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d symbol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게임 'Paper, Please'의 번역을 통한 콘텐츠 현지화 사례 연구: 한국어와 문화어 번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f Contents Localization Case on the Game 'Paper, Please': Based on the Korean and North Korean Translations)

  • 원호혁;구본혁;김형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45-160
    • /
    • 2019
  • 해당 연구는 게임 'Paper, Please'의 한국어(Korean) 번역본과 문화어(North Korean) 번역본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통해 언어와 이미지가 현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Paper, Please'의 문화어 번역본에 등장하는 북한의 언어와 문화적 개념은 북한의 외래어 사용하고 시대가 다른 각시탈을 비밀조직으로 차용하는 등의 오류가 존재함에도 불과하고 사람들에게 북한의 모습을 적절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현지화에서는 심각한 오류가 아닐 경우 사람은 이미지와 모티브로 해당 문화에 몰입하며 재미를 얻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국(中國)의 청루문화(靑樓文化) 고찰

  • 송경애
    • 중국학논총
    • /
    • 제62호
    • /
    • pp.71-84
    • /
    • 2019
  • Brothel in China is another word of origin and a noble expression at the same time. Brothel has long been used as a symbol of prestige and wealth as a synonym for integrity innocence. According to documentary records, brothel was used as a place where people with a lot of power and wealth. This meaning in the literature continued until the Late Tang period. In addition, the brothel was also used to refer to the place where the King resides. Therefore, the meaning of Brothel in the Tang period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place where people with high status symbolize the integrity of innocence. However, the image of the brothel,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lot of young and beautiful women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place where young ladies reside. For this reason, entering the Tang period the brothel eventually turned into a dwelling of a young woman in a prestigious and wealthy house. Since the time of Ming-Qing, brothel has already been used to refer to prostitute and brothel.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at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change of brothel, and examine the process of brothel culture through the environment of brothel and cultural literacy of resident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data to the study of women's cultural history in China.

디지털 텍스트의 음절을 이용한 운율 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hythm Information Visualization Using Syllable of Digital Text)

  • 박선희;이재중;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0-126
    • /
    • 2009
  • 정보화 시대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디지털 텍스트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많은 디지털 텍스트를 파악하기 위한 시각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텍스트 시각화 디자인은 스태밍 알고리즘(stemming algorithm)의 도입과 단어 빈도수를 추출하여 주제어를 형상화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주는 것에 치중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텍스트의 정서적인 느낌을 시각화할 수 있는 운율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서 미흡했던 부분이 사실이다. 운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운단위로는 음절을 들 수 있다. 문장에서 음절은 단어나 구, 문장의 발음에 가장 기본적인 발음 단위가 된다. 이를 기본으로 강세, 성조, 운율 요소들의 길이 등이 음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음절을 정의하는 것과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공명도(sonority)는 발화할 때 폐의 공기 흐름과 운동 에너지(Kinetic energy)를 공명도로 명시되는 음향에너지(acoustic energy)로 표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텍스트의 속성인 음절을 기반으로 음운론적 정의와 특성을 살펴보고 운율을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한다. 실험을 통해 디지털 텍스트를 발음기호로 변환한 후, 모든 언어속의 리듬에서 출발된 음절의 공명도를 사용하고 디지털 텍스트를 음절화하여 운율 정보를 이미지로 시각화한다. 운율 정보를 시각화함으로써 디지털 텍스트의 음절 정보를 알 수 있고, 디지털 텍스트의 정서를 다이어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공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도록 표현한다. 이에 해당 텍스트의 운율을 보다 쉽게 파악하도록 설계하여 디지털 정보 시각화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TV광고에 나타난 무용이미지의 기호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Semiological Implication of Dance Images in TV Advertisement)

