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7/JKHA.2010.21.3.095

An Analysis of Important Design Factors for Rising of Qualitative Level and Revitalization in the Public Open Spaces  

Chae, Du-Byeong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Lee, Joo-Hyung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Song, Hee-Yeal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21, no.3, 2010 , pp. 95-1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und that the important design reform point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quality. For this purpose, surveyed the users of the public open space and the experts working for the public open space planning for the design elements of the public open spaces in term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Mapo-gu, Seoul and the buildings constructed since 1992 were sampled. the data collected were subject t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s a result, 'waste boxes, vending machines and other amenities', 'characteristic floor and pedestrian environment', 'designs and their layou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and landscape facilities', 'facilities checking and patrol for safety' and 'entire area of the public open spac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are put forward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quality; First, the public open spaces should be equipped with sufficient amen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acilities regularly, while enhancing the safety through patrols. Third, it is essential to reflect user's needs in public open space planning, while applying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to the public facilities. Fourth,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within the public open space, it is deemed necessary to divide the space into the passages for passers-by and the recesses for uses. Fifth,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Building Code to the effects that the radio of the landscaped area to the entire area can be readjusted together with the night lighting facilities. Sixth, it is desirable to give the weights to the important design elements for the public open spaces, so that the quality public open spaces can benefit from the incentives. In addition, regular maintenance and management should be ensured by policies.
Keywords
Public Open Space; Important Design Factor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호창기(2008), 도시 공개공지 유형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신촌로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현정기(2009), 건축법규(2010), 한솔아카데미.
3 장성준.송영석(2005), 상업지역의 개발과 공공성의 원칙 -서울시 강남구 도곡동 467번지 일원의 슈퍼블록의 경험에 따라-,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2), 71-78.
4 장하리.이인성(2006),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7(4), 47-61.
5 정상호(2009), 공개공지 공공성 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정석(1994), 건축 외부공간의 공공성 분석을 통한 협력형 도시공간설계 접근방안-서울시 고층 오피스빌딩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세용(1999), 도시설계지구의 공개공지 관련 인센티브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8), 141-148.
8 정석(1997), 건축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건축기준 및 유도 방안, 시정개발연구원.
9 정창구(2004), 도시 고층건물 공개공지의 이용자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테혜란로 변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정평란(2004), 대지밀도에 기초한 공개공지 설치규모 기준에 관한 연구-성남시와 안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영하.조성학(2006), 대단위 공동주택 단지에서 단지 간통합개발을 위한 계획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6), 255-262.
12 김선태(2000), 도심 가로변 업무시설의 공개공지 특성 및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주석(2002), 공개공지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송진화(2005),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심수연(2004), 도심 속 휴게공간의 이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승우(1998), 건축법에 의해 조성된 공개공지 활용가능성 검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광석(2003), 도시공간에서의 실내 공개공지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규호(2002), 공개공지 질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차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성인(2005), 주상복합아파트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강제성(1998), 공개공지 유형화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강남구 일대 대형건축물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혜경(1996), 공개공지 조성 및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건축법 제67조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길기석(1996), 공개공지 이용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테헤란로 도시설계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김세용(1997), 도시공공 공간의 쾌적성의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