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ethic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4초

치과기공사의 직업윤리와 교육에 대한 인식 (A Study on perceptions of vocational ethics and education among dental technicians)

  • 이선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72-378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fessional ethics and awareness of education among dental technicians. Methods: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to dental technicians from June 1 to October 30, 2019. Of these questionnaires, 106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state-run dental company has very strong ethical values. Higher levels of confidence in the professional mission of dental work were correlated with stronger ethical values. Moreover, those who had greater experience of training in the code of ethics for dental technicians exhibited a firmer sense of their professional mission. Conclusion: In the education process for dental technician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establishing and practicing professional ethics. Guidelines and programs should be revised accordingly to build awareness of ethical practices in the workplace.

Ethical Behaviors for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Researchers

  • Junhyuck SUH
    • 연구윤리
    • /
    • 제4권1호
    • /
    • pp.23-29
    • /
    • 2023
  • Purpose: While prior research has identified ethical issues in marketing research, more research needs to identify specific ethical behaviors that marketing researchers should adopt. This research addresses this gap by identifying a few ethical behaviors that marketing researchers should consid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has a justification to collect adequate textual data in the current literature using screening process based on the marketing ethics topics and themes, and ethical behaviors of marketing researchers. Results: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 marketing ethics model, which included the principles of fairness, honesty, responsibility, and respect for stakeholders. Since the rise of e-commerce and technology, a growing demand for a method to analyze website user behavior has been growing. Researchers in the field of marketing are responding to this demand by creating innovative interactive platforms. Conclusions: The term "ethical practices in market research" refers to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hat, when followed,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 research carries out is ethical, fair, and accurate. Because there needs to be more theoretical work done on the topic, there should be more empirical studies on ethical behaviors in marketing research.

응급구조사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조사 (Perceptions about the Professional Ethics of EMT)

  • 윤형완;이재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71-78
    • /
    • 2014
  • 응급구조사는 병원 밖 사고 현장과 응급실의 응급의료 행위에 대해서 복잡한 윤리적 문제가 야기된다. 소방현장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 500명을 대상으로 직업윤리의식과 태도, 이송한 환자에 대한 논의와 대책 그리고 임종에 관한 윤리의식을 설문하였다. 직업윤리의식과 태도, 이송한 환자에 대한 논의와 대책 그리고 임종관련에 대한 윤리의식을 설문해 보았는데 직업적 윤리의식이나 응급구조사가 가져야 할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응급처치나 이송한 환자에 대해서 결과를 논의하거나 예후를 알아보는 군은 자격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적절한 응급처치나 이송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토론 후 대책을 세우는 것으로 보여 졌으나, 지난 업무에 대해서는 그냥 넘어가기를 원하는 것과 책임문제로 상관에게 보고하는 경우도 있어 도덕적으로 비윤리적인 문제도 안고 있었다. 사망진단을 내릴 수 없는 응급구조사에게 임종관련 DNAR 문제로 윤리적 갈등을 심하게 겪고 있는데, 제도적 뒷받침이 미약하여 불필요한 치료를 하고 있다. 사고현장에서 윤리적인 문제들, 특히 DNAR 교육은 필요성에 비해 교육과 지침서의 지급률이 지역과 소속마다 차이가 심하였다. 따라서 응급구조사의 직업윤리교육과 지침이 반드시 필요하며, 응급현장에서 이용 시 많은 도덕적 오류들이 줄어들 것이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Connected Factors of Ethical Percep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윤정;장윤정;곽정숙;김수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
    • /
    • 2005
  • 본 연구는 치위생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윤리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초윤리 의식수준에 연관된 변수는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 임상실습경험, 직업윤리교육경험이었다.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한 학생들이 기초윤리 의식수준이 높았고, 임상실습경험과 직업윤리교육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기초윤리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면허법규 의식수준은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알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면허법규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3. 전문가윤리 의식수준에 연관된 변수는 치과위생사윤리강령 개정인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 윤리 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이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과위생사 윤리강령개정이었다. 4. 의사결정 의식수준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윤리의식을 배우는 역할모델이 교회라고 응답한 학생일수록 의사결정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5. 팀웍에 관한 의식수준은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인지와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인지이었다.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치과윤리교육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팀웍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았다. 6. 치과위생사윤리강령개정에 대해 모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88.4%이었고, 치과위생사 윤리강령개정을 알고 있는 학생의 전문가윤리 의식수준이 $3.44{\pm}0.23$으로 높았다 (p=0.000).

  • PDF

Factors Affecting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Secondary Data Analysis

  • Lee, Jung Min;Min, Hye Young;Kim, Yoo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04-212
    • /
    • 2021
  • Ethical sensitivity is a basic competency required for nursing students to work as professionals who will care patients in the clinical field after graduation.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knowledge on ethical sensitivity in undergraduate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ethic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that referred to a previous work measuring ethical sensitivity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ums. Among the participants, those who were third-year (t=2.345, 95% CI=[1.24, 14.64], p=0.021), female (t=2.635, 95% CI=[3.65, 25.69], p=0.009) and were satisfaction with major (t=-2.389, 95% CI=[-16.54, -1.50], p=0.019) consistently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on ethical sensitivity.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3.3%. Gender (Exp (B)=0.875, 95% CI=[0.804, 0.952], p=0.002) and year at universtiy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ethical sensitivity (Exp (B)=0.921, 95% CI=[0.873, 0.971], p=0.002). Based on the results, an appropriate ethics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provided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oth genders' perspectives, seniors' further development, and students experiencing low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Future nursing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se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develop nurs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that will further affect their ethical behavior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에 관한 연구 -이중관계(dual relationship)를 중심으로- (Social Workers' ethical beliefs and experiences -Focused on Client-Worker Dual Relationships-)

