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fire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8초

화재 발생 시 목재 수종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Assessment of Fire Risk Rating for Wood Species in Fire Event)

  • 진의;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423-430
    • /
    • 2021
  • 본 연구는 건자재용 목재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위험성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III, -IV에 의한 화재성능지수-III (FPI-III), 화재성장지수-III (FGI-III), 화재위험성지수-IV (FRI-IV)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시험편은 적삼목, 전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를 사용하였다. 화재 특성은 시험편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FPI-III는 polymethylmetacrylate (PMMA) 기준으로 0.86~12.77로 나타났다. FGI-III는 PMMA를 기준으로 0.63~5.26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 지수인 FRI-IV에 의한 화재 등급은 0.05~6.12였으며 적삼목이 단풍나무와 비교하여 122.4배 높았다. FRI-IV에 의한 화재위험성 등급은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전나무, PMMA, 적삼목 순서로 증가하였다. 모든 시편의 CO 피크농도는 103~162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의 허용기준(permissible exposure limits)인 50 ppm보다 2.1~3.2배 높게 나타났다. 적삼목과 같이 체적밀도가 작고 휘발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한 소재는 FPI-III가 낮고 FGI-III가 높으므로 화재위험성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속마을 초가집의 방염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Fire Spreading Prevention of Straw-roofing House in Folk Village by Flame Resistant Treatment)

  • 박호천;김황진;이승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2-5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방염에 의한 초가지붕과 목재구조에 대한 화재 예방대책을 고찰하였다. 초가지붕 재료인 볏짚에 함침시간을 달리하여 방염처리를 한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후에도 방염성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목재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방염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압함침법과 진공가압법, 붓칠 등의 방법으로 방염처리 하였다. 볏짚의 방염성능은 콘 히터를 이용하여 착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목재의 방염성능은 45도 연소시험과 콘 히터 실험을 통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수 가연물인 볏짚의 경우 방염처리한 볏짚의 착화지연시간이 처리되지 않은 것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으며 방염처리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경우에도 처리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방염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경우 진공가압법으로 방염처리한 시료의 방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붓칠이나 상압함침한 경우에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화재 확산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목 연료 난방설비의 화재 위험 감소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 response method to reduce fire risk of wood fuel heating system)

  • 박경진;이봉우;이근출;남기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63-171
    • /
    • 2019
  • Recently, rural housing in urban area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level. With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house, the installation of the heating system using the harmonious fuel for the purpose of heating and the beauty of the room is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 to the increasing use of firewood heating equipment, the incidence of fire is also increasing. Analysis of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of the Fire Departmen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 Many parts of the fire are incinerated by the accumulation of tar due to the incompleteness of periodic cleaning inside the cylind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ceiling, Resulting in fi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uch of the fire of the firewood heating system in the time zone occurs during the sleeping and resting time and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the residents to cope. This, in turn, causes serious harm to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users of the pyrotechnic heating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nd laws related to fuel oil heating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12 cases of fire accid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fire prevention and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law, the installation standards of the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were presented.

환경조건(습도,바람(풍),온도)에 따른 연소특성의 이해

  • 임홍순
    • 방재기술
    • /
    • 통권10호
    • /
    • pp.19-26
    • /
    • 1991
  • This reoprt intended to apprehend the principle for combustible phenomena in the environments and the prediction of its hazard in the virtual fire. So we first explained the basic machanism for the combustion, and discovered the tendency of the conbustion in the condi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Humidity, Wind, Temperature) by means of some sxperiments about the wood as example.

  • PDF

Compression Behavior of Wood Stud in Light Framed Wall as Functions of Moisture, Stress and Temperature

  • Park, Joo-Saeng;Lee, Jun-J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19-28
    • /
    • 2006
  •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in recent times in light-timber med structures in fires. These structures have included horizontal (floor-like) panels in bending and walls under eccentric and approximately concentric vertical loading. It has been shown that compression properties are the most dominant mechanical properties in affecting structural response of these structures in fire. Compression properties have been obtained by various means as functions of one variable only, temperature. It has always been expected that compression properties w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moisture and stress, as well. However, these variables have been largely ignored to simplify the complex problem of predicting the response of light-timber framed structures in fire. Full-scale experiments on both the panels and walls have demonstrated the high level of significance of moisture and stress for a limited range of conditions. Described in this paper is an overview of these conditions and experiments undertaken to obtain compression properties as a functions of moisture, stress and temperature. The experiments limited temperatures to $20{\sim}100^{\circ}C$. At higher temperatures moisture vaporizes and moisture and stress are less significant. Described also is a creep model for wood at high temperatures.

