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spot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를 이용한 탈회 법랑질의 재석회화 감시 (MONITORING OF REMINERALIZATION OF DECALCIFIED ENAMEL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

  • 류연숙;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7-266
    • /
    • 2012
  • 인공 우식 용액으로 72개의 건전한 치아에 백색 병소를 형성을 유도하고 $CavityShield^{TM}$(Group I), $FluroDose^{TM}$(Group II) 그리고 $Flor-Opal^{(R)}$ Varnish(Group III)를 2주 간격으로 1, 2, 3회 도포하였다. 마지막 불소 바니쉬 도포 2주 후 QLF-D 영상을 촬영하여 광도 변화량(${\Delta}L$)을 측정하였고, 편광 현미경으로 법랑질 탈회 깊이 변화량(${\Delta}D$)을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1. Group I, II, III에서 QLF-D로 관찰한 결과, 1회 도포군보다 2주 간격으로 2, 3회 도포군에서 유의하게 ${\Delta}L$ 값이 증가하였고, 각 불소 바니쉬에서 도포 횟수에 따라 회귀 분석 결과, y = 3.878x + 90.612, y = 3.133x + 37.168, y = 3.509x + 82.322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 < 0.05). 2. Group I, II, III에서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1회 도포군보다 2주 간격으로 2, 3회 도포군에서 유의하게 ${\Delta}D$ 값이 감소하였고, 각 불소 바니쉬에서 도포 횟수에 따라 회귀 분석 결과, y = -2.336x + 107.235, y = -2.158x + 101.620, y = -1.940x + 94.806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 < 0.05). 3. 불소 바니쉬 적용하고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인공 우식의 깊이 변화량과 QLF-D로 관찰한 광도 변화량 사이의 피어슨 상관 계수는 Group I에서 -0.673, Group II에서 -0.574, 그리고 Group III에서 -0.431이었다(p < 0.05).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Basil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함수상;김병련;한광섭;권미경;박인희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59
    • /
    • 2017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예산 지역의 농가포장에서 재배 중인 바질에서 균핵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잎과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반점이 커지면서 점차 위쪽으로 진전, 위조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썩어 죽는다. 잎과 줄기의 병반부에는 다량의 흰색 균사가 발생하며 $30-100{\mu}m$ 직경의 균핵이 형성하였다. PDA상에 균체는 흰색과 옅은 초콜릿 흑색으로 다양한 색을 나타내었고, 균핵은 검은색으로 대부분 불규칙한 구형이며 크기는 $5-50{\mu}m$였다.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바질의 잎과 줄기에서는 자연 발생된 바질과 동일한 괴사와 위조증상을 보이며, 병반에서 역시 같은 균을 분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2018년 국내 연근해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wild marine fish and crustacea caught from inshore and offshore Korea in 2018)

  • 황성돈;이다원;천원주;전해련;김동준;황지연;서정수;권문경;지환성;김정년;지보영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474-482
    • /
    • 2019
  • 자연수계 수산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은 자연수계 및 양식 수산생물의 질병 관련성 및 상관관계 구명은 질병 발생 예방 및 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8년 해구 64개소에서 어류 39종 977마리 및 갑각류 14종 287마리를 선정하여 총 1,264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어류는 법정전염병 2종(VHS, RSIVD) 및 비법정전염병 3종(MABVD, HRVD, LCD)을 분석하고 갑각류는 법정전염병 6종(WSD, IHHN, TS, IMN, YHD, WTD)을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전염병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조사한 자연수계 수산생물이 무병하여 청정국 또는 청정지위 선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서천 해역 김 양식장의 갯병에 관한 연구 (Diseases of the cultivated Porphyra at seocheon area)

