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diversit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Microbial Floral Dynamics of Chinese Traditional Soybean Paste (Doujiang) and Commercial Soybean Paste

  • Gao, Xiuzhi;Liu, Hui;Yi, Xinxin;Liu, Yiqian;Wang, Xiaodong;Xu, Wensheng;Tong, Qigen;Cui, Zong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2호
    • /
    • pp.1717-1725
    • /
    • 2013
  • Traditional soybean paste from Shandong Liangshan and Tianyuan Jiangyuan commercial soybean paste were chosen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ir bacterial and fungal dynamics using denaturing gel gradient electrophoresis and 16S rRNA gene clone libraries. The bacterial diversity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20 types of bacteria were present in traditional Shandong soybean paste during its fermentation process, whereas only six types of bacteria were present in the commercial soybean paste. The predominant bacteria in the Shandong soybean paste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Leuconostoc spp., an uncultured bacterium, Lactococcus lactis,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spp., and Citrobacter freundii. The predominant bacteria in the Tianyuan Jiangyuan soybean paste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an uncultured bac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and an uncultured Leuconostoc spp. The fungal diversity results showed that 10 types of fungi were present in the Shandong soybean paste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he predominant fungi being most closely related to Geotrichum spp., an uncultured fungal clone, Aspergillus oryzae, and yeast species. The predominant fungus in the commercial soybean paste was Aspergillus oryzae.

Tofua Arc의 열수구환경으로부터 호열성 혐기성 고세균(Thermococcus)의 농화배양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Anaerobic Thermophilic Thermococcus Dominant in Enrichment Cultures from a Hydrothermal Vent Sediment of Tofua Arc)

  • 차인태;김소정;김종걸;박수제;정만영;주세종;권개경;이성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2-47
    • /
    • 2012
  • 열수구(Hydrothermal vent)는 빛이 없는 환경에서 생명체의 진화가 일어나는 독특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남태평양 Tonga의 Tofua arc의 열수구로부터 퇴적물을 채취하여 산화철[iron(III)], 황(elemental sulfur, $S^0$) 그리고 질산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고, 수소($H_2$), yeast extract를 전자공여체로 사용하여 배양에 의한 미생물의 다양성을 연구하였다. 배양 온도는 각각 $65^{\circ}C$$80^{\circ}C$였으며, 연속희석배양법과 16S rRNA 유전자의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분석하고, 검출된 염기서열의 정보분석을 통하여 고세균을 동정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배양된 대부분의 고세균은 Thermococcus 속(T. alcaliphilius, T. litoralis, T. celer, T. barossii, T. thoreducens, T. coalescens)에 속하며 그들과 98-99%의 상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Thermococcus 속의 미생물들이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질산염과 산화철을 전자수용체로 첨가한 배양에서 관찰되었으나, 이는 환원제로 첨가한 $Na_2S$의 산화물을 이용하여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rmococcus 속에 속하는 고세균 외의 다양한 고세균의 배양을 위해서는 $Na_2S$ 대신 다른 환원제를 사용하는 배양조건의 이용이 요구된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Lactic Acid Bacteria (LAB)의 다양성 분석과 γ-aminobutyric acid 생산능 연구 (Diversity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nd Their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 이혜림;강기원;서동호;정종현;정동현;김계원;박선영;신우창;심형석;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04-2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 중인 한국전통 발효주인 막걸리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을 동정하기 위해 16S rRNA 부분을 PCR하여 RFLP법으로 패턴을 분류하여 그룹을 나누었다. 유산균 총 수를 확인한 결과 F를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10^6CFU/mL$ 이상으로 확인되었고, 효모균의 수는 약 $10^7-10^8CFU/mL$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누어진 패턴을 토대로 염기서열 분석 결과 총 5종의 유산균을 확인 할 수 있었고, 5종의 유산균은 Lb. plantarum/pentosus, Lb. casei/paracasei/rhamnosus, Lb. crustorum, Lb. brevis, Lb. fermentum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막걸리로부터 동정된 유산균으로는 Lb. pseudomesenteroides, Lb. paracasei, Lb. arizonensis, Lb. plantarum, Lb. harbinensis, Lb. parabuchneri, Lb. brevis, Lb. hilgardii, Lb. fermentum이 있는데, 선행 연구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Lb. crustorum이 분리되었고, 우점종으로 확인된 Lb. plantarum/pentosus와 Lb. casei/paracasei/rhamnosus와 같은 경우 다양한 subspecies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b. plantarum, Lb. brevis, Lb. paracasei 에서 GABA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막걸리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한 유산균의 GABA 생성능력을 규명함으로써, 차후 유산균 분리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 탐색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전주 김치의 적숙기 주요 미생물 조성과 맛의 상관성 (Major 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Correlation to the Taste of Jeonju Kimchi)

