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9초

조경직 공무원의 직무특성 및 직무만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Landscape Architect Public Officials in Korea)

  • 박태석;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48-161
    • /
    • 2016
  • 조경 체계의 중심이 되는 정부에서도 조경 조직의 직제 운영이 미흡하다. 지방정부의 경우, 조경직 공무원을 채용하고 있으나, 운영상에 있어서는 임업직으로 운영하는 등 관리운영의 문제점과 제도운영의 취약성이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직 공무원 행정제도 분석과 조직문화 행태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조경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조경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첫째, 현재 조경직 공무원의 조직 문화 행태와 직무의 적정성 그리고 타 직렬 공무원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조경직 공무원으로서 직무만족은 대체로 높으나, 집권화 즉, 상관의 지시 명령, 자율성 제한 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경직 공무원의 조직문화 행태 및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연구 분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행정자치부(2006) 선행연구 자료와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경직 공무원이면서 임업관련 직무를 많이 하고 있는 그룹이 상대적으로 조직몰입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경직 공무원의 조경 전문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경직 직무환경', '조경직 법적 제도' 그리고 '조경직 직무분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조경직 공무원으로서 갖는 의의를 직무에 부여하여, 가치체계는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경직 직제의 독립성 부족, 조경직 법적 제도의 위기성, 낮은 채용 등 조경직제와 관련된 만족도는 낮게 분석되었다. 넷째, 현재 조경직 공무원이 조경업무가 아닌 임업, 건축, 도시계획, 행정 등의 직무를 처리하고 있어, 전문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조경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조경 직무에 전공자의 전문성을 확보해야 '조경직 법적 제도', '조경직 직무만족', '조경직 조직몰입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경직 공무원의 직무분장 정체성 확립, 둘째, 조경직제에 의한 조직구성 확립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들이 행정적으로 수렴되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조경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실질적인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남자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for Male Dental Hygienists)

  • 김영기;권호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2-149
    • /
    • 2016
  • 이번 연구는 치과병(의)원급에 근무하는 남자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이 이직의도를 결정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파악하고자 남자 치과위생사 분포가 많은 서울, 경기, 인천, 부산, 경남 지역의 110명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2015년 11월 10일부터 12월 7일까지 이메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110부 중 97부를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8문항, 직무 스트레스 21문항, 직무 만족은 6문항, 그리고 이직의도 6문항 질문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로 응답한 평균 점수로 측정하였다. 남자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05점, 직무 만족도의 평균은 2.92점, 이직의도의 평균은 3.47점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세부영역별로는 근무환경(평균 3.34), 전문가 입장(평균 3.14), 치과에서의 장래성(평균 2.94), 직장 내 대인관계(평균 2.57)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하위요인별 치과에서의 장래성, 직장 내 대인관계는 직무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을 독립변수로,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p<0.01), 직무 만족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직무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별 근무환경, 치과에서의 장래성, 전문가 입장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남자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 만족을 높이는 다방면의 관리가 필요하고, 남자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치과에서의 장래성, 전문가 입장에 대한 스트레스 관리가 우선시되어야 하며,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과에서의 장래성, 직장 내 대인관계에 대한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남자 치과위생사와 여자 치과위생사간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이직의도에 대한 비교연구가 추가적으로 실시된다면 치과 의료기관 근무자의 성별에 따른 맞춤형 인력관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비스업 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Work Environment and Work Moral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Type of Service Workers)

  • 김진호;이충원
    • 감성과학
    • /
    • 제20권2호
    • /
    • pp.103-11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실시한 제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환경 실태와 근무사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근로환경 실태는 업무자세, 감정노동, 업무 자율성으로 구성되어졌으며, 근로사기와 관련된 심리적 차원은 업무에서 느끼는 유능감,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로 이루어졌다. 아울러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시직, 일용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용직 근로자에 비해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들이 좀 더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상용직 근로자들의 감성노동에 대한 질적 피로도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근로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가 되기 위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근무사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모색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linical Nurses)

  • 김상욱;서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35-444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 및 J도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 정도는 5점 만점에 3.38점,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2.62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45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정도는 임상경력,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연령,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몰입은 간호근무환경(r=.64, p<.001), 회복탄력성(r=.75, p<.001)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Z=6.23, p<.00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간호근무환경과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인 조직몰입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주제별 특성화서비스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현장사서의 의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 노영희;오의경;심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21-3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서관특성화 서비스를 담당해야 할 사서들의 업무 현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사서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92명의 사서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성화서비스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특성화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환경도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특성화서비스는 주제전문사서가 주도해야 하며,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기준은 필요하며 자격제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중요 설계요소 분석 - 설계자와 이용자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Rising of Qualitative Level and Revitalization in the Public Open Spaces)

  • 채두병;이주형;송희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95-10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und that the important design reform point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quality. For this purpose, surveyed the users of the public open space and the experts working for the public open space planning for the design elements of the public open spaces in term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Mapo-gu, Seoul and the buildings constructed since 1992 were sampled. the data collected were subject t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waste boxes, vending machines and other amenities', 'characteristic floor and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s and their layou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and landscape facilities', 'facilities checking and patrol for safety' and 'entire area of the public open spac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are put forward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quality; First, the public open spaces should be equipped with sufficient amen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acilities regularly, while enhancing the safety through patrols. Third, it is essential to reflect user's needs in public open space planning, while applying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to the public facilities. Fourth,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within the public open space, it is deemed necessary to divide the space into the passages for passers-by and the recesses for uses. Fifth,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Building Code to the effects that the radio of the landscaped area to the entire area can be readjusted together with the night lighting facilities. Sixth, it is desirable to give the weights to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for the public open spaces, so that the quality public open spaces can benefit from the incentives. In addition, regular maintenance and management should be ensured by policies.