  • 김진숙;장연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235-26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어떤 윤리적 행동을 하고 있는지를 클라이언트와의 "이중관계"에 대한 신념과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중관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 정도,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조직의 특성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신념과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79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신념에 있어서는 이중관계에 대해 다소 허용적인 측면을 갖고 있으나, 실제 경험적으로는 윤리적인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소속된 기관의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의 차이는 연령, 결혼여부, 종교유무, 윤리교육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 교육수준, 경력, 기관형태, 업무형태, 직위, 사회복지사로 재직하면서 윤리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험과 기관의 윤리기준 유무, 주요 서비스 대상 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윤리교육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 신자현;정석희;이명하;양영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7-33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xperiences of ethical issues and needs for ethics education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in 2013. Participants were 428 clinical nurses working in the general units of seven medical hospitals. The Eth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Tool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9.0. Results: 'Providing care with a possible risk to your health' was the most frequent and disturbing ethical problems for nurses. The highest helpful ethical topic was 'the patients' right, autonomy and informed consent'. The ethical issue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ork units, and type of employment. The necessity of ethics educa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religion,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working as RN, position, shift type, and continuing education about nursing eth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ursing educators need to provide practical ethics education based on frequent ethical issues and helpful education topics.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clinical nurses and nursing organizations to improve nurses' eth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Practical Consideration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for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the Era of COVID-19

  • Kim, Yejin;Yoo, Shin Hye;Shin, Jeong Mi;Han, Hyoung Suk;Hong, Jinui;Kim, Hyun Jee;Choi, Wonho;Kim, Min Sun;Park, Hye Yoon;Keam, Bhumsuk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2호
    • /
    • pp.130-134
    • /
    • 2021
  • In the era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ocial distancing and strict visitation policies at hospitals have made it difficult for medical staff to provide high-quality end-of-life (EOL) care to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re are various issues related to EOL care, including psychological problem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ifficulties in EOL decision-making, the complicated grief of the bereaved family, moral distress, and exhaustion of medical staff. In relation to these issues, we aimed to discuss practical considerations in providing high-quality EOL care in the COVID-19 pandemic. First, medical staff should discuss advance care planning as early as possible and use the parallel planning strategy. Second, medical staff should play a role in facilitating patient-family communication. Third, medical staff should actively and proactively evaluate and alleviate dying patients' symptoms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Lastly, medical staff should provide care for family members of the dying patient, who may be particularly vulnerable to post-bereavement problems in the COVID-19 era. Establishing a system of screening high-risk individuals for complicated grief and connecting them to bereavement support services might be considered. Despite the challenging and limited environment, providing EOL care is essential for patients to die with dignity in peace and for the remaining family to return to life after the loved one's death. Effo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issues faced by all medical staff and healthcare institutions caring for dying patients should be made.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터넷 윤리의식 비교 (Comparison of Internet Ethic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이재호;이강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1호
    • /
    • pp.71-80
    • /
    • 2019
  •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터넷이 학생들에게 일상화되어 역기능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발견하고 다각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을 비교하여 향후 영재교육은 물론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농어촌에 비해 도시지역이,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일수록 낮은 지수를 나타냈다. 셋째, 유해콘텐츠 접촉 경험에 대해 10%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었으며, 사이버 가해 경험에 대해 1%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고학년 단계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 학교폭력예방, 정보통신문화 개선, 미래 직업윤리 강화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타 교과와의 중복성 분석에 기초한 중학교 가정교과의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 개발 - '자원의 관리와 환경'영역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of Concept Map as an Advance Organizer Based on Analysis of the Overlapped and Connected Contents between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hose of Other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 - Focused on '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 -)

  • 조수경;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1-152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을 중심으로 타 교과(도덕, 사회, 과학, 체육)와 중복되는 내용을 조사한 후 타 교과와의 중복된 내용을 가정교과에서 다룰 내용과 연결되도록 돕는 선행조직자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서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과 도덕, 사회, 과학, 체육교과서의 중복된 내용을 각각 분석하여 가정교과서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영역에 맞추어 소단원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자원의 활용과 환경' 단원에서는 도덕교과와 중복되는 부분이 많았으며, 특히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 환경보전 등의 태도 기르기와 중복되었다. '청소년의 일과 시간' 단원에서는 도덕, 과학교과에서 '일'이란 개념을 다룬다는 점에서 중복을 보였으나 도덕교과에서는 일의 개념정의에 치중하고 있고, 과학교과에서는 일의 개념에 대한 과학적 정의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한편 가정교과에서는 과학적 작업방법을 습득하여 일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청소년과 소비생활' 단원은 합리적인 소비생활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도덕교과와,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올바른 소비자의 역할을 제시한 사회교과와 중복 내용이 많았다. 그러나 가정교과에서는 개인으로서 청소년 소비자의 책임과 역할을 교육시켜 건전한 소비생활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올바른 소비행동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들이 제시되어 있다. 둘째, 선행조직자로서 개념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2학년 가정교과서 '자원의 관리와 환경'영역에 제시된 각 소단원의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2학년 가정교과의 '자원의 관리와 환경' 영역과 타 교과(도덕, 사회, 과학, 체육)의 중복된 내용을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추출된 중복개념을 유의미한 개념들끼리 묶어서 개념도 작성방법에 따라 '자원의 관리와 환경'영역의 각 소단원별로 7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행조직자로서 개념도는 가정교과와 타 교과의 중복된 내용지도에 있어서 가정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되고 흥미로운 수업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즉, 가정교과에서 타 교과내용과 동일한 주제, 개념, 교육내용, 문제를 다루더라도 가정교과의 목적이나 성격에 알맞게 중복된 내용을 구조화하면 학생들에게는 의미 있는 학습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