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preading Prevention of Straw-roofing House in Folk Village by Flame Resistant Treatment

민속마을 초가집의 방염에 의한 화재확산방지

  • 박호천 (에이스엔지니어링) ;
  • 김황진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 이승현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 이성은 (호서대학교 산업안전연구센터) ;
  • 오규형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Received : 2010.03.19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Fire protection countermeasure were considered on the straw thatched roof and wooden structure. For the fire resistant treatment, rice straw was soaked in the fire resistant liquid with different soaking time. After treatment, some rice straw sample was washed with water then the rice straws were tested to check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the wood was soaked in the fire resistant liquid at an atmospheric pressure, vacuum-pressure condition and painted with brush on the surface. To analyse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rice straw, ignition delay time was measured under the radiant heat flux of cone heater. And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wood samples were tested with 45 degree fire resistant test apparatus and cone heater. Based on the cone heater test, the rice straw which most easily ignitable material shows the longer ignition delay time than not treated ones and even in the water washed straw show a longer ignition delay time than not treated ones. And fire resistant treated woods of vacuum-pressure treated sample showed the most excellent performance on fire resistance. And the fire resistant treated by brush and soaking showed a longer ignition delay time than not treated one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a fire resistant treatment of rice straw and wood of the house can be protected from the fire spread.

본 논문에서는 방염에 의한 초가지붕과 목재구조에 대한 화재 예방대책을 고찰하였다. 초가지붕 재료인 볏짚에 함침시간을 달리하여 방염처리를 한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후에도 방염성능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목재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방염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상압함침법과 진공가압법, 붓칠 등의 방법으로 방염처리 하였다. 볏짚의 방염성능은 콘 히터를 이용하여 착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으며 목재의 방염성능은 45도 연소시험과 콘 히터 실험을 통해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수 가연물인 볏짚의 경우 방염처리한 볏짚의 착화지연시간이 처리되지 않은 것보다 훨씬 길게 나타났으며 방염처리 후 물에 침수시켜 세척한 경우에도 처리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방염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의 경우 진공가압법으로 방염처리한 시료의 방염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붓칠이나 상압함침한 경우에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착화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나 화재 확산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원, "문화재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7).
  2. 문화재청, "중요 목조 문화재 방염제 도포실적통계자료"(2009).
  3. 한국소방산업기술연구원, "방염성능의 기준 및 시험 세칙", KOFES 1001.
  4. 김황진, "방염도료의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5. 한국화재소방학회, "방염업무개선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2008).
  6. Richard Horrocks, Dennis Price, "Fire Retardant Materials", CRC Press(2001).
  7. Quintere, "Principle of Fire Behavior", Delmar (2003).
  8. 박형주, 김홍, 오규형, "난연처리된 Douglas Fir의 탄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9, No.2, pp.105-11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