세시풍속에 대한 여성의 인식 및 가사작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cept and the Present State of Women's Housework for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

  • 허성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2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26) mothers and their daughters living in Taegu.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through SPSS pc+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garding to the degree of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New Year's Day”,“Chusok(Chinese Thanks-giving Day)”,“Sangwon(The 1st Full-Moon Day)”,“boknal”are the occasions of the high participation. Raga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participating, mothers' groups (compared with daughters'), the group with the positive concept about the customs(compared with the one with the negative concept), and the buddhist group(compared with other religion) are predominant. 2. Regarding to the degree of women's working lord for the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 the significant variables on family environment in which the women are situated are family religion, The place of grown-up, Daugthers-in-laws order, and family type. Family type is found as the significant variable of Family environment in the degree of socialization of preparing effort of dishes. 3. Through factor analysis concepts of the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 are classified into 3 type, i.e.,「Conventional customs of good morals」,「Women's role in preparation for dishes」, and「The weights of the related load in women's housework」. 4. The direct factors influencing the women's housework related to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 are「Conventional customs of good morals」,「The weights of the related load in women's housework」and「The satisfaction of Traditional Customs of Four Seasons」. The indirect factor is found as 「Conventional customs of good morals」.

  • PDF

수술실의 간호오류 및 과오 예방을 위한 E-learning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of an E-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ng Nursing Errors and Adverse Events of Operating Room Nurses)

  • 김정순;김명수;황선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7-70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an e-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practical knowledge and preventing nursing errors and adverse events of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OR). Method: The e-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es: 1) preparation phase 2) implementation phase 3) evaluation phase. In evaluation phase,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Kirkpatrick's model. Results: The e-learning program consisted of OR basic nursing skills and techniques and nursing activities' manual based on the categories of nursing errors: surgical operation preparation, nursing skills and techniques, environment management, patient safety and comfort, and patient monitoring. The program was provided through on-line, http://cafe.daum.net/pnuhorn, for 4 weeks. The mean score(percent)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21.24{\pm}1.71$(68.2%). Their total knowledge level was significantly improved(Z=-3.00, p=.003) and specifically in the category of environment management(Z=-3.77, p<.001) and patient monitoring(Z=-2.46, p=.014). The occurrence of nursing errors or adverse events was a little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Z=-3.10, p=.756). Conclusion: E-learning for nurses is one way of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better e-learning,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vital content of the education and objective measures for detecting nursing errors and adverse events.

  • PDF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을 위한 최적가용기법 평가·선정기법 연구 (Evaluation and Selection Method of Best Available Techniques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박재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8-358
    • /
    • 2017
  •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best available techniques presents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ach country. In the case of EU, BAT is selected through TWG meeting after first screening, mass and energy balance, impact assessment and decision support process. Korea has proposed four principles to select BAT that can be carbon neutral for each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order to evaluate and select the best available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method according to whether it is a technique generally applied at the current workplace, whether it is a single technique or a combination technique, and whether it is a technology technique or management technique. In the case of a single technique, it should be evaluated whether it is a technique applied in the workplace, excessive cost, superior environmental technique over BAT,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case of multiple techniqu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emission standards are met and whether the pollutants can be treated at the same level as BAT. In the case of BAT candidates for management techniques, whether or not they contribute directly or indirectly to lowering the emission level of pollutants can be an important evaluation item.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techniques that are not generally applied in the workpla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following 8 steps be carried out, including those prescribed by law. In the first stage, the list of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is listed. In the second stage, the level of disposal of pollutant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tandards are listed. In the third stage,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elements are listed. In the fourth stage, Is to list the economic evaluation elements, step 6 is to list the pollution and accident prevention evaluation factors, step 7 i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technical working group, and step 8 is BAT confirmation through deliberation of the central environmental policy committee.

BIM기반 MEP공사 시공용 도면 작성 자동화 프로세스 제안 (An Automated Process to Produce Shop Drawings for MEP Works in BIM Environment)

  • 최창현;권대용;조상호;김주형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22-31
    • /
    • 2020
  • Shop drawing tasks conducted after finishing coordinated or engineering design have great influences on the quality and cost of a project. Howev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BIM applications, shop drawings have mainly produced manually in certain engineering fields. Incorrect shop drawings with human errors have occurred various problems such as cost overrun, time delay and reworks. An automated shop drawing publishing from BIM is expected to resolve these problems. Despite attempts for automate shop drawing production, the field of 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MEP) is yet regarded challenging due to complexity of components and connection. In this research, we develop a process for automated producing 3D MEP shop drawings in BIM environment as following steps: to analyze conventional MEP shop drawing process, to identify detailed process that can be automated, to classify existing MEP objects and assign codes usable in BIM, and to develop an application. The validation of automated process is conducted against 10 clean room projects in which MEP is more complex and its cost is higher than other project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workers' satisfaction.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manpower for shop drawing is reduced by 30%, and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by 31%. Personal opinions of involved practitioners is interpreted as positive as the average rate of agrement on practicability, easy-to-use and necessary retouch tasks is around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