered (7.5, 15, or 30 mg/kg) once a day for 3 days before the LPS (3 mg/kg) injection. ${\alpha}$-Asarone significantly reduced TNF-${\alpha}$ and IL-$1{\beta}$ mRNA at 4 and 24 hours after the LPS injection at dose of 30 mg/kg. At 24 hours after the LPS injection, the loss of CA1 neurons, the increase of TUNEL-labeled cells, and the up-regulation of BACE1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were attenuated by 30 mg/kg of ${\alpha}$-asarone treatment. ${\alpha}$-Asarone significantly reduced Iba1 protein 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tissue at a dose of 30 mg/kg. ${\alpha}$-Asarone did not reduce the number of Iba1-expressing microglia on immunohistochemistry but the average cell size and percentage areas of Iba1-expressing microglia in the hippocampu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30 mg/kg of ${\alpha}$-asarone treatment.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alpha}$-asarone significantly prolonged the swimming time spent in the target and peri-target zones. ${\alpha}$-Asaron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target heading and memory score in the Morris water maze. Th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icroglial activation in the hippocampus by ${\alpha}$-asarone may be one of the mechanisms for the ${\alpha}$-asarone-mediated ameliorating effect on memory deficits.

Detection of microbial organisms on Apis mellifera L. beehives in palm garden, Eastern Thailand

  • Sirikwan Dokuta;Sumed Yadoung;Peerapong Jeeno;Sayamon Hongjaisee;Phadungkiat Khamnoi;Khanchai Danmek;Jakkrawut Maitip;Bajaree Chuttong;Surat Hongsib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23
    • /
    • 2024
  • Background: Honey bees play a crucial role in pollination and ecological balance. Apis mellifera L. colonies, especially those located in specific geographic regions, such as the palm garden in Eastern Thailand, are susceptible to potential threats from microbial contaminants. Understanding and detecting microbial organisms in these beehives is essential for the preservation of bee health, honey production, and the broader ecosystem. However, the problem of microbial infection and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 more severe and continuously increasing, resulting in a health, economic, and social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icroorganisms in A. mellifera beehives in palm gardens in Rayong province, Eastern Thailand. Results: Ten swabs in transport media were swabbed and obtained from different parts of each beehive (1 swab per beehive), for a total of 10 hives. Traditional microbial culture-based methods, biochemical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disc-diffusion) tests were used to detect microbial organism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The swab tests from nine beehiv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63.64%), Gram-negative bacteria (27.27%), and fungi/yeast (9.09%). These microorganisms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and made up 40.91% of the bacteria discovered. Other bacteria found were Coryneform bacteria (13.64%), Pantoea spp. (13.64%), Bacillus spp. (9.09%), yeast (9.09%), glucose non-fermentative Gram-negative bacilli (9.09%), and Pseudomonas spp. (4.55%). However, due to the traditional culture-based and 0biochemical tests usually used to identify the microbial organisms in clinical specimens and the limitation of identifying some environmental microbial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cannot reveal if the organism is resistant or susceptible to the drug. Nevertheless, drug-sensitive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with each antibiotic agent. Conclusions: Overall, the study supports prevention,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systems.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beehives may affect the quality of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or even the health of the beekeeper. To avoid this kind of contamin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hile harvesting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β-Asarone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생쥐 해마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학습 및 기억 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β-Asarone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Mice)

  • 최문숙;곽희준;권기중;황지모;신정원;손낙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9-127
    • /
    • 2013
  • Objectives : ${\beta}$-Asarone (BAS) is an active ingredient in Acori Rhizoma. This study investigated anti-neuroinflammatory and memory ameliorating effects of BAS in systemic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C57BL/6 mice. Methods : BAS was administered orally at doses of 7.5, 15, and 30 mg/kg for 3 days prior to LPS (3 mg/kg, intraperitoneal) injection. Pro-inflammatory cytokine mRNA,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ㅍ), interleukin (IL)-$1{\beta}$ and IL-6, was measured in hippocampus tissue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t 4 h after the LPS injection. An ameliorating effect of 30 mg/kg BAS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the LPS-treated mice was verified using the Morris water maze test. Results : BAS significantly attenuated up-regulation of TNF-${\alpha}$, IL-$1{\beta}$, and IL-6 mRNA in hippocampus tissue of the LPS-treated mice. In acquisition training test, BAS improved learning performance of the LPS-treated mice with a significant decrease of escape latency to the platform. In memory retention test, BAS also ameliorated memory impairment of the LPS-treated mice with a significant increase of swimming time in zones neighboring to the platform, number of target heading, and memory scor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euroinflammation in the hippocampus by BAS could be one of the mechanisms for BAS-mediated ameliorating effect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LPS-treated mice.

