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mushroom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수집 야생버섯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Korean wild mushrooms)

  • 안기홍;한재구;김옥태;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0
    • /
    • 2021
  •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지에서 수집된 야생버섯 70%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의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야생버섯의 건조시료를 이용하여 베타글루칸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10종의 야생버섯류 중에서 영지(OK1362)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73.2%), 총 폴리페놀 함량(28.9 mg 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10.0 mg QE/g)철 환원 항산화능(0.134), 환원력(0.155), 아질산염 소거능(56.3%)이 다른 버섯류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그 이외에도 아까시흰구멍버섯(OK1360), 광대버섯속의 A. lanigera (OK1398), 졸각무당버섯(OK1406)이 높은 항산화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타글루칸 함량은 영지(OK1362)가 25.2%를 나타내며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 구름버섯속의 T. lactinea (OK1457)가 24.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자생하는 야생버섯류 중 새로운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Evaluation of Ten Wild Nigerian Mushrooms for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 Jonathan, Segun Gbolagade;Adeoyo, Olusegun Richard
    • Myc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03-108
    • /
    • 2011
  • Amylases and cellulases are important enzymes tha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Ten different wild Nigerian mushrooms (Agaricus blazei, Agaricus sp., Corilopsis occidentalis, Coriolus versicolor, Termitomyces clypeatus, Termitomyces globulus, Pleurotus tuber-regium, Podoscypha bolleana, Pogonomyces hydnoides, and Nothopanus hygrophanus) were assayed for production of these secondary metabolit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tested wild fungi demonstrated very good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With the incorpora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 (a carbon source) into the culture medium, Agaricus blazei had the highest amylolytic activity of 0.60 unit/mL (at $25^{\circ}C$, pH 6.8). This was followed in order by P. tuber-regium and Agaricus sp. with 0.42 and 0.39 unit/mL, respectively ($p {\leq} 0.05$). Maltose and sucrose supplementation into the submerged liquid medium made N. hygrophanus and P. hydnoides to exhibit very low amylase activities of 0.09 and 0.11 unit/mL, respectively. Introducing peptone (an organic nitrogen source) into the basal medium enhanced the ability of C. versicolor to produce a cellulase value of 0.74 unit/mL. Other organic nitrogen sources that supported good cellulase activities were yeast extract and urea. Sodium nitrate (inorganic nitrogen source) generally inhibited cellulase production in all mushrooms. The best carbon source was carboxymethyl-cellulose, which promoted very high cellulase activity of 0.67 unit/mL in C. versicolor, which was followed in order by P. tuber-regium, T. chypeatus, and C. occidentalis ($p {\leq} 0.05$). Sucrose was the poorest carbon compound, supporting the lowest values of 0.01, 0.01, and 0.14 unit/mL in P. hydnoides, A. blazei, and Agaricus sp., respectively.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 자생하는 버섯의 생태 연구 (Ecological Study on Wild Mushrooms at the Dongbaekdongsan of Seunheulgot in Jeju Island)

  • 고평열;석순자;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15
    • /
    • 2010
  • 상록활엽수림에서 출현 균류를 알아보기 위해,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서 야생버섯의 출현과 서식처를 조사하였다. 버섯 샘플은 2007년 6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4개 조사구로 구성된 500 내에서 채집되었다. 버섯은 69과 178종이 동정되었고, 이중 28속 50종은 제주도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고, 선홀광대버섯(Amanita pseudogemmata)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었다. 버섯 종들은 서식처별로 6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죽은 나무에 44종, 낙엽에 29종, 토양 표면에 99종, 동물 똥에 2종, 곤충 또는 버섯에 2종 그리고 이끼에 2종).

한국산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rean Wild Mushrooms Extracts)

  • 김현정;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62-668
    • /
    • 2004
  • 13종의 한국산 야생버섯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실험계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 산속그물버섯 아재비와 구름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은 TA100에서 90-94%의 강한 항변이원성을 보였고, 갓버섯과 구름버섯의 열수 추출물도 58-61%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간접변이원인 B(a)P에 대해서는 TA98과 TA100에서 구름버섯과 턱받이금버섯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중 잔피막흑주름버섯과 수원무당버섯은 TA98에서 60-70% 정도의 저해활성을, 갓버섯은 TA100에서 45%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볼 수 있었고, 나머지 버섯시료는 저해활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야생버섯 메탄올 추출물 0.5mg/mL 투여시 결장암세포인 HT29에 대해 그물버섯, 산속그물버섯아재비, 방패외대버섯, 황소비단그물버섯, 구름버섯, 턱받이금버섯, 덕다리버섯에서 55-78% 이상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1 mg/mL의 시료농도에서는 11종의 버섯에서 50% 이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인 HepG2에서 대해서는 방패외대버섯 메탄올 추출물 1 mg/mL에서만 58.4%의 저해능을 보였고, 나머지 시료에서는 45% 정도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액암세포주인 U937의 경우도 그물버섯, 산속그물버섯아재비, 수원무당버섯, 황소비단 그물버섯, 밀버섯, 잔피막흑주름버섯 메탄올 추출물에서 60% 이상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름버섯 열수추출물의 경우 HepG2와 U937에 대해서 53-65% 정도의 비교적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대부분의 버섯 열수 추출물은 40%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정상 임파구에 대해서 야생버섯 추출물 0.5-1 mg/mL 농도에서 75-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야생버섯 추출물을 1 mg/mL 농도로 처리할 경우 암세포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 지역에서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 지식 (Traditional Knowledge on Wild Mushrooms in the Surrounding Village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고평열;강신호;송관필;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31
    • /
    • 2013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경남지역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53개 마을에서 50~90대까지 145명 주민들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총 19개 야생버섯이 식용버섯으로 사용되었는데 싸리버섯이 식용버섯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었고, 큰갓버섯과 표고 순위로 식용하였다. 표고는 식 약용버섯으로 유일하게 사용되었다. 독흰갈대버섯은 독버섯인데 곤충퇴치용 버섯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다양한 버섯이 증언된 지역은 거제시 일운면으로 10종에 이르는 버섯의 전통지식이 확인되었고, 하동군의 진교면에서 8종이 출현하였다. 전통 지식에 대해 조사에 응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증언하였고 연령층은 70~80대가 가장 많았다.

