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검색결과 1,981건 처리시간 0.024초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Goal Perception, Academic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Female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 임효진;하혜숙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59-8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인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나 학업-가정갈등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끈기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업성취를 포함한 적응적인 지표들을 예측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 64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끈기의 두 요소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적응에 직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경로들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유지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노력지속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끈기 요소의 차별적 예측력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업-가정갈등은 학업적응에 부적 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경계유연추구의도의 매개효과 및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 검증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work and Work-family Conflict)

  • 박원철 ;정현선 ;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109-131
    • /
    • 2013
  •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워크가 가져올 개인과 기업 측면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높다. 특히 스마트워크를 통해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은 채 일과 가정 두 영역에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워크에 대한 근로자의 수용 의도가 낮고 실제 활용률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기대성과가 나타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근로자의 유연경계추구의도를 설정하고 심리적 기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에 맞춰 기술수용모델 관점에서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 사이에서 유연경계추구의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한 편 근로자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활용 의도가 있더라도 일-가정 갈등이 높아지는 현상에 있어서 현재의 조직 상황에서의 역할 방해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보고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연경계추구의도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의 경우, 과업상호의존성만이 조절효과의 경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Search for New Model of Delivery System for Family Welfare Service)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225-251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족복지정책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모형을 정립해 가는데 고려해야 할 원칙과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가족복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과 보건복지부에서 여성가족부로 가족업무가 이관되는 변천과정을 개괄하였다. 이를 통해 전환기에 서 있는 가족복지정책이 담보해야 할 내용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달체계의 구축원칙을 기존 사회복지전달체계와의 연관성과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성을 결합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2004년도 시범사업을 수행한 기관들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조상 가장 지역사회 가족과 맞닿아 있는 가족지원 센터의 모형을 설계하는데 기본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원칙으로는 우선 가족구성원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해 가족의 안정성을 강화하며, 어떠한 형태의 가족이든 사회적로 배제되지 않고 기본적인 생활기반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족복지정책의 목표를 실현가능한 것으로 전환시키는 전달체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요구되고 있는 통합성, 지속성, 효율성, 접근성의 강화가 동시에 요구된다. 특히 가족복지서비스의 구체적 현장단위인 가족지원센터는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등과 같은 직접적 서비스 제공과 함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지닌 가족구성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가족관련 기관들을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모형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 PDF

가족친화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 성과 및 사후지원 효과 - 기업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중심으로 - (Family-friendly Management Outcomes and the Effect of Ongoing Support: A Focus on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Outcomes of Family-friendly Certified Firms)

  • 이승윤;이유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17-30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현재 가족친화인증을 유지하고 있는 501개 기업(관)을 대상으로 인증 획득 후 가족친화경영 수준을 파악하고 기업(관)이 인지하는 기업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증 후 컨설팅, 가족친화 직장교육 등 사후지원이 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족친화경영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기업(관)의 가족친화경영과 관련하여 가족친화 관련 제도의 규정화 운영수준은 높은 편이나, 성과지표 관리 측면은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관)의 실질적인 성과와 연동되는 가족친화경영 성과지표 산정과 측정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기업성과 중 기업(관) 홍보 및 이미지 개선과 조직신뢰향상, 사회적 성과 중 조직리더의 가족친화인식 향상과 성평등 직장문화 조성을 높게 인식하는 점을 정책적으로 홍보하고 기업(관)의 유인책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기존의 듀얼 아젠다 관점에서 확대된 제3의 아젠다인 사회적 성과로서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기업(관)의 파급력을 강조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전반적으로 인증 후 컨설팅이나 가족친화 직장교육의 경험이 있는 기업(관)이 없는 기업(관) 보다 가족친화경영 수준, 기업성과, 사회적 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친화경영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기업 및 사회적 성과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관)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elf-Disclosure of Breast Cancer Diagnosis by Iranian Women to Friends and Colleagues

  • Najmabadi, Khadijeh Mirzaii;Azarkish, Fatemeh;Latifnejadroudsari, Robab;Shandiz, Fatemeh Homaei;Aledavood, Seyed Amir;Kermani, Ali Taghizadeh;Esmaily, Habib O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879-2882
    • /
    • 2014
  • Background: Breast cancer (BC) is the most common form of cancer in Iranian women, and it remains a major health problem. An increasing number of young women are being diagnosed with BC, an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likelihood that more women will survive breast cancer for many years. Many opine that self-disclosure of BC diagnosis is important because talking about cancer helps people to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in fact, self-disclosure appea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y health outcomes. However, thi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BC patients in Ira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atus of self-disclosure of BC diagnosis by Iranian women to friends and colleagues. Materials and Methods: All BC records for 2001-2011 of employed women were studied at five hospitals in Mashhad. Data about the self-disclosure of BC diagnosis were gather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participa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about their status of self-disclosure of BC diagnosis to various groups of people. Results: The mean age of employed women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44.3{\pm}6.7$ years. Over 60% self-disclosed to work colleagues and over 90% to bosses/managers. Seventy per cent reported that they had support from their family and husband's family, while 95% reported that they had support from parents, siblings, children and friends. Conclusions: Most employed women self-disclosed freely to family, friends, colleagues and bosses/managers. Apparently, self-disclosure of breast cancer diagnosis may have negative effects at work. About half of patients reported that they had support from family, managers and colleagues; however, for nearly 28% of employed women, disclosure had less positive effects. In particular, it altered their perception of others, produced difficulties with work and family and diminished closeness with the people who were told. However, the stigma of BC is far less than it once was.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부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Married Couples' Attitude toward Family-Birth according to the Spouse's Participation Range of Family-Birth)

