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검색결과 1,976건 처리시간 0.024초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Childcare Culture for Women's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Corporate's Social Contribution)

  • 서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8
  • 기존의 기업문화를 고려하면, 여성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워 국가나 기업의 측면에서 인력손실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조직내 가족친화적 문화의 하나로 육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갖게 된다면 전통적 육아의 방식을 탈피하고, 노동시장 내의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통한 경쟁력제고와 더불어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분업의 문화가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가족중심의 가족친화적 문화로 변화를 이루어야 함을 피력하고, 직장보육시설의 확대를 위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정부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을 적절하게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추구와 더불어 사회적 공헌을 하여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이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family supportive supervisor behaviors on employees' performances)

  • 김영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03-111
    • /
    • 2021
  • 본 연구는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이 종업원의 직장에서 성과와 가정에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고 더불어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 수준이 어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가족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북거주 불특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346개의 표본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 수준 차이는 없었으나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가족친화적 행동은 종업원의 업무몰입, 종업원의 주관적 웰빙, 가족내 역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20-30대 미혼을 중심으로 (Work and Life Balance of Working Single-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Unmarried 20-30 Generation)

  • 송혜림;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55-70
    • /
    • 2021
  • 이 연구는 1인가구가 계속 증가하는 현상과 함께 1인가구를 주제로 한 연구가 축적되어야 한다는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으로 워라밸(일-생활 균형)에 대한 관심에 주목하여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실태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1인가구 중에서 미혼 20-30대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1인가구로서의 일상생활, 일-생활의 실태 그리고 일-생활 균형과 관련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인가구로 살게 될 때의 자발성, 1인가구 삶에 대한 준비와 계획 등은 1인가구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이나 여가활동에 있어서 돈과 시간이라는 자원의 영향이 크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가족과의 소통과 교류에서, 직접적인 대면은 충분치 않지만 메신저 사용을 많이 하고 있으며, 떨어져 사는 가족 특히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경제적, 정서적, 가사노동의 상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참여자들은 직장생활을 경험하면서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고, 일과 대비되는 생활의 영역에서 자기계발, 여가활동의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일-생활 균형의 장애요인으로 업무부담 외에 돈과 시간이라는 자원의 제약을 발견할 수 있다. 일-생활 균형을 위해서 경제적 지원 그리고 유연근무제와 같은 제도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1인가구로서의 삶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정경영 및 가족자원관리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집단의 일-생활 균형을 위해 맞춤형의 사업과 제도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농가부부의 노동과 여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가족복지대책 모색 (Labor and Leisure of Rural Couples: Family Welfare Implic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s)

  • 한경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3-154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gure out the labor and leisure of the rural coupl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s and to make some contributive suggestions for the higher quality of rural life. To solve the rural family's problems and to promote welfare reductive method of house work and farm-work active leisure-participation and other psyco-social approach etc. various methods are discussed.

  • PDF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Dual-Income Married Men'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Involvement)

  • 서종수;조희금;이재법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9-129
    • /
    • 2018
  • 오늘날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들은 훌륭한 인재의 확보 유치와 더불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에서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맞벌이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9일부터 9월 2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77명의 설문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별 특성을 파악하고,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만족은 직무자율성과 생활지도, 여가활동공유, 월소득, 직종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생활지도와 여가활동 공유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벤처창업기업을 비롯한 노동현장에서는 남성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직무자율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참여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직무만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효율적인 지역사회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현- 보건소의 가족단위 방문간호사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Database System for Efficient Community Health Management - Focus on the Home Visiting Care of Family as a Unit by the Health Centers-)

  • 최인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9
    • /
    • 2000
  • In recent years,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s of the health centers in Korea have been shifted from individual sick persons to families as a unit. As a result, the home visiting care records which are all filled out manually, will be increased. Since there is virtually no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munity health nurses, the CHNs are required to work more efficiently. One of the ways to make the CHNs' work more efficient is to reduce recording time by using a computer. However, a computer system that can manage the families as a unit has not yet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this need, we developed a database system that can be utilized in home visiting care service. The family assessment data is collected. diagnos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amily diagnosis classification. The system for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seven areas. Those areas are family structure. maintenance of the family system, interaction and interchange. support. coping and adaptation, health management. and housing environment. The areas of the family diagnosis consists of 99 items in all. We expect the following from this system. First. the CHNs will be able to identify family problems more easily. Second. the community's health level can be confirmed by the statistics the system produces. Thirdly, the CHNs' nursing services will be cost effective via reduced recording time. Finally, the family problems of the sick individuals which have been neglected under the health system oriented on individual persons can be effectively managed.