  • 박아영
    • 트랜스-
    • /
    • 제1권
    • /
    • pp.21-44
    • /
    • 2016
  • 본 논문은 광고와 무용이 어떤 기호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광고 안에서 그려지는 무용과 무용수의 모습이 가진 기호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무용으로 표현된 기호들이 광고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알아보고, 무용 그 자체의 기호적 의미를 재평가함으로써 일반 대중이 무용을 수용하는 방식과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고 관련 제작자 및 연출가의 관련 자료를 확보 하였으며, TV광고에 나타난 신체기호로서의 무용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연구목적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미지 및 효과를 분석한다. TV광고 분석은 TVCF 홈페이지, www.TVCF.co.kr 자료를 참고로 연도별 광고에 활용된 무용분야의 빈도수 중 가장 많을 때인 2008년 TV광고4편 남광토건, 롯데백화점(프리미엄세일/상품권), 현대자동차산타페- 필로볼러스(Pilobolus), 2011년 1편 PNS더존샤시- 아레나 디 베로나(Arena di Verona)로 제한한다. 또한 각각의 광고를 반복적으로 본 결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기준으로 무용수의 움직임이나 통선이 크게 바뀌는 부분과 화면 문구가 변경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무용의 이미지 분석은 신제 이미지(선, 의상, 표정), 무용 이미지(움직임의 형태, 질적 특성, 춤의 분위기)에 따른 구조를 살피는 방식으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 TV광고에 나타난 기호적 무용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논의 될 수 있다. 첫째, 무용을 활용한 광고에서 무용이 가진 상징과 기호가 광고하려는 물질적 대상에 일치한다. 예컨대 이용우가 출연하는 TV광고에서 그의 기표로서의 움직임은 빠른 턴, 점프, 아쌈블레, 터닝 점프, 슬라이딩 등을 통해 남광토건 기업의 미래의 도전이라는 기의를 알 수 있다. 둘째, 발신자의 의도에 따른 무용수의 신체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반면, 무용 이미지의 경우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V광고에 나타나는 기호적 무용의 이미지는 대중들로 하여금 시청함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특히 TV프로그램 중에서도 광고는 선택의 여지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광고만을 시청하기보다는 방송사측에서 편성된 프로그램의 방영으로 부득불 자주 노출되며 이로써 오랜 시간 머릿속에 잔상으로 남게 됨으로 수신자 개개인의 생각과 특성여부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이처럼 광고는 일반인들이 예술문화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며, TV 광고를 통한 대중예술의 전파는 소수계층에게만 수용되었던 순수예술을 대중에게 폭넓게 노출시킴으로써 오늘날 진정한 대중문화로서의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에탄올에 의한 신경행동기능 장애 평가 (Effects of Ethanol on Neurobehavioral Performance)

  • 전만중;사공준;강복수;김문찬;김학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83-196
    • /
    • 1997
  • 유기용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농도의 유기용제가 신경행동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신경행동기능 영역중 에탄올에 민감한 기능영역을 선별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학생중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신경행동학적 검사를 1996년 8월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체중 kg당 100% 알코올 0.5g을 섭취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순반응시간, 색단어구분, 숫자구분, 손가락두드리기, 숫자더하기, 부호숫자짝짓기, 숫자외우기를 시행하였다. 알코올 섭취 전과 후의 신경행동기능의 변화량은 단순반응시간(반응시간 237.4 : 269 msec, p<0.01), 숫자구분(반응시간 490.4 : 553.9 msec, p<0.01), 우수의 손가락두드리기(반응시간 66.7 : 63.3, p<0.05)와 부호숫자짝짓기(반응시간 1958.7 : 2066.6 msec, p<0.05)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평소 음주량이 많을수록 단순반응시간, 열수의 손가락두드리기, 부호숫자짝짓기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우수의 손가락두드리기에서 두드린 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흡연량이 많을수록 열수의 손가락두드리기에서 두드린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알코올의 급성폭로 후 나타난 결과로 만성적 폭로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이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향후 유기용제의 만성효과에 관한 역학적 연구를 위한 신경행동학적 검사항목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래동화 『빨간모자』와 영화 <아저씨>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Signifier of Father on the Traditional Fairy Tale『Le petit chaperon rouge『 and the Korean Film <Uncle>)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65-75
    • /
    • 2012
  • 농경, 산업, 정보, 지식 사회를 거치면서 무의식의 유산으로 아버지(혹은 남성)는 법, 질서, 규제, 보호자, 훈육자 등등의 표상으로 고정화되었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 "빨간모자"를 통해 어린 독자가 사회의 기초적 단위, 즉 '나'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개념을 익히고 동시에 아버지를 제도로서의 단위로 인지하고 있음을 볼 것이다. 영화 <아저씨>의 관객도 전통적 가족의 필요성과 질서의 주체로서의 아버지의 표상을 구하고 있음을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아버지는 '나'의 강력한 보호자이자 동시에 실체가 없지만 이름만으로도 영향력을 행사하는 형상, 마치 기독교 예배의식에 나타난 하느님 '아버지'처럼 기표만으로도 법, 질서, 금기, 규제 등등을 운용하는 무형적 존재로서도 작동하고 있다. 본고는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분석을 통해 아버지의 기표가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두 장르에서 드러나는 '아버지' 기표의 유사성도 검토하고자 한다. 아버지(남성)는 한편으로 정치적 폭군이거나 범죄자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부당한 권력의 대항자로 또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립적 구도는 우리가 검토한 "빨간모자"와 <아저씨>의 서사적 구조 속에 잘 묻어있다. 동화 속의 아버지는 욕망과 억압의 표상으로 드러나며, 동시에 독자는 아버지의 부재를 통해 가족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영화 속의 아버지는 사회적 약자의 수호자로 묘사되며, 전통적 가족의 틀과 질서의 주체로서 그려진다. 이렇게 아버지의 기표는 두 장르에서 사회적 '제도'라는 기의와 조응하면서 인류문화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이트헤드의 언어 이해와 상징적 연관 (Language and Symbolic Reference in Whitehead′s Philosophy)

