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soybean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51초

자초근 대두유에 대한 산화안정성 검토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Oil Containing Lithospermum erythrorhizon)

  • 김진숙;이지현;장영은;한영실;강명화;한귀정;조용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3-289
    • /
    • 2005
  • To investigate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ed oil, we prepared extracted oil from the cultivated and wild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by autoclave method with soybean oil. The oil were stored for 30 days at $60^{\circ}C$, and the peroxide value (POV), acid value (AV) and carbonyl value(CV) were measured periodically. The weight was highly decreased in the oil added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during the storage period. POV of soybean oil containing wild and cultivated Lithospermum erythrorhizon was generally enhanced with prolonged storage time, with the POV of the samples being lower than 100 meq/kg.oil after 30 days of storage. However, the POV of soybean oil was higher than 100meq/kg.oil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pattern of the changes of AV and CV of soybean oil containing wild and cultivated Lithospermum erythrorhizon, were almost constan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Nevertheless, the pattern of the changes of AV of soybean oil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20 days of storage, and that of CV of soybean oil was rapidly increased duringdays of storage and then slowly increased during the remainder of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soybein oil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20 days of storage and then slowly decreased during the reminder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wild and cultivated Lithosyermum erythrorhizon added antioxidant activities to the autooxidation of soybean oil.

Antimutagenic Effects on Aflatoxin $B_1$ of Soybean Pastes Fermented by Bacillus Strains

  • Lee, Eun-Ju;Lee, Hyo-Jin;Kim, Jo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878-880
    • /
    • 2005
  • Antimutagen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various soybean pastes against aflatoxin B1 were examin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Antimutagenic activities of boiled soybeans, Japanese Miso,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s, soybean pastes fermented by wild type strains, and soybean pastes fermented by mutants, transformants, and cell fusants were 53.6 to 54.6%, 73 to 79.7%, 78.3 to 95.7%, 85 to 97.1%, 71.9 to 78.3%, 65.5 to 77.7%, and 73.4 to 79.0%, respectively. Soybean pastes fermented by wild type strains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fermented by mutant, transformant, and cell fusant strains.

종자 크기가 다른 콩 종류의 콩나물 생장과 물성 (Growth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Sprouts of Soybean Groups with Different Seed Size)

  • 황승필;박의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1-317
    • /
    • 2011
  • 이 실험은 다양한 크기의 종자로부터 콩나물을 키우고 콩나물의 생장 및 물리적 특성으로 조사함으로써 나물콩 품종육성과 나물콩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대립 및 중소립 재배종 각각 3품종, 야생종과 재배종 교잡종 소립 3품종, 극소립 야생콩 3계통을 공시하여 4일간 콩나물을 키운 뒤 생육특성과 콩나물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콩나물 재배 96시간 후 배축 길이는 품종간 차이가 컸는데 황금콩, 풍산나물콩 및 소영이 가장 길었으며 극소립인 야생콩 계통들이 짧았다. 특히 대립종인 황금콩은 72시간까지 소립 나물콩 품종들과 비슷하게 생장하였으며 96시간 후에는 15.9 cm로 가장 길었다. 극소립 야생종계통은 재배 48시간 후부터 72시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원료콩 1 g당 생장량도 월등히 많았으나 다른 품종들은 비슷한 증가양상을 보였다. 재배 96시간 후 단위 종자당 콩나물 생체중 증가비율은 소립일수록 컸으며 콩나물 수율도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생체 배축의 hardness는 장엽콩이 3,505 g으로 가장 컸고 야생종 YWS516이 1,750 g으로 가장 낮았다. Mastication는 태광콩이 1,65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YWS516이 1,079g으로 가장 낮았으며 배축의 cutting force는 은하콩이 133 g으로 가장 크고 YWS516이 51 g으로 가장 낮았다. 익힌 후의 cutting force는 모든 품종에서 증가하였는데 전체적으로 종자크기가 클수록 물성특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축의 breaking force는 장엽콩이 83.5 g로 가장 컸고 야생콩이 가장 낮아 종자크기가 클 수록 증가하였다.