  • 진효상;권영란;윤영주;이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17-1621
    • /
    • 2007
  • 전주지역에서 김장시기에 수거한 김치의 미생물 조성과 관능성적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김치는 21 표본 중 11 표본에서 L. mesenteroides가 $8.31{\sim}11.27log\;CFU/g$의 범위에서 지배균으로, 16 표본에서 L. sakei가 $7.97{\sim}10.57log\;CFU/g$의 범위에서 차지배균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관능성적은 총균수, 지배균수, 차지배균수, 균종수 등 계량적 특성에는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다. 가장 맛이 좋은 김치 3종은 모두 지배균이 L. mesenteroides, 차지배균은 L. sakei인데 비해 가장 맛이 없는 김치 3종은 지배균에 L. sakei가 많아 김치의 맛은 주요 미생물의 균종의 조합과 관련이 있었다. 효모는 8표본에서 $3.80{\sim}4.6log\;CFU/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모두 Saccharomyces servazzii로 동정되었다. 곰팡이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효모 균수와 김치의 관능성적은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다.

탁주와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군집 분석 (Microbial divers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akju and yakju)

  • 구옥경;임은섭;이애란;김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00-406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 충청, 강원 등지의 중소기업형 소규모 양조장에서 생산되는 탁주와 약주의 미생물 군집 분포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시료별로 미생물 분포에 따른 품질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백미 또는 소맥분을 주로 사용한 탁주와 달리 약주는 찹쌀과 백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각각 독특한 주질과 미생물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주요검출 미생물로 진균류는 S. cerevisia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세균의 경우 Firmicutes문에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Leuconostoc, Lactococcus, Weisella 속 등이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곡물인 원재료에 의해 Cyanobacteria 문의 Chloroplast 속과 제조 환경에 의한 유입으로 추정되는 Cronobacter 속, Enterobacter 속 또한 검출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미생물의 분포는 제조 지역, 주원료, 그리고 제조 방법에 기인할 것으로 판단되며 명확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 연구 결과 유통과정의 제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양조장별 미생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Quality and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Diversity of Rabbit Meat Bekasam-Fermented Meat

  • Wulandari, Eka;Yurmiati, Husmy;Subroto, Toto;Suradi, Kusmajad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2-376
    • /
    • 2020
  • Rabbit meat bekasam is a traditional fermentation product from Indonesia.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bbit meat bekasam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 order to isolate, characterize (in vitro and in vivo), and identify lactic acid bacteria (LAB) as the probiotic candidate. The chemical contents of bekasam on 7-day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in explorative and experimental method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 proximate analysis reported a de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fat and carbohydrate content, and an increase in protein content. Also, lact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from 0.48% to 1.12%, and pH was decreased from 5.3 to 4.3. Other properties indicated different values, such as bacteria (2.75×106 to 4.45×107 CFU/g), total LAB (3.82×106 to 4.67×108 CFU/g), total yeast (9.89×106 to 3.82×108 CFU/g) and total mould (4.34×101 to 4.86×103 CFU/g). The experiment produced nine LAB isolates, including two probiotics subjected to further 16S rRNA gene analysis, which indicated that Lactobacillus buchneri was the potential probiotic isolate. After being tested on BALB/c mice, L. buchneri could improve the immune system by inhibiting the growth of Coliform and Salmonella.