발화온도 산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Program for Ignition Temperature and Its Applications)

  • 박원희;조영민;권태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43-250
    • /
    • 2017
  • 목재와 같은 고체에서 불이 붙는 화재현상은 고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받아 재료가 열분해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가스가 연소되는 현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의 열분해 현상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에너지의 양, 고체재료의 열이 확산되는 정도, 고체표면과 인접하여 있는 공기와의 열전달 정도를 포함한 고체재료와 주변과의 열전달 및 고체의 표면방사율 및 주변의 공기 중 산소의 분율 등 매우 여러 인자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현상을 가장 간단히 모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발화온도를 산출하였다. 콘칼로리미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목재시편을 이용하여 목재시편에 유입되는 열유속을 다양하게 제어하여 발화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화온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발화온도 산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고려된 목재는 5종류로 저밀도 MDF, 고밀도 MDF, 합판, 방부목, PB 등이며 다양한 두께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발화온도는 고체의 화재 전파현상을 해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탄소재료의 적용 방법에 따른 파티클 보드의 연소 특성 (Evaluation of Fire Characteristics for Particle-board with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Added)

  • 서현정;조정민;황욱;이민철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xGnP) applied for particleboard. This work measured heat release rate(HRR), total heat release(THR) and smoke production rate(SPR) of xGnP added particleboard, using cone calorimeter to assess its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S F ISO 5660-1 standard code. Heat release rates of all specimens treated by xGnP were less than the $200kW/m^2$ for a total experiment period of five minutes. Heat release rates of the specimens coated with xGn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specimens made by mixing wood particles with xGnP directly. Meanwhile, the total heat release rates of xGnP coated specimen maintained quite lower level than the uncoated so the xGnP coat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ire retardant performance of particleboard. However, the smoke emission peaking problem at the initial combustion period, which was caused by adding base coating materials, should be resolved for further satisfaction as a fire retardant materials.

BDG 농도변화에 따른 용수의 목분 침투특성 연구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Water that Penetrates Wood Flour due to Changes of Concentration of BDG)

  • 공일천;박일규;임경범;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4-79
    • /
    • 2013
  • As the feature of fire, it is hard for deep-seated fire to spread to the deeper site, and it also has danger for being re-ignited cause of recontacting with oxygen after being put off. Now it is ruled in the certification criteria of wetting agent used for extinguishing deep-seated fire that the criteria for surface tension is below 33[mN/m] in Korea. For figuring out how much water for fire-fighiting can permeate into combustibles, in this research, the permeating performance is analyzed by measuring the speed of permeating and transmission quantity released after that, by pouring solution whose surface tension is changed by adjusting concentration of surfactant BDG(Butyl Di Glycol) in column From this result, it is can be determined that transmission quantity becomes less and wet area goes wider as surface tension is lower, and it is also able to be analyzed as quantity of absorbed liquid and wet area is increased because fluid permeates into the core.

목재의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및 난연성 개선을 위한 진공가압 멜라민 수지함침처리 (Vacuum Pressure Treatment of Water-Soluble Melamine Resin Impregnation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y, Abrasion Resistance and Incombustibility on Softwood)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792-797
    • /
    • 2015
  • 진공가압 수지함침 처리에 의한 목재의 휨강도,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침엽수 3수종에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수지농도와 처리시간별로 진공가압 처리한 후 수지함침 열압축목재(compreg)를 제조한 다음 물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같은 수종에 수용성 난연제를 도포처리하는 방법과 진공가압 후 열압처리 방법으로 제조한 다음 난연성 향상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휨강도 및 브리넬 경도는 증가하였고 내마모성은 향상되었으나, 처리시간과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난연성은 도포시험편 보다 진공가압처리 시험편이 총 방출열량이 감소하여 진공가압처리에 의한 난연성 개선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표준화염(標準火焰) 노출시(露出時) 목재(木材) 보의 거동(擧動) 예측(豫測)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ediction about Behavior of Wood Beam under Standard Fire Condition)

  • 김리건;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10-17
    • /
    • 1995
  • 본 연구는 화염에 노출된 목재 부재의 거동에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목재 보에 대한 현행 내화 모델들은 외곽부 섬유의 MOE나 휨강도의 감소, 그리고 화염노출의 계속으로 인한 단면의 감소 등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모델들은 정확한 거동 예측이 힘들다. 따라서 목재 보의 거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변형 단면을 이용한 내화거동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변형 단면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온도분포 온도와 목재의 물리적 성질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도와 목재의 휨성질간의 정확한 관계가 제공되기만 한다면 본 방법이 화염에 노출된 목재 보의 변형을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