RFLPs of Mitochondrial DNA in Korean Wild Soybeans

  • Ouk-Kyu, Han;Jun, Ab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3-247
    • /
    • 1999
  •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re convenient markers for identifying cytoplasmic variation among plants. We have collected 212 wild soybeans (Glycine soja Sieb. et Zucc) from all over Korea, and classified mitochondrial genome types based on hybridization patterns in DNA gel-blot analyses using two mitochondrial DNA clones, cox2 and atp6, as probes. Korean wild soybean was classified with eight-mtDNA types, and some of the mtDNAs showed geographical clines among the regions. The diversity index of the mtDNA was much higher in the western and southern regions than in the ea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Korea, respectively. Dissemination and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of wild soybeans in Korea were discussed.

  • PDF

한국 재래종 및 야생종 대두의 Trypsion Inhibitor 변이 (Trypsin Inhibitor Variants in Korean Land Races and Wild Soybeans)

  • 권신한;채미령;박경숙;송희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1-175
    • /
    • 1990
  • 1.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국내외 재래종과 야생종 대두 계통들의 trypsin inhibitor의 변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이 시도되었으며 1706계통의 한국산 재래종과 103계통의 한국 야생종콩, 그리고 167계통의 외래 재배종과 71계통의 외국 야생종 대두가 공시되었다. 2. Trypsin inhibitor를 함유하지 않은 ti/ti형과 Ti c/c형은 한국 재래종에서만 발견되었으며, Ti$^{*}$ c형을 Hymowitz도 일본 대두품종에서 보고한 바 있으나 그도 이 계통은 한국 도래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한 바 있다. 3. 한국기원의 콩에서 trypsin inhibitor에 관한 이형접합형의 출현빈도가 외국 기원 콩 계통에서 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재래종에서 3.6%(N=61)와 야생종에서 9.7%(N=10)이었으며 종합적으로 보아 중국, 일본 등의 대두에 비해 한국 기원의 콩이 가장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콩 유전자원의 SSR Profiling과 변이 (SSR Profiling and Its Variation in Soybean Germplasm)

  • 윤문섭;이정란;백형진;조규택;김창영;조양희;김태산;조은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1-88
    • /
    • 2007
  • 본 연구는 농진청 종자은행에 보존된 한국, 중국 및 일본 재래종 콩과 한국 야생콩의 SSR profile 작성과 그들의 유전적 구조 해석을 위해 9개의 SSR 마커에 의해 분석되었다. 1. DNA profiling은 유전자좌별로 2,855(Satt458)점$\sim$4,368(Satt197)점이 분석되어 35,655건이 데이터베이스화되었다. 2. 총 대립인자수는 267개였고 유전자좌당 평균 29.6개의 높은 다형성을 나타냈다. 유전자좌별 대립인자 수는 21개(Satt532 및 Satt141)부터 58개(Sat_074)까지 나타났다. 자원내력별 대립인자수는 한국 야생콩에서 196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재래종 콩에서는 가장 적은 115개로 나타났다. 3. 집단에 따른 유전자좌별 대립인자의 범위로 한국 재래종 콩이 가장 많은 5개의 유전자좌(Sat_074, Satt141, Satt286, Satt545, Satt458)에서 다음으로는 한국 야생콩이 4개의 유전자좌(Satt187, Satt532, Satt245, Satt197)에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립 인자수면에서는 한국 재래종 콩이 5개의 유전자좌(Sat_074, Satt141, Satt197, Satt545, Satt458)에서 가장 많은 대립인자수를 나타냈고, 한국 야생콩은 나머지 4개의 유전자좌(Satt187, Satt532, Satt245, Satt286)에서 가장 많은 대립인자수를 나타냈다. 4. 대립인자 분포에 있어 전체적으로 한국 야생콩 집단은 재래종 집단들에 비해 고른 분포를 나타냈고 대립인자의 크기가 큰쪽(high ladder)에서보다 작은쪽(low ladder)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5. 재래종 집단들 간에 대립인자 분포를 살펴보면, 한국 집단은 Satt286(202 bp, 232 bp)에서, 중국집단은 Satt197(171 bp)와 Satt458(173 bp)에서 그리고 일본집단은 Sat_074(244 bp)와 Satt458(170 bp)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콩(Glycine soja Sieb. & Zucc.) 유전자원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조성 변이 (Variation of protein,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Seeds)