  • 이선영;오상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07-116
    • /
    • 2018
  • 본 연구는 가족분만에 배우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부부의 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족분만전체과정에 참여한 27쌍, 가족분만부분과정에 참여한 27쌍 총 108명이었으며 1차 자료는 가족분만 전에 직접수집하였고, 2차 자료는 가족분만 후에 이메일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임산부의 직업(Z=-2.012, p=.044), 가족형태(Z=-2.177, p=.029)에 따라 분만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계획된 임신에 따른 임산부의 가족분만 전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2.543, p=.011).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는 배우자가 가족분만 부분 과정에 참여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Z=2.302, p=.024).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배우자에게 일방적으로 가족분만에 전 과정에 참여할 것을 제안하기보다 가족분만에 대한 배우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참여의 범위를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족분만 관련 산전교육의 기초자료를 개발하여 가족분만 전에 임산부와 배우자에게 가족분만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방문교육지도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in Employe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cused Home-Visiting Educator)

  • 강성애;박정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391-40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for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ing educators.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192 home-visiting educators who work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rea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18.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stood at 3.29 points, subjects' age, averagely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activity career were shown to influence generally up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tress, and cultural competency.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groups with: a high age, small career, low averagely monthly income, and married. Secon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big in th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 Third, an examination of relati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educators indicated that the explanation power was 29.0%.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included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self-regulation, and role ambiguity. Self-regulation was greater for those with lower academic backgrounds and unmarri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lower role ambiguity. Thu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n't indicated to be significant. This has significance in having shown characteristics of job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Delirium-Related Knowledge, Caregiving Performance, Stress Levels, and Mental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in a Hospice Care Unit

  • Jung, Mi Hyun;Park, Myung-Hee;Kim, Su-Jeong;Ra, Jeo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116-12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caregiving performance, stress levels, and mental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insofar a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for delirium. Methods: Between May 1, 2019, and June 1, 2020, 96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delirium completed a structured survey, the results of which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correct answer rate for delirium-related knowledge was 53.2% across all subcategories, which included knowledge of causes (41.5%), symptoms (65.4%), and caregiving (51.7%). The average score for family caregivers' performance of caregiving for delirium was 2.60±0.5, with subcategories including caregiving for patients without delirium (2.16±0.95), caregiv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2.84±1.01), and stress related to caregiving for delirium (39.88±16.55), as well as categories such as patient-related caregiving (44.32±28.98), duty-related caregiving (44.21±30.15),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caregiving (22.35±25.03). For mental health, the average score among family caregivers was 1.96±0.70, with the highest score being for the category of additional items (2.28±0.84).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hyperactive delirium as the delirium subtype had higher scores for caregiving performance tha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mixed delirium. Conclusion: Scores for the delirium-related knowledge and caregiving performance of family caregivers were low, while their caregiving stress levels were high due to their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delirium-related education for family members of patients with delirium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help manage stress and promote mental health among family caregivers.

서서 일하는 작업에서의 정맥류 발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Varicose Veins in Prolonged Standing at Work)

  • 이윤근;임상혁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9-146
    • /
    • 2010
  • Recent studies suggest that prolonged standing at work is associated with varicose veins (VV).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VV risk in terms of work types in casino dealers and hotel service workers. Symptoms of VV were evalua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2,092 participants, and muscle fatigue in the lower legs were evaluat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shift rate of median frequency in Gastrocnemius was -30.0% among the casino dealers working in prolonged static standing posture, and - 14.3% among the casino dealers sitting during working time. After adjusting age, gender, smoking, and family history of VV, the risk ratio of VV was 3.67(95% CI 2.03-6.59) in group I (prolonged standing and occasional walking at work), 6.29(95% CI 3.48-11.35) in group II (prolonged standing, occasional walking and heavy lifting at work), and 8.07(95% CI 4.51-14.43) in groupIII(prolonged static standing at work). In conclusion, prolonged standing at work may be a work related risk factor of VV.

생산직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관련요인 (Work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 김광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2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ork stress and identify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stress in married women in working manufacturing industr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31 and June 28, 2003 from 266 married women working in 10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work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ronbach's alpha. SPSS/win 11.0 was used to assis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cores for work stress in the field of sub-categories 2. Perceived work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lary, behavior type, discomfort related to menstruation, consumption, duty type, job stability, weekly work time and family, 3.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work stress. Accordingly, stress management for married working women will be more successful if interventions not only address each person's unique needs, for example, control of perimenstrual discomforts and health behavior change, but also are accompanied by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xampl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and nursery facil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