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ston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7초

서로 다른 봉지재료가 포도 품질 및 숙기판단 노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fferent bag materials on grape quality and endeavor of maturation period determination)

  • 남상영;강한철;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7
    • /
    • 2000
  • 포도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숙기 판단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봉지 재료를 선발하고자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옥천포도시험장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봉지내의 광 투과율은 종이 봉지에 비하여 부직포 및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11∼65%가 높았으나,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25% 낮았다. 과립중은 종이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이용 봉지에서 무거웠으며,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열과, 탈립 및 부패과가 심하여 조사가 불가능하였다. 숙기는 종이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1∼4일 빨랐다. 당도는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산도는 상반된 경향이었다. 착색정도는 종이 봉지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빨랐으며, 이들 봉지간에는 착색 정도는 맥반석 혼합 부직포와 무적비닐+부직포 봉지에서 빨랐으나, 적숙기로 가까워질수록 부직 포봉지에서 빨랐다. 비정상 과립율은 종이와 부직포 봉지는 5.4∼7.0%로 낮았으나, 무적비닐 이용 봉지는 16.6∼100%로 높았다. 외관상품질은 부직포와 맥반석 혼합 부직포에서 지수 9.0으로 가장 좋았으나, 무적비닐 천공 상면 50% 흰색 페인팅 봉지는 지수 1.0으로 가장 불량하였다. 숙기 판단 소요시간은 종이(17.4시간/10a)에 비하여 부직포와 무적비닐 이용 봉지에서 74∼93% 절감되었다.

  • PDF

치과용 스캐너의 광원에 따른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accuracy of digitized model fabricated by difference optical source of non-contact 3D dental scanner)

  • 김재홍;이정수;심정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7-2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igital models fabricated by difference optical source of non-contact 3D dental scanner. Methods: A master model with the prepared upper full arch tooth was used. Stone model(N=10) were produced from master model, and on the other hands, digital models were made with the 3D dental scanner(Blue, white, red optical source).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on the Delcam $Copycad^{(R)}$ graphic softwar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alpha}=0.05$). Results: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ean values between optical source within each color(blue, white, red), and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Three different color of dental scanner optical source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ccuracies of full arch digital model produced by them. Besides, these results will have to be confirmed in further clinical studies.

전통 초가의 현대적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식음료 판매 공간의 실내구성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 Adaptation of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Special Reference to Interior Elements of Restaurants and Cafes-)

  • 오혜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37-14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about the modem adaptation of interior elements(floor, wall, ceiling, door & window) in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The examined objects were interior space of 36 restaurants and cafes in Seoul and Kyung-Ki Do area. 1. Floor: Jang-pan was mostly alternated with linoleum which huts Jang-pan pattem. Wumul-maru was adapted from the original and Jang-maru was alternated with wood or linolium which has western state Jang-maru pattern. Mud was adapted from the original or alternated with slate stone or rough finish cement. 2. Wall: Rice proper was alternated with rice paper book witch has chinese character, paper for parcels or modem wall paper. Plaster-white paint or white handy coat. Mud-mud color paint or bamboo stick witch located in the mud wall orginal. Log-half cut log. Wooden board-without cross bar or irregular form. 3. Ceiling: Yondung-Chongang was mostly adapted from the original and Banja-Chonjang was alternated with rice paper book which has Chinese character or modem wall paper. 4. Door and Window: Ttisal-mun and Panjang-mun were adapted from the original. Wan and A’character door and window were simplified character itself.

  • PDF

복합(複合)레진의 표면연마(表面硏磨)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Y OF THE SURFACE FINISHINGS ON THE COMPOSITE RESIN SURFACES)

  • 김부랑;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8권1호
    • /
    • pp.97-106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polishing procedures on the surfaces of composite resins. Two-paste type comosite restorative resin (Hipo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70 cavities prepared on the plaster-stone dies, 6mm in diameter and 2mm in depth, was filled with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specifications and by polymerizing against mylar strips. The polymerized composite resin specimens were polished (surface finished) by using 6 polishing devices; white stones, diamond finishing points, 12-fluted carbide finishing burs, green stones, sand paper disks, and Quasite rubber disk after polished with sand paper disks and green stones. A profilometer (Bendix type) was used to record in microinches the surface roughness of each surface finished composite resin specim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est finished surface that can be obtained is a surface formed by the mylar matrix strip 2. The white stones produced the smoothest surface in the experimental group. 3. The green stones produced the roughest surface in the experimental group. 4. It was proved that the gradual use of finishing instruments from a rough one to fine ones reduced the surface roughness.