  • 김광철;박의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18-122
    • /
    • 2005
  • 우리나라 재래 야생콩 70계통들의 종실 성분들을 분석하여 활용 가능한 야생콩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나물콩 품종 육성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 범위는 $35.6-47.9\%$, 평균은 $42.3\%$였으며, 13계통은 $45\%$ 이상인 고단백 계통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2.8-18.0\%$, 평균 $10.2\%$$3\%$이하인 2계통을 찾을 수 있었다. 2.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11.1-44.6\%$, 18:0은 $3.0-11.4\%$, 18:1은 $11.1-30.6\%$, 18:2는 $12.4-59.5\%$, 18:3은 $1.1-17.3\%$ 범위였는데 특히 18:3 조성이율이 극히 낮은 2계통을 발굴하였다. 3. 조단백질은 조지방 및 지방산과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고, 조지방은 16:0, 18:0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이, 18:2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그리고 16:0과 18:0, 18:1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18:2와 18:3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Evaluation of Nitrogen Fixation between Supernodulating Soybean Mutants and their Wild-Types Using $^{15}N$ in Field Conditions

  • Youn, Jong-Tag;Van, Kyu-Jung;Ryu, Yong-Hwan;Shimada, Shinji;Lee, Choon-Ki;Kim, Sun-Lim;Seo, Sea-Jung;Lee, Suk-Ha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1-38
    • /
    • 2008
  • Improvement of $N_2$ fixation by symbiotic rhizobia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ans for enhancing its productivity without high input of nitrogen(N) fertilizer. Several methods to improve $N_2$ fixation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the use of supernodulating mutan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varietal difference in N and $N_2$-fixation ability among the soybean supernodulating mutants, SS2-2 and Sakukei 4, with different nodulation abilities using $^{15}N$ in field conditions in both Korea and Japan. The dry weight(DW) was higher in wild-type soybeans. The distribution rate of DW in each plant part was high in seeds of supernoduating and wild-type soybeans but high in stems and leaves of non-nodulating mutants. Although the supernodulating mutants had a low DW rate at maturity, they showed a similar $N_2$ fixation ability compared with wild-type. Supernodulating mutant plants mainly obtained N from $N_2$ fixation, while soil N was the main resource for obtaining N in non-nodulating mutants. The percentage of N derived from atmospheric dinitrogen(Ndfa) was higher in supernodulating mutants than in wild-type and relatively high in seeds between plant parts at maturity. In particular, supernodulating mutants showed higher N content in roots than those of wild-type and non-nodulating mutants. It was considered that supernodulating mutants have the advantage of saving nitrate in soil and being beneficial for N absorption of subsequent crops due to their conserving more N in the field and releasing considerable amounts of N from roots and leaves fallen to the soil.

  • PDF

AFLP marker를 이용한 콩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분리 분석 (Diversity and Inheritance of AFLP Markers in Wild and Cultivated Soybeans)

  • 김용호;윤홍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5-271
    • /
    • 2004
  • AFLP marker의 유용성 을 알아보고자 재배콩과 야생콩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분리 현상을 분석하였다. 공시 재료들의 polymorphism은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각각 평 균 2 9%와 12.2%의 polymorphism을 보였으며,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공히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 DNA단편은 11개 primer 평균 24개를 나타내었다. Primer 조합별로도 polymorphism에 다양한 차이가 있었는데 평균 22.9%로 13.0-38.5%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재배 콩 간의 교잡후대(화엄풋콩 ${\times}$ PI417479) F$_2$집단에서 AFLP marker의 유전분리 양상을 분석한 결과 3 : 1의 분리 비를 따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콩 재배종과 야생종 유전자원의 엽 형질 변이 (Variation of Leaf Characters in Cultivating and Wild Soybean [Glycine max (L.) Merr.] Germplasm)