Ganoderma lucidum(Fr.) Karst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oderma lucidum (Fr.) Karst)

  • 서건식;신관철;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7-35
    • /
    • 1988
  • 한국산(韓國産) 영지(靈芝)버섯의 계통분류(系統分類) 및 유전형질(遺傳形質)을 탐색(探索)하기 위하여 영지균(靈芝菌)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韓國産) 자생영지균(自生靈芝菌)은 Oat meal agar 및 Rice bran extract agar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고 Mycelial sector, Mycelial strand, Concentric zone의 형성(形成)은 배지(培地)의 영향(影響)을 받으나 균주(菌株)에 따라서도 차이(差異)를 보였다. 2. 영지균(靈芝菌)은 온도(溫度) $30^{\circ}C$, pH 5.5~6.0일때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좋았으며 백색형광등(白色螢光燈) 조사(照射)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을 억제(抑制)하였고 광처리(光處理)의 균사생장억제기간(菌絲生長抑制時間)은 4~8시간(時間)사이였다. 3. 균사생장중(菌絲生長中)의 Mycelial strand의 형성(形成)에는 광(光)의 조사(照射) 그리고 Mycelial sector의 형성(形成)에는 배지(培地)의 영양원(營養源)과 광(光)의 조사등(照射等) 제(諸) 요인(要因)이 관여(關與)하였고 균주간(菌株間)에도 명확(明確)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4. 균배양중(菌培養中) 및 균사생장후(菌絲生長後) 광조사(光照射)는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을 유도하였는데 그 영향(影響)은 균주(菌株)에 따라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였고 균사생장중(菌絲生長中) 후막포자(厚膜胞子)의 형성(形成)은 인공재배시(人工栽培時) 편각형(扁角型)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에서 많이 발견(發見)되었고 녹각형(鹿角型) 자실체(子實體)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에서는 많지 않았다.

  • PDF

산마늘의 아미노산 함량과 생리활성 효과 (Amino Acid Content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llium victorialis)

  • 조자용;박윤점;오대민;류동영;김영선;천상욱;강성선;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0-15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the alpine leek (Allium victorialis) for the expand of consumption and the production of its manufactured goods. Amino acid content in alpine leek leaves and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Seventeen component amino acids and 38 free amino acids from alpine leek leaves were analyzed, and the total contents were 2,693.28 mg/100g for component amino acids and 535.39 mg/100g for free amino acids. Total phenolic compounds in the leaves of alpine leek showed the highest level from the methanol extract (37.7 mg/l), and followed by ethanol extract (31.9 mg/l) and hot water extract (25.4 mg/l). Total flavonoid contents in 1,000 mg/l extract was the highest in the methanol extract (22.2 mg/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0 mg/l extract was high in the order of ethanol extract (51.6%), methanol extract (47.3%) and hot water extract (37.2%).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anol extract from Allium victorialis leaves was the highest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9.5%). Hyperplasia suppression of lung cancer cells (Calu-6) and gastric cancer cells (SNU-601) by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bulb of alpine leek were 99.9% in the extracting concentration of over 200 mg/l.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the 3 different solv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was observed, and the inhibition zones against the gram-positive and negative microorganisms were ranged from 8.23 to 10.15 mm. It was concluded that physiological activities in a human body could be improved by the intake of alpine leek as a pharmaceutical material, and that it would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risk such as lung and gastric cancers.

옥수수(Zea mays) 원뿌리의 통기조직 발달에 미치는 에틸렌 전구체, 옥신, 메틸자스몬산의 효과 (Effects of Ethylene Precursor, Auxin and Methyl Jasmonate on the Aerenchyma Formation in the Primary Root of Maize (Zea mays))

  • 호종윤;맹소현;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3
    • /
    • 2015
  • 옥수수(Zea mays) 원뿌리에서 에틸렌 전구체인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indole-3-acetic acid (IAA) 그리고 methyl jasmonate (MeJA)가 통기조직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호르몬 처리는 원뿌리의 종단 구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control과 호르몬 처리된 뿌리의 비교 가능한 위치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원뿌리의 정단을 PR0, 기부를 PR100이라 정의하고 이 두 지점 사이를 길이에 비례하여 PR25, PR50, PR75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뿌리의 PR25와 PR50 부분에서는 통기조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PR75 부분에서는 드물게 통기조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PR75 부위의 통기조직 면적은 ACC 또는 IAA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반면, MeJA는 옥수수 원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와 침수되었을 때 서로 다른 차등 효과를 나타내었다. 뿌리가 침수되지 않았을 때 MeJA는 통기조직의 발달을 억제하였다. 반면, 뿌리를 침수 시키면 통기조직의 면적이 증가하는데 그 면적은 MeJA에 의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한편, 곁뿌리 원기는 그 주변 피층세포의 통기조직 발달에 수반되는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곁뿌리 원기에 의해 억제되는 통기조직의 발달은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통기조직의 발달을 촉진하는 세 가지 호르몬들에 의해서도 회복되지 않았다. 이는 발달하는 곁뿌리 원기가 억제하는 통기조직 발달 조절의 세부 단계는 식물호르몬들이 작용한 이후 단계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떡갈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xtractives of Quercus dentata Thunberg)

