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social Experience in Cheonan Warship Incident Survivors

'천안함 사건'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

  • 이윤수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3.12.30
  • Accepted : 2014.03.18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social experience in 'Cheonan Warship Incident Survivors'. The study question was how psychosocial experience in The Union of Family Bereaved by Cheonan Warship had been progressed. To answer this question 4 representers ofthe group and 2 reporters had been interview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Phenomenology method. From this study the group's experience in had been revealed that they first crisis intervention are to identify and reinforce the strengths and coping skills of a one's family. Second, they gathered their opinion together and assigned the roles to the members, and then, requested what they want responding reasonably. The families' love, the representers' quick judgements and decisions, and the embarrassment of the military and media for the dead, who had been abandoned for long and decayed under the cold ocean, made the national support and respectful treatment possible for the dead and the family.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applicable for individuals and groups, who need social work service as an empowerment intervention approach and crisis intervention are to identify and reinforce the strengths and coping skills of a one's family. The social worker's ability to anticipate, understand, and give therapeutic direction to the crisis reaction and the concerns of family members helps to bring around a successful crisis resolution. It is clear to us that wars, suicides, homicides in school settings, disaster and other events are providing unique challenges to social workers who a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the effects such events have on victims of traumatic events.

본 연구는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은 무엇이며, 그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천안함 사건 유가족들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심층면담으로 탐색했다. 천안함 사건 유가족이 느낀 군인의 죽음과 삶에 대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독특한 경험을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내고자 했다. 연구 분석을 통해 '하늘이 무너져도 희망을 갖음', '언론보도와 군에 대한 억울함', '실종자 가족에서 유가족으로', '한 풀기와 따뜻하게 빨리 보내주고 싶은 마음'이라는 본질을 찾게 되었다. 바다에 오랫동안 방치된 전사자의 죽음은 국가와 사회에서는 매우 큰 정치 군사 외교적 이슈였지만 유가족들 개인에게는 큰 고통과 충격이었다. 천안함 사건 초기 상황에서 군과 언론의 잘못된 대처와 보도는 유가족에게 많은 상처를 주었고 집단의 힘으로 바로 대응하기 위해 그들 스스로 자조집단을 만들었다. 유가족들의 가족을 잃은 상실감은 천안함 사건으로 전사한 가족의 신분과 그 당시의 기후, 정부와 국민의 반응, 군에서의 유가족에 대한 대응과 포용, 시신의 유무와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군사회복지와 가족복지의 정책과 서비스 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인과 집단의 위기개입과 임파워먼트 사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