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Internet Ethic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터넷 윤리의식 비교

  • Received : 2019.04.18
  • Accepted : 2019.04.28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e Internet became a major 'space' of students' daily life and, at the same time, negative aspects of the internet are affecting their life. However, it doesn't seem that there is enough research on this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8 students in Gyeongg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dex was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dex. Urban districts showed lower index in the upper grades than the lower grades. Third, about 10%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 of contact with harmful content, and about 1% of students had experienced cyber-wrongdo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ystematic education of IT ethics at the elementary school grade level can be expect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impro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ulture, and serve as a future work ethic.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터넷이 학생들에게 일상화되어 역기능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발견하고 다각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을 비교하여 향후 영재교육은 물론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정보통신윤리지수가 일반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통신윤리지수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농어촌에 비해 도시지역이,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일수록 낮은 지수를 나타냈다. 셋째, 유해콘텐츠 접촉 경험에 대해 10%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었으며, 사이버 가해 경험에 대해 1% 내외의 학생들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고학년 단계에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 학교폭력예방, 정보통신문화 개선, 미래 직업윤리 강화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