  • 정승근;김홍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4
    • /
    • 2009
  • 콩 재래종과 야생종 자원의 엽 형질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콩의 엽형 조사를 계량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콩의 초형개량과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두류유전자원관리실에서 분양받은 콩 재배종 94개와 야생종 91개의 엽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종과 야생종의 엽장은 각각 12.3$\pm$1.25 cm(8.7~15.3 cm)과 평균 6.6$\pm$1.35 cm(3.7~11.3 cm), 엽폭은 각각 6.8$\pm$1.241 cm(3.3~9.58 cm), 엽면적은 각각 55.6$\pm$15.75 $cm^2$ (23.6~106.8 $cm^2$)와 14.3$\pm$7.83 $cm^2$ (4.1~48.9$cm^2$), LSI는 각각 1.9$\pm$0.38(1.3~3.3)와 2.4$\pm$0.53(1.4~4.2)이었다. 2.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LSI $\leq$2.0은 원형엽, 2.1~3.0은 난형엽, 그리고 3.1$\leq$ 이상은 피침형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LSI에 따라서 원형엽, 난형엽 및 피침형엽을 가진 비율이 재배종은 각각 78.7%, 17.0% 및 4.3%, 그리고 야생종은 30.8%, 58.2% 및 9.9%였다. 3. 엽장에 따라서는 2 cm 간격으로 단엽, 중간엽 및 장엽을 분류하되 재배종은 각각 $\leq$11.0 cm, 11.1~13.0 cm, 그리고 13.1 cm$\leq$ 로 구분하고, 야생종은 $\leq$5.0 cm, 5.1~7.0 및 7.0~9.0로 구분하고 9.1 cm$\leq$ 이상인 엽은 초장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렇게 분류하였을 때 재배종은 단엽이 약 1/3, 중엽이 약1/2 그리고 장엽이 약 1/6이었으며, 야생종은 중엽과 장엽이 약 40%로 비슷하였고, 단엽이 15.4%, 그리고 초장엽이 4.4%였다. 4. 재배종과 야생종의 잎 두께는 각각 0.25$\pm$0.054 mm (0.13~0.45 mm)과 0.14$\pm$0.032 mm(0.06~0.26 mm)였고, LAR은 각각 40.1$\pm$8.22(27.1~70.50)와 53.7$\pm$12.02(33.8~81.5)였으며, 엽각은 각각 $37.6{\pm}5.89^{\circ}$(24.1~56.0$^{\circ}$)와 54.6$\pm$$10.77^{\circ}$(30.8~76.0$^{\circ}$)였고, 엽병장은 각각 23.9$\pm$5.89 cm (11.2~36.9 cm)와 5.9$\pm$2.33 cm(2.2~17.7 cm)였다. 5.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엽장은 엽폭과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고, 엽폭은 LSI와 고도로 유의한 부의상관이 있었으며, 재배종은 엽면적이 엽장이나 엽폭과 정의 상관이 있고 LSI와는 부의 상관이 있었지만, 야생종은 LSI와 엽장, 엽폭 및 엽면적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6.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엽형군 간에 엽폭이나 엽 두께의 차이가 있어 LSI가 낮은 엽형이 엽폭이 길고 엽두께가 두꺼웠으며, 재배종은 엽형군에 따라서 엽면적의 차이가 있었고, 야생종은 엽형군에 따라서 엽병장의 차이가 있었다. 엽두께는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원형엽군과 난형엽군 사이 및 난형엽군과 피침형엽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재배종은 엽형군 간에 엽병장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야생종은 원형엽군이 난형엽군이나 피침형엽군에 비하여 엽병이 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