  • 김민영;김윤근;김태홍;조종수;양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42-51
    • /
    • 2000
  • 떡갈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시험하였다. 항균활성은 paper disk법과 bioautography법으로 시험하였다. 잎으로부터 추출된 ethyl acetate 가용부는 Klebsiella pneumoniae균에 대해서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수피로부터 추출된 ethyl acetate 가용부는 Bacillus subtilis, Klebsiella pneumoniae균에 대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다. 목절부의 에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및 Vibrio parahaemolyticus균에 대해서 저해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떡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잎, 수피, 목질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Bioautography법에 의한 항균활성은 목질부 에탄올 추출물에 있어서 Rf치 0.41~0.63 영역의 물질이 가장 강한 저해를 나타냈다. 떡갈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시험 결과, 잎 추출물에서는 petroleum ether 가용부가 매우 낮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나, ethyl acetate 불용부에서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수피와 목질부의 추출물에 있어서. petroleum ether 가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의 항산화활성은 BHT의 항산화 성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 PDF

고추의 엽록소 형광 이미지 분석법에 의한 한발스트레스 지표화 가능성 (Possibility of Drought stress Indexing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ing Technique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 유성녕;엄기철;박소현;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6-6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생육초기 고추의 한발 스트레스 조건에서 작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엽록소 이미지형 광분석을 이용하여 엽록소 형광 매개변수를 비교분석 하였다. 비록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전체 잎의 이미지에 나타나는 형광매개변수들의 평균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가변형광값에대한 최대형광값의 비는 변동이 없는 반면, 광계II의 정류상태에서의 양자수득율 및 형광감쇄율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퀴논 A 단백질로부터 퀴논 B 단백질로의 전자전달의 감소를 의미하였다. 잎의 중앙부위와 엽병부근에서의 비광학적 소광 및 가변형광의 비광학적 소광 상수는 한발스트레스 4일 후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즉 생리적 스트레스 매개변수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광계II에서의 정류상태 양자수득율의 감소는 고추잎의 모든 부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성있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Phi}PSII$ ($QY_{_-LSS}$), $NPQ_{_-LSS}$, qN 등의 엽록소형광 매개변수들은 고추의 한발스트레스를 판단할 수 있는 생리적 지표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Bacillus cereus에 대한 actinonin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tinonin against Bacillus cereus)

  • 정동윤;염수진;유연철;김종헌;이병휘;장훈녕;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60-5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항균활성의 적용범위가 모호한 actinonin을 대표적 식중독균인 B. cereus에 적용함으로써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계대배양된 대수기의 B. cereus에 actinonin을 처리하여 생장 저해 여부를 확인하였고, 96-well plate를 이용한 broth micro-dilution 방법과 agar disk diffusion 방법을 통해 actinonin의 B.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actinonin의 농도에 비례하여 B. cereus의 생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ctinonin의 처리에 따른 B. cereus의 세포 독성 측정 결과 actinonin이 B. cereus의 세포 독성 또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tinonin은 천연항균물질로서 B. cereus에 의한 식품 오염을 억제하고 식중독 예방 및 잠재적 치료제로서 적용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나아가 다른 식중독균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 탐색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조사 및 녹차 폴리페놀을 첨가한 화장품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Irradiated Green Tea Polyphenol Addition into Cosmetic Composition)

  • 박태순;이진영;현석준;박근혜;조영제;김세기;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10-216
    • /
    • 2007
  • 방사선 조사한 녹차 폴리페놀을 스킨과 에센스에 첨가하여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항균효과 및 방부효과를 검증하고 무방부제 화장품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균력 측정 결과, C. albican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피부상재균인 S. aureus에서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MIC 측정 결과, E. coli와 C. albicans의 경우 2,500 ppm에서, S. aureus의 경우 1,000 ppm에서 저해농도를 나타내었으며, MBC 측정 결과, C. albican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E. coli의 경우 10,000 ppm, S. aureus의 경우 5,000 ppm에서 모든 균이 사멸하였다. 시간에 따른 생균수 측정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항균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차폴리페놀은 스킨과 에센스에 첨가 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첨가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