  • PDF

Effect of nanobubbles (oxygen, ozone) on the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ater quality under lab conditions

  • Nguyen, Huu Nghia;Nguyen, Thi Nguyen;Phan, Trong Binh;Le, Thi May;Tong, Tran Huy;Pham, Thai Giang;St-Hilaire, Sophie;Phan, Thi V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8호
    • /
    • pp.429-440
    • /
    • 2022
  •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oxygen and ozone nanobubbles on gill morphology, weight gain, and mortality of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as well as the level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water quality of shrimp culture tanks under lab conditions.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oxygen macrobubble, ozone macrobubble, oxygen nanobubble, ozone nanobubble, and control treatments (air-stone macrobubble). Experiments were done in triplicate in 100 L tanks with 15‰ saline water, and 20 shrimp per tank. Tanks in Experiment 1 were not inoculated with bacteria; tanks in Experiment 2 were inoculated with V. parahaemolyticus at a concentration of 106 CFU/mL.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rt treatments with ozone nanobubbles had minimal impact on shrimp gills, mortality, and growth rates, reduced V. parahaemolyticus concentration in wat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improve water quality. These laboratory results indicate that ozone nanobubble treatment may be useful for controlling V. parahaemolyticus. More work is needed to find the best protocol to apply the technology on a commercial scale.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의 재질특성과 풍화훼손도 평가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Assessment of the Stone Buddhas and Shrine in Unjusa Temple, Hwasun, Korea)

  • 박성미;이명성;최석원;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4권
    • /
    • pp.23-36
    • /
    • 2008
  •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제797호)은 고려시대 양식을 갖추고 있는 석조문화재로서 아주 독특한 형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남북의 감실 내부에는 각각의 불상이 등을 맞대고 있는 쌍배 좌상의 형태를 보이고 있어 역사적, 미술사적 및 학술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석조불감은 특별한 보호시설 없이 옥외에 노출되어 장기간의 풍화작용으로 다양한 훼손양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석조불감은 총 47매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하중은 약 56.6톤이다. 구성 재질은 주로 회백색의 유리질 조직을 갖는 화산력 응회암류로 암편질 응회암과 유문암질 각력응회암이다. 또한 이들의 보수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흑운모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이들 응회암질암의 화학적 풍화지수는 52.1~59.4이나, 대체적인 화강암은 보다 신선한 50.0~51.0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석조불감에 나타나는 손상유형을 크게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풍화로 구분하여 훼손양상에 따라 종합훼손지도를 작성하였고, 표면적 대비 점유율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 물리적 풍화양상 중 박리박락이 모든 방위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방위로는 석감의 남측 면이 39.1%로 가장 높은 풍화도를 보였다. 화학적 풍화는 흑색 변색, 황갈색 변색, 백화현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석감의 서측 면에서 61.2%의 높은 점유율을 보인다. 육안으로 볼 때, 가장 심각한 훼손을 보이는 생물학적 풍화는 회색지의류가 압도적으로 높으며, 석조불감 북측 면이 38.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균열과 박리박락이 심한 부재의 접합 및 보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차적 오염물질과 생물들은 정기적인 세정을 통해 제거하는 등 각각의 손상도에 적합한 보존방안의 수립과 임상실험을 통한 과학적 처리가 필요하다.

  • PDF

불국사(佛國寺) 청운교(靑雲橋).백운교(白雲橋)의 순서 고찰 (A Consideration on Order of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In Bulguksa)

  • 염중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2호
    • /
    • pp.83-102
    • /
    • 2008
  • In the book of , it is recorded that the names of ingressive stone stairs to the main shrine were Cheongwoongyo(blue cloud bridge) and Baekwoongyo(white cloud bridge) and the names of stairs to the paradise hall were Yeonwhagyo(lotus bridge) and Chilbogyo(seven treasure bridge). But, the ingressive stone stairs to the main shrine and the paradise hall are single consecutive stairs with 2 levels respectively. Because of this, it is rather hard to clearly designate the names to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stairs. But, of the stairs to the Paradise hall, the lower stairs have a carving of lotus, and the upper stairs have seven stairs. In this aspect of artifacts, we can safely assume that the upper stairs are Chilbogyo and the lower are Yeonwhagyo. But, for the ingressive stairs to the main shrine, there is no such artificial hint. So, it is difficult to designate the upper and the lower stairs for the two bridges. Especially, it is not clear whether the descriptive order of "lower stairs upper stairs" in the names of Yeonwhagyo and Chilbogyo can be applied to the names of stairs to the main shrine. It is because the general descriptive order is "upper lower" rather than "lower upper."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Bulguksa temple, the study on the ingressive stone stairs to the main shrine has not made till now. Therefore, the study on the position of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stairs can have its validity. In this paper, the positional approach to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has been made in following aspects: First, the temple structure of Bulguksa; Second, the five element theory of oriental philosophy and the Book of Changes; Third, the directional consciousness of Buddhism. Through the aspects, the validity of up-down position of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has been sought. In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pper level of ingressive stone stairs to the main shrine of Bulguksa is Cheongwoongyo and the lower level is Baekwoongyo. When considered in the Buddhist directional consciousness, it forms the total structure of "East-Cheongwoongyo South- Baekwoongyo West-Yeonwhagyo North-Chilbogyo."