한국의 민속주에 관한 고찰(II) -전라도.경상도.제주도 지방을 중심으로- (Study on Traditional Folk Wine of Korea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 윤숙자;박덕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5-367
    • /
    • 1994
  •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n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wines brewed throughou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Chulla-do, Kyungsang-do and Cheju-do describing their varieties and brewing methods and also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ir features. When compared with the wines produced in the Central Region, the Southern varieties are very fastidious and complex in their brewing methods, which in turn show a wide range of diversity. First of all, all the 29 kinds of wines investigated, not a single one shows any resemblance to any one of the remaining, each exhibiting peculiar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 features of its own. Especially, the distilling methods demonstrate very complex processes. Secondly, the majority of the Southern spirits are made from grains, added with fragrant flavor of pine tree, wormwood, chrysanthemum leaves and other medicine herbs such as Chinese matrimony vine and tankui. Thirdly, they are brewed with yeast made from wheat into kodupap(steamed rice) type of spirits, emerging as in the form of blended liquor. Fourthly, in brewing, different fermen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are required. Typewise,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the basic spirit is $15{\sim}20^{\circ}C\;or\;25{\sim}30^{\circ}C$ : in the case of blended secondarily fermented liquor, from the minimum of $0{\sim}5^{\circ}C$ to the maximum of $75{\sim}80^{\circ}C$. The brewing duration is $3{\sim}5$ days for the basic spirits. In some cases, from the minimum of 3 days to the maximum of 100 days are consumed for fermenting. Fifthly, the wine extraction gadgets are yongsu (wine strainer), the sieve, filter paper, Korean traditional paper, the utilization of which implies that the brewers endeavor to observe and preserve the traditional and indigenous methods of wine making.

  • PDF

Vegetative Growth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Commercially Cultivated Strains of Pleurotus eryngii based on ITS sequence and RAPD

  • Alam, Nuhu;Shim, Mi-Ja;Lee, Min-Woong;Shin, Pyung-Gyun;Yoo, Young-Bok;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258-266
    • /
    • 2009
  • Pleurotus eryngii, known as king oyster mushroom has been widely used for nutritional and medicinal purpose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creen the suit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nd to determin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selected strains. Optimal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at $30{^{\circ}C}$ and minimum mycelial growth observed at $10{^{\circ}C}$. This mushroom tolerates a broad pH range for mycelial growth, with most favorable growth observed at pH 6. Results also indicated that glucose peptone, yeast malt extract and mushroom complete media were favorable growth media, while Hennerberg and Hoppkins media were unfavorable. Dextrin was the best and xylose the least effective carbon sources. Results revealed that inorganic nitrogen sources were less effective than organic sources for the mycelial growth of P. eryngii. Investigation of genetic diversity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rains. The ITS region of rDNA were amplified using PCR. The size of the ITS1 and ITS2 regions of rDNA from the different strains varied from 214 to 222 bp and 145 to 236 bp, respectively. The sequence of ITS2 was more variable than that of ITS1, and the 5.8S sequences were identical.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ITS region sequences indicated that selected strains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clusters. Fourteen IUM and ATCC- 90212 strains were also analyzed by RAPD with 20 arbitrary primers. Fourteen of these primers were efficiently amplified the genomic DNA. The number of amplified bands varied with the primers and strains, with polymorphic fragments in the range from 0.2 to 2.3 kb.