칠갑산 야생버섯 추출물로부터 혈전용해효소의 활성 검색 (Screening of Fibrinoly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ild Mushrooms Collected in Mt. Chilgap of Korea)

  • 김준호;유관희;석순자;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1
    • /
    • 2005
  • 칠갑산에 자생하는 야생버섯 67종의 Fibrin 분해활성을 검색한 결과 Marasmius pulcherripes(종이꽃낙엽버섯)는 plasmin 0.75 units의 112%에 해당하는 fibrin 분해활성을 나타냈고, Helvella elastica(긴대안장버섯)는 60%, Psathyrella sp.는 49%, Fomitella fraxinea(장수버섯)은 40%, Leucoagaricus rubrotinctus(돌여우버섯)는 39%, Lepista sordida(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와 Oudemansiella sp.는 각각 41%, 26%의 fibrin 분해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광대버섯과, 그물버섯과, 끈적버섯과, 난버섯과, 무당버섯과, 귀신그물버섯과, 독청버섯과, 꾀꼬리버섯과, 불로초과, 소나무비늘버섯과, 바구니버섯과, 말뚝버섯과, 어리알버섯과, 붉은목이과 및 술잔버섯과의 버섯은 모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New Bioactive Compounds from Korean Native Mushrooms

  • Kim, Seong-Eun;Hwang, Byung Soon;Song, Ja-Gyeong;Lee, Seung Woong;Lee, In-Kyoung;Yun, Bong-Sik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171-176
    • /
    • 2013
  • Mushrooms are ubiquitous in nature and have high nutritional attributes. They have demonstrated diverse biological effects and therefore have been used in treatments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ncer, diabetes, bacterial and viral infections, and ulcer. In particular, polysaccharides, including ${\beta}$-glucan, are considered as the major constituents responsible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mushrooms. Although an overwhelming number of reports have been published on the importance of polysaccharides as immunomodulating agents, not all of the healing properties found in these mushrooms could be fully accounted for. Recently, many research groups have begun investigations on biologically active small-molecular weight compounds in wild mushrooms. In this mini-review, both structural diversit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novel bioactive substances from Korean native mushrooms are described.

Screening Test of Wild Mushroom Extracts for Fibrinolytic Activity

  • Kim, Jun-H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3-177
    • /
    • 2002
  • To investigate the fibrinolytic activities of the Korean basidiomycetes, the Extracts of 50 wild mushrooms were tested for their fibrinolytic activites. Extract from Tricholoma sejunctum showed 175% increased activity to that of plasmin 1.0 U/ml. Marasmius siccus showed 54% of activity, and Lae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and Macrolepiota procera, 43% and 26% activities, respectively to that of plasmin. But, Cystoderma amianthinum, Lepiota sp., Coprinus sp., Lycoperdon sp. were less than 10% of plasmin activity.

  • PDF

제주도 자생버섯의 종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Spontaneous Mushrooms on Jeju Island)

  • 고평열;석순자;이향범;고효순;전용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4-13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난 8년 동안 제주도에 자생하는 버섯류의 다양성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버섯은 2006년부터 2013년까지 버섯류의 풍부한 다양성이 기대되는 곶자왈, 한라산국립공원, 오름에서 약 2,000여 점의 표본을 채집하였다. 조사된 버섯은 총 74과 213속 51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국내 미기록종은 6과 6속의 6분류군, 제주 미기록종은 55과 101속 137분류군이었다. 과거 2005년에 조사된 결과인 69과, 99속, 561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제주도에서 총 83과 257속 740종의 야생버섯을 기록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버섯종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미래 버섯연구에 기초 자료로 이용되리라 본다.

야생 버섯의 인공재배 가능성 검사 (Selection of Some Species for Artificial Cultivation from the Wild Mushrooms)

  • 김삼순;김기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09-116
    • /
    • 1981
  • Three edible species and one species utilized as drug were selected from wild mushrooms collected from mountains and fields throughout Korea during 1977 to 1979 for artificial cultivation. The media, MES for G. lucidum, MHS for P. rudis and MSES and MHS for P. adipose and Pluteus sp. were selected. The range of optimum pH was 4.0 to 5.0 in citric acid-sodium phosphate dibasic for the tested species. The range of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of G. lucidum and P. adiposa was 25 to 3$0^{\circ}C$ and 30 to 35$^{\circ}C$ for P. rudis and Pluteus sp. For the moisture content 75 to 80% (w/w) in the substrates, the mycelial growth of most tested species was rapid. As the spawning substrates, poplar sawdust for G. lucidum and Pluteus sp., oak sawdust for P. rudis and wheat for P. adipose were selected,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the fruit bodies of all tested species were appeared. Among them, G. lucidum for medicinal purpose and P. adiposa and Pluteus sp. for sources of new edible mushrooms seems to be possible. However, the sporophores of P. rudis were not adequate as an edible mushroom for the commercial due to the leathery fle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