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culture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1초

'민족주의'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 진 캐주얼브랜드 '잠뱅이'의 광고 연구 - (Semiotic Analysis of Jambangee's 'Nationalism'Advertisement)

  • 김정은;홍기현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6호
    • /
    • pp.949-963
    • /
    • 2000
  • Jambangee's advertisements in spring 1998 attracted public attention by the differentiating message of 'na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Korean youth's culture of consumption, value, thought and culture expressed in these advertisements. The semiotic analytic method of F. Saussure and R. Barthe were used. Metaphor and metonymy as interpretive tools were used. Two levels of meaning, denotation and connotation were examined, and idelogies and mythologies were sought. Contrary to the most of jean advertisements which show youth, characteristic style, western life style and westernized beauty, refinement, materialism, and social differentiation, Jambangee's advertisement showed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ese advertisements criticized that preference of imported goods and ostentation of purchasing power brought crisis of economy and I.M.F. system. Jambangee's jeans symbolized as the meaning of nationalism and patriotism were suggested as a way to save our country. Jambangee's advertisements are meaningful. Because we had accepted western fashion passively so far, but for the first time Jambangee applied Korean design elements to jeans and gave new meanings to them through the 'nationalism'campaign.

  • PDF

1920년대와 1960년대의 패션에 나타난 유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 정현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4-238
    • /
    • 2004
  • This paper analyzes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Fashion is a reflection of Zeitgeist. The similarity of fashion appeared in the similar social ideal period. The fashion of the 1920's and 1960's have a lot of similarity in many respects. Androgyny was the new word. The woman cut her hair short, wore short skirt, and projected a self-confidence that was considered by many to be too masculine. The new fashions also appeared very youthful. The cult of eternal youth was born. The mature woman was no longer requested. Instead, in the face of changing lifestyles and extremely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taste ran in favor of a young, athletic, and mobile ideal. The new fashions do-emphasized curvaceous shapes through short dresses and short hair-both styles were supposed to express youthfulness. Characteristic of the times was the short loose dress: straight silhouette disguised feminine curves. The new dresses were invented for very young, slim, and wide-eyed women. The common Zeitgeist of the 1920's and 1960's represents the cult of youth and the adoption of innovative style, which emphasized decoration-cleared simplicity, functionality, practicality, activity, androgyny. Innovative short skirt, youth fashion, androgynous style, unisex style, tubular silhouette, short hair style, and eyeline-emphasized makeup were analyzed by the similarity of fashion in the 1920's and 1960's.

  • PDF

1990년대 한국 청소년의 스트리트패션 연구 (A Study on Street Fashion of Korean Youth in the 1900s)

  • 김정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3-3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yles of street fashion in youth sub-culture which has the leading power of 1990's Korean fashion flow. This topic has been explored in documentary studies about the youth sub-culture and the background of street fashion. Then, it also continued to classify street fashion styles in order to grasp the meaning as a young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eet fashio of Korean youth are composed of four styles. ; The first is a hip-hop style. The hip-hop of Korea is started by 'Taiji Boys' and their representative apperances are the big-baggy pants, the reversed cap, the thrown backpack. The second is a reggae style. It is formed by the singer 'Kim Gun Mo'. It features the primary color and the use of ethnic fabrics. The third is a kitch style. The kitch is definitely represented by the old, the childish and the satire appearances. It came up with the rock band 'pipiband'. The forth is a sporty style. It comes from 'basketball' and 'skateboarding' which the young people prefer. Its designs are applied from the back-number of players, the names of the teams, the stripes of active-feeling. Based on this study, I designed cloths with 3 concepts to present a new design direction of Street Fashion. Work 1, 「JOY-RIDE」 represented the freedom and the release which are shown by pop music and dance. Work 2, 「GAMMA ENERGY」 represented the dynamic energy through sports games. Work 3, 「AROUND THE CORNER」 represented the form of street including comers, walls, roads etc.

  • PDF

청년층의 입직 및 이직 실태와 해소방안 탐색 (Exploration on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 이석열;박철우;이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30-45
    • /
    • 2014
  • Using the data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GOMS, we analyz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We found the causes of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as follows: work environment, salary, enterprise's vision, job satisfaction, job mismatching, organizational culture, mismatching of work and housing and so on. On the basis of results, we proposed a step by step solutions. The resulting policy implication is that rather than raising job finding rate of the unemployed youths, we need to focus more on reducing job mismatching.