  • PDF

대원사 다층석탑의 지질학적 및 암석학적 안전진단 (Petrological and Geological Safety Diagnosis of Multi-storied Stone Pagoda in the Daewonsa Temple, Sancheong, Korea)

  • 이찬희;서만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4호
    • /
    • pp.355-368
    • /
    • 2002
  • 대원사 다층석탑(보물 제1112호)의 훼손도 평가와 지질학적 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이 다층석탑의 부재는 주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분적으로 세립질 화강편마암과 우백질 화강편마암이 혼재한다. 보륜석은 흑운모 화강암이며 원추형 보주는 도기로 되어 있다. 탑의 부재는 박리와 박락이 심하고 탑신과 옥개석의 일부는 파손되어 시멘트로 조악하게 접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탑은 전체적으로 비정질 철수산화 광물의 침전과 피복으로 인하여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띤다. 또한 망간산화물에 의한 암갈색 각질과 시멘트 몰탈에서 용해된 석고와 방해석 침전물이 표면의 백화현상을 야기하였다. 각각의 탑신, 옥개석 및 상륜부의 구성암석에는 방사상 또는 선상 미세균열과 이를 충전한 회백색 탄산염광물들이 산재한다. 이 탑에는 균류, 조류, 지의류나 선태류가 암석의 표면에 고착되어 기생하면서 황갈색, 청남색 및 진녹색을 나타내는 반점상으로 산출된다. 한편 대원사 경내 및 계곡에 분포하는 암석도 다층석탑과 마찬가지로 심한 적화현상을 볼 수 있다. 이는 대원사 부근에 분포하는 암석이 일반적인 편마암류의 철과 망간 함량에 비하여 아주 높고, 이들이 강수 또는 지표수와의 반응에 따라 산화물을 형성하여 표면을 피복한 자연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이 탑의 이차오염을 가중시키는 적화 및 백화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보존처리와 석탑의 부재와 지반의 구조적 안정을 위한 열극계의 보강과 접착이 필요하다.

비석(碑石)에 칠해진 주사(朱砂)안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 신은정;한민수;강대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59-385
    • /
    • 2005
  • 우리나라에서 고대에 사용하던 붉은 색 안료에는 주사, 석간주, 장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주사는 고급스러운 상품(上品)으로써 벽사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단청, 벽화, 회화를 비롯해 비석, 지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의 기록에서는 고려재상의 지석 음각에 붉은 칠을 메웠다고 기록되어 있어 비, 신도비, 지석 등에 주사와 같은 붉은 칠이 된 것은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헌기록을 토대로 하여 비석에 남아있는 붉은 안료들의 몇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주사, 장단, 석간주 등이 칠해졌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붉은 색의 발색을 더욱 선명히 하기 위해 붉은 칠 아래 바탕칠로써 호분칠이 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붉은 안료가 칠해진 비석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의 사례들이므로 조선시대에는 비등에 붉은 안료로 주사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 남겨진 기록을 보아 고려시대에도 칠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미 주사안료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 우리나라에 고가의 상품으로 사용되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때 비에 붉은 안료를 칠하던 것은 고려 이전부터 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붉은 안료로 주사를 주로 사용했을 것은 주사가 지닌 벽사적 상징의미를 미루어 볼 때 상당히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주사가 매우 고가인 탓에 한때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기에 주사 대신 석간주나 장단과 같은 대체안료가 사용되기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ART형 모자이크 칼라 콘크리트 기술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saic Color Concrete Technology for Art Type)

  • 주재석;이한승;박기봉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457-460
    • /
    • 2006
  • There are many kind of materials decorating outward of building such as paint, tile, brick, wood, stone and so on. But it has been pointed out some problems because of the industrial pollutions and wastes. Color concrete is a method of expressing out surface of exposed concrete. Generally, color concrete is manufactured by adding pigment to concrete. In this paper we used cement paste as a preparation step to apply to concrete. Pigment was added to white cement for easy observance of color difference. And color change was measured by color reader. Finally, we can predict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amount of pigment. Also, we investigate the color concrete technology for Art type using developed color concre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