  • 문창옥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147-166
    • /
    • 2004
  • Whitehead's discussion of language is not to be found in any one book or article. It is interwoven with his discussion of many other questions. He was, however, greatly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symbolism in general and the uses of language. He regards language, spoken or written, as an instrument devised by men to aid them in their 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Language is used for many specific purposes in the process of this adjustment. Words are employed not only to refer to data and to express emotions. They may be used also to record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se experiences. Worts also function as instruments i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s as they are considered in retrospect. Thus words free us from the bondage of the immediate. And Whitehead's theory of meaning is implicit in his discussion of the functions of language. According to him, the human mind is functioning symbolically when some components of its experience elicit consciousness, beliefs, emotions, and usages, respecting other components of its experiences. The former set of components are the 'symbols', and the latter set constitute the 'meaning' of the symbols. Whitehead points out that one word may have several meanings, i.e. refer to several different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us, the meaning to which a word refers, it is sometimes very important to appreciate the system of thought within which a person is operating. Further, Whitehead's discussion of language includes a number of cogent warning the deficiencies of language, and hence the need for great care in the use of words. In fact, language developed gradually. For the most part we have created words designed to deal with practical problems. Attention focuses on the prominent features in a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hanging aspects of things. With reference to such data our words are relatively adequate. However, this issues in an unfortunate superficiality. The enduring, the subtle, the complex and the general aspects of the universe do not have adequate verbal representation. for this reason, Whitehead's position concerning the uses of language in speculative philosophy is stated with pungent directness. The uncritical trust in the adequacy of language is one of the main errors to which philosophy is liable. Since ordinary language does not do justice to the generalities, profundities and complexities of life, it is obvious that philosophy requires new words and phrases, or at least the revision of familiar words and phrases. Proceeding to develop the theme Whitehead contends that words and phrases must be stretched towards a generality foreign to their ordinary usage. In the same vein Whitehead refers to the need to realize that language which is the tool of philosophy needs to be redesigned just as in physical science available physical apparatus needs to be redesigned. But even these words and phrases, stretched or redesigned, are never completely adequate in philosophical speculations. They are, in his opinion, merely a great improvement over ordinary language or the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or symbolic logic.

  • PDF

근대화시기 주거공간을 통해 본 아동관과 아동공간의 고찰 - 1920년대~1960년대까지 -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for Children During Korea's Modernization Period as Explored through Housing Cultures and Floor Plans : From the 1920s to the 1960s.)