청소년문화복지 지역격차연구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gional Disparity of Youth Cultural Welfare)

  • 김민정;송주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61-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foundational data to promote the cultural welfare status of yout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outh's cultural welfare was investigated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youth's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and needs by regional groups. A total of 148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Actual conditions of adolescents cultural welfare. 1) Amo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dolescents find leisure and social activity, artistic, mass media and video-media activities very boring and one-sided, Instead, they have greater interest in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activities, such as gett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 While adolescents living in urban areas benefit from well developed social infra-structure, those living in rural areas seldom take advantage of it. 3) The obstacles against cultural welfare of the youth can be categorized as: 'lack of money,' 'lack of time,' and 'lack of cultural facilities. ' In urban areas 'lack of time' becomes an issue, whereas in rural areas 'lack of money' and 'lack of cultual facilities' are important. 2. Degree of cultural welfare satisfaction of the youths. Youths generally appear either 'unsatisfied' or 'neutral' concerning their satisfaction degree about leisure and social activity parts, and art and play-activity paris. On the other hand, they appear 'neutral' concerning their satisfaction degree about computer- and Internet-rel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arts, and mass- and video-media activity parts. In addition, urban youths show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rural youths. 3. What the youths need To improve their culture welfare status, they need a lot of supplements for cultural activity in the form of cultural infra-structure. Regarding the cultural infra-structure, rural youths need more than urban youths.

청소년 대상 온라인 게임 역량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Youth On-line Game Competence Quotient)

  • 김기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75-382
    • /
    • 2017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는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학습하기만 한 사람이 아니라, 체득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자발적 또는 협력적 관계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온라인 게임을 통해 오늘날 그리고 미래의 지식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순기능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라인 게임을 통하여 긍정적인 역량이 함양될 수 있으며, 상업용 온라인 게임을 개발할 때,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역량이 무엇인지 등급화 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한다. 또한 올바른 게임 문화 정착을 위해, 게임 개발 업체와 정부가 주도적으로 협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 자료를 토대로 온라인 게임을 통해 청소년의 역량 함양과 건전한 게임문화 정착을 위하여 온라인 게임 역량지수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hysical Satisfaction on Academic Adjustment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 유지후;고정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14-321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변인에 있어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8차 다문화청소년패녈(MAPS)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시점에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0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으로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는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신체만족도와 학업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학업적응과의 관계에서 친구관계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프로그램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청소년시설 대상 유지관리기반 안전점검 및 안전성 평가 연구 (Assessment of Degree and Safety Inspection Based on Maintenance Level in Domestic Youth Training Facility)

  • 이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8
    • /
    • 2020
  • 최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시설물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비해 안전기준 미흡, 사고사례 증가 및 유지관리 소홀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청소년시설을 대상으로 최근 5년간(2015년~2019년) 수행한 안전점검 결과(총 1,858개소)를 토대로 현황을 조사하고, 주요 손상 및 결함 등 대표적 시설 특성을 분석하여 유지관리에 기반한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청소년시설에서 나타나는 주요 손상 및 결함 특성을 토대로 경제적 관점의 보수 및 보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안전 및 유지관리 차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사회자본의 매개효과 -학교부적응 청소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Youth Well-being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ith Mediation Effect of Community Social Capital -for School-maladjusted Youth-)

  • 송경미;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72-6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의 학교부적응 청소년 1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토대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한 3단계 매개효과 분석과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안녕감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안녕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역사회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청소년 안녕감이 높아지고, 다양하며 유의미한 정(+)적 지역사회자본이 많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소년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및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진로탐색과 결정에 도움을 주는 전문화된 상담서비스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 안녕감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자본을 통한 다양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과 영향요인 (Youth Film Festival : its Evolution History and Influence)

  • 오세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과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영화제는 어느 날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이미 1980년대부터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1997년부터 2001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주요 청소년영화제들이 개최되어 영화제의 기틀을 잡게 되었다. 이후 발전을 거듭하던 청소년영화제는 2008년에 이르러 온라인 상영을 실시하는 등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HD캠코더와 스마트폰의 등장 등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영상산업과 문화적 흐름에 호응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 사회적 요인으로 시민단체의 성장, 영상기술의 발전과 대중화, IMF 구제금융시대 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문화 교육적 요인으로는 영상문화의 융성, 대학입시와 수상실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영향 속에서 청소년영화제는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한국 사회의 여러 단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