  • PDF

건강가정지원 사업에서 가족-중심 개입을 위한 개념모형 연구: 생태학적 접근 (Theoretical-Practical Strategies of Family-Based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An Ecological Approach)

  • 윤종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15-12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oretical-practical strategies of family-based intervention for the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used was an ecological approach, that is, taking viewpoints of client family's microsystems as well as those of exo- and macrosystems. This study raised several critical points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family-based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udy indicated why an ecological, family-based intervention model was a relevant alternative to investigate issues in family welfare and to deliver possible assistance and solutions for them.

가정생활 속의 남북한 여성의 삶 (The Life of women living in South-Korean and North-Korean in the family life)

  • 문숙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1-331
    • /
    • 1997
  • This paper begins with the question, 'What is the life of women living in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question is quite significant but not known well. In fact, there have been great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Korean societies since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the family life in women living in south and North Korea can not be exceptional. The task on which women in South and North Korea are currently facing is not only to overcome heterogeneity in such areas as politics, economics, and socio-cultural systems, but also to recover homogeneity we had shared for a long history before the partition. The difference in the ideology makes a difference to decide on a policy on the household work. It comes out of the socialization method of household work. In North-Korea, the collectivization of household work get a lot of accomplished in South-Korea. This made differences in the domesticity between South-Korea and North-Korea.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omesticity in North-Korea and South-Korea to prepare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Korea. To compare the family life in South-Korea and North-Korea, this study adjusts the focus of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Ther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ideology between the two political system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in order to help women manage their 'the double role' for home and workshop, the socialization of housework strategy has been strongly recommended. But socialization of housework strategy has been proven to have a number of problems: the loss of family individuality, inhumanization of family, family's scattering, and a low quality. Therefore, this strategy has not been used widely. But, the collectivization of housework has been used widely.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socialization of housework: the commercialism of housework(가사노동의 영리화), the collectivization of housework(가사노동의 집단화), and the public of housework(가사노동의 공공화). Otherwise, the commercialism of housework has been used widely in south korean society. Yet it is very far from North-Korean life due to a shortage of goods. As a result, the different idelogies result the different family life. The different family life is proven to the different socialization of housework. This is very significant. If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s realized, the socialiation of housework can be used a strategies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the South and the North.

  • PDF

'천안함 사건'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 (Psychosocial Experience in Cheonan Warship Incident Survivors)

  • 이윤수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43호
    • /
    • pp.87-110
    • /
    • 2014
  • 본 연구는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무엇이며, 그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심층면담으로 탐색했다. 천안함 사건 유가족이 느낀 군인의 죽음과 삶에 대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을 통해 '하늘이 무너져도 희망을 갖음', '언론보도와 군에 대한 억울함', '실종자 가족에서 유가족으로', '한 풀기와 따뜻하게 빨리 보내주고 싶은 마음'이라는 본질을 찾게 되었다. 바다에 오랫동안 방치된 전사자의 죽음은 국가와 사회에서는 매우 큰 정치 군사 외교적 이슈였지만 유가족들 개인에게는 큰 고통과 충격이었다. 천안함 사건 초기 상황에서 군과 언론의 잘못된 대처와 보도는 유가족에게 많은 상처를 주었고 집단의 힘으로 바로 대응하기 위해 그들 스스로 자조집단을 만들었다. 유가족들의 가족을 잃은 상실감은 천안함 사건으로 전사한 가족의 신분과 그 당시의 기후, 정부와 국민의 반응, 군에서의 유가족에 대한 대응과 포용, 시신의 유무와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군사회복지와 가족복지의 정책과 서비스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인과 집단의 위기개입과 임파워먼트 사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가족배경변인과 시간제취업경험이 청소년의 직업소망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Family and Work Experience on Occupational Aspirations of Adolescents: A Path Model)

  • 옥경희
    • 아동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9-168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from which to test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and work experience on the level of rural high school students' (N=381) occupational aspirations. In the basic model, mother's occupation directly influenced occupational aspirations. Father's education influenced occupational aspirations directly and also indirectly throug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working hours per week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a different path, working hours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parents' different treatment which especially focused on the fact that parents gave students more freedom compared to the relationship they shared before the students began to work. Enjoying school, studying homework, and extra reading were influenced by students' number of working hours. Two variables, extra reading and job characteristics, predict the social acceptance work attitudes which are a direct predictor of occupational aspirations. Academic achievement had a greater total effect on th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than any other vari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