  • 은난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63-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and spaces provided for them. by analyzing people's daily lives in housing spaces and architects' floor plans between the 1920s and the 1960s. Different kinds of data were obtained from a variety of early literature, research reports, newspaper articles, historical documents, and magazines from the perio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fore modernization in Korea, children had been regarded as immature persons. Confucian ideas of children viewed them as 'small adults' or 'immature adults.' Thus spaces for children's daily lives were neither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the adults' nor deemed important. However, since the Western invasions and colonization by Japan, a remarkable change in the attitudes toward children took place. Children began to be considered a hope for the future as well as members of modem families.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new word, 'eorini (children),' by Mr. Bang Jeonghwan, brought about a significant change in social consciousness of children. 2. The appearance of 'adongshil (children's room)' on architects' floor plans, which was a result of the social critique against androcentrism during the l930s and 1940s, was highly meaningful. The new floor plans not only emphasized rationalization of the space but also upgraded the children's status in the family. 3. Since the liberation (1945), children's space was differentiated from parental spare by the introduction of private rooms and shared spaces. The privacy of each generation was expressed by the division, and the generations were considered equal in this space distribution. In conclusion, the appearance of children's rooms required conflict-laden changes of social ideals and of the family system. It also was a symbol of modernization.

"원씨물어"나타난 복식자료 연구

  • 문광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5-169
    • /
    • 1997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lothing and Textiles recorded in $\ulcorner$Genjimonokatary (원씨물어)$\lrcorner$. This book is a novel written by a Japanese sextant worked in the Royal Court around the year 1010. In this book, about 110 different kinds of Garments, Ornaments, Colors and Materials were mention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1. About the Garments 8f Ornaments ; All the Clothing and Textiles in $\ulcorner$Genjimonkatary$\lrcorner$ were reflections of the reality of that time. In the Clothing, Color, Textile and even Hair style, the Symbol of Buddism appeared. Many technical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garment shaping, dyeng and wearing methods. 2. About the Colors Sf Dyes; There were many kinds of Color SE Dyes described in $\ulcorner$Genjimonokatary$\lrcorner$. This means color was developed more than other elements in that period. Among them, gray and black colors were mentioned, this means Buddist Color was fashioned in that period. $\ulcorner$Kasaneno-irome (강색목)$\lrcorner$ was changed from Ungan (운간) that had been origined of China and Korea. But it became one of the Japanese Costume. That have some reasons, for instance, high materials could not be imported from other countris and many people were controlled by the Taboo of clothing (금제) so they wanted the better method, such as Kasaneno-irome. Many kinds of colors'name was origined from flowers and plants. It also represented the seasons. Yurusi-iro (청색) was meaning the permitable color to the popular people. Without the head word, Deep Color' and 'Pale Color' meant those things of the purple and red. 3. About the Materials IE Patterns : The materials imported from other country, China and Korea, were good in quality, but those produced in Japan were not good. There were many kinds of dyeing method, especially Srijome (신염) was very special and nice method in that period.

  • PDF

현대 식음공간 실내디자인의 초현실주의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surrealistic expression of the interior design of Contemporary Food & Beverage Space)

  • 박민석;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1-236
    • /
    • 2007
  • The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change have been changed rapidly running for function value on the part of part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The transfer to the society focused on a human being emphasis and symbol value is in progress rising with natural desire of recurrence of human nature accordingly and desires of a human being inborn of sensitivity-oriented and pluralism-oriented are being expressed. Answering these social and cultural demands, concerns about an arbitrary mind world of a human being and pursuit dispositions about impractical and transcendental world are coincided with to the purpose and so various kinds of expressions except for art sphere are being experimented and applied. Here upon also in the field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answering sensual desire of users, various arts and cultural tendency, the concept of surrealism is being applied in design introducing the concept of surrealism positive. And fantastical and unreasonable expression features of surrealism are being used as subjective essential elements to make new spaces. Especially amoung various kinds of the interiors designs, the features like surrealistic expressions in Food & Beverage Space which proper identity and strong symbolism will be expressed can be recognized as appropriate expression patterns to give still more sensitivity stimuli to customers. Thus this research disclosed conceptual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surrealism and also analyzed and studied surrealistic expression features applied to the interiors designs of Contemporary Food & Beverage Space through expression disposition, study and classification of techniques. And standing on the result of analyzing surrealistic expression features of Contemporary Food & Beverage Space with a key word of expression features derived we groped for estatescape trend demanded in Food & Beverage Space and direction com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