누룩곰팡이 분리균의 다양성 및 당화능 분석과 독소생산능 조사 (Diversity, Saccharification Capacity, and Toxigenicity Analyses of Fungal Isolates in Nuruk)

  • 김민식;김신일;하병석;박혜영;백성열;여수환;노현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1-200
    • /
    • 2014
  •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수집된 누룩 11종에 들어 있는 효모와 곰팡이의 함량 및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누룩 현탁액을 DRBC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후 고체배지상 곰팡이균들의 수를 콜로니형성단위(CFU)로 측정한 결과, MS4, MS8, MS10등 3종의 누룩에서 각각 $1,278.9{\pm}21.6$ (${\times}10^4$), $1,868.0{\pm}27.7$ (${\times}10^4$), $775.1{\pm}19.2$ (${\times}10^4$) CFU (20 mg 누룩당)로 가장 높은 곰팡이 밀도를 보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Pichia anomala, P. kudriavzevii, Kluyveromyces marxianus 및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등 효모가 차지하고 있었다. MS2, MS5, MS11등 3종의 누룩에서만 곰팡이인 Aspergillus oryzae, A. niger와 Rhizopus oryzae들이 우점균이었다. 각 곰팡이의 누룩에서의 역할을 알기 위하여, 곰팡이의 배양상등액을 취하여 amylase 및 ${\beta}$-glucanase 활성을 조사였다. Amylase 활성은 A. niger와 A. luchuensis 등 A. niger clade에 속하는 균이 가장 높았으며, 특이하게도 효모균인 S. fibuligera가 A. niger에 근접하는 amylase 활성을 보였다. A. oryzae와 R. oryzae는 당화능면에서 위 세가지 곰팡이에 비하여 뒤쳐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beta}$-glucanase 활성은 주로 R. oryzae에서만 나타나서 R. oryzae가 전분의 당화 외에 곡류의 주성분 중 하나인 ${\beta}$-glucan의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누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분리된 Aspergillus 균들의 aflatoxin 생산능을 norB-cypA, aflR 및 omtA 유전자마커로 조사한 결과, 모든 A. oryzae 분리균들은 aflatoxin 생산능이 없는 균주들로 예측되었으며, 이는 배양액의 TLC 분석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라이보좀 R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집식배양된 식물추출물발효음료의 미생물 다양성 (Microbial Diversity in the Enrichment Cultures from the 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Using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 이총규;김바오로;강민영;이희율;황정은;안민주;서원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1-359
    • /
    • 2014
  • 식물추출발효음료(fermented beverage of plant extract, FBPE)는 과일류, 야채류, 약초류, 및 해조류를 설탕에 의한 당장법으로 발효시킨 액상발효음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FBPE의 이화학적 특성과 16S 및 2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집식배양된 FBPE의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FBPE의 pH는 3.48, 산도는 1.68%, 당도는 $70^{\circ}$, 환원당은 1,026 g/L 및 알코올은 3.5%이었다. 유리당과 유기산은 glucose (567.83 g/L)와 tartaric acid (936.8 mg/L)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homohiochii는 모든 집식배양 시료에서 우점종이었고 L. fructivorans는 20B 라이브러리에서만 나타났다. 세 가지의 다른 당 농도에서 집식배양된 FPEB의 우점종은 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0%)에서는 Candida zeylanides (45.2%), 2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20%)에서는 C. lactis-condensi (35.7%)와 C. zeylanoides (35.7%) 및 40Y 라이브러리(설탕농도 40%)에서는 C. lactis-condensi (38.1%)이었다. 이외에 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lactis-condensi (40.5%),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4.8%) 및 Zygosaccharomyces bailii (2.4%)가 나타났으며, 20Y 라이브러리에서는 P. guilliermondii (14.3%), Pichia farinosa (7.1%), C. parapsilosis (4.8%) 및 Kazachstania exigua (2.4%)로 나타났고 40Y 라이브러리에서는 C. zeylanoides (30.9%), C. parapsilosis (11.9%), Z. bailii (11.9%), Pichia farinosa (4.8%), P. guilliermondii (2.4%)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앞으로 FBPE의 미생물 변화 연구에 아주 유용한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