  • 이순정;박성우;이종화;김영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9-256
    • /
    • 2012
  • 본 연구는 서천해역 김 양식장의 월별, 어장별 김 갯병 발생 현황 및 김 엽체 사세포 비율을 관찰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양식 김 갯병에 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천해역의 12개 김 양식장에서 2008년 1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5개월 동안 매월 1회씩 김발을 채취하였다. 연구 결과 갯병 발병율은 거의 대부분의 정점에서 양식 초기에는 낮았지만 후반기로 갈수록 높아졌다. 이 해역에서 가장 빈발하는 질병은 규조류 부착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사흰갯병이었다. 규조류 부착증이 가장 높게 발병한 시기는 양식 초기인 11월이었으며, 12월에는 발병율이 가장 낮았고 이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김 엽체에 부착된 규조류는 대부분이 Licmophora sp. 이었다. 양식 초기인 11월에는 녹반병과 의사흰갯병의 빈도가 높았지만, 양식 후반기로 갈수록 두 질병의 발생율이 점차 감소하는 대신에 호상균병 발생 빈도가 높아졌다. 연구 해역 사세포율은 지점에 따라 다소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양식 후기에 높았고, 예외적으로 양식장 거의 정중앙에 위치한 St. 9와 내만에 위치한 St. 11, St. 12는 양식 초기에 사세포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김 엽체의 사세포율 변화는 영양분 공급과 조류소통 등 여러 가지 요인이 관계하고 있지만 보다 더 정확한 요인은 환경 요인 조사를 통하여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북지역 도축 출하돈 병변 조사 (Survey on the gross lesions of slaughtered pigs in Jeonbuk area, Korea)

  • 임미나;백귀정;유기홍;조현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9-94
    • /
    • 2015
  • Respiratory disease in pigs is common in modern pork production worldwide and is often referred to as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PRDC). PRDC is polymicrobial in nature, and results from infection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respiratory pathogens. The control of swine respiratory disease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organisms that can cause this illness, the pig and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esion of red internal organs in slaughtered pigs and provided assistant data for pig farms. A total of 900 lung samples, 45 farms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slaughtered pigs in Jeonbuk province from April to December in 2014. Gross lesions such as swine enzootic pneumonia (SEP), pleuritis, pleuropneumonia, pericarditis, liver white spots were examined for the pigs. Overall prevalence of SEP was 70.8%. According to season, the incidence occurred higher in summer than winter, fall and spring. The mean SEP score was 1.4, the highest incidence occurred in fall. The prevalence of pleuropneumonia, pleuritis, pericarditis, and milk spot was 26.1%, 71.4%, 2.8%, 21.6%, respectively. In the detection of pathogens, PRRS was not detected, PCV2 was positive in 87.6%.

한국산 투라치과(Lampridiformes: Trachipter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achipteridae (Lampridiformes) from Korea)

  • 지환성;윤상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우리나라 동해, 남해 및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투라치, Trachipterus ishikawae (Jordan and Snyder, 1901) 7개체, 홍투라치, Zu cristatus (Bonelli, 1820) 4개체 및 1미기록종인 Desmodema polystictum (Ogilby, 1897) 2개체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한국산 투라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종인 D. polystictum는 배쪽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체측에 어두운 수십개의 둥근 반문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여, 새로운 한국명으로 "점투라치"를 제안한다. 홍투라치는 제1~제6 등지느러미 연조 및 배지느러미 연조가 길게 신장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투라치는 배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돌기가 나 있으며, 체형은 가늘고 긴 일직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투라치(178~195개), 홍투라치(137~148개), 점투라치(125~13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는 투라치(80~83개), 점투라치(72~74개), 홍투라치(64~68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재래종 팥의 작물학적 형질 특성 (Agronomic characters of Korea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 노창우;손석용;홍성택;이경희;유인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4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재래종 팥 361개의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집재래종 팥의 초형은 직립형이 77.8%로 제일 많고 중간형이 15.3%, 만성형이 6.9%로 제일 적었다. 엽형은 원형, 타원형, 점선형 순으로 많았고 화색은 황색 이 89.5%로 가장 많았고 담황색 9.4%, 농황색 1.1% 순이었다. 종피색은 적색 60.6%, 회색 26.9%이며 그 외 녹색, 백색, 담흑색, 적지흑, 암지흑, 백지갈색 은 1.4∼3.3%로 매우 적었다. 개화일수는 69∼75일, 결실일수는 41∼50일, 생육일수는 111∼120일인 수집종들이 가장 많았다. 경장은 41∼60 cm에서 50,2%, 개체당 협수는 16∼20개에서 40.2%, 100립중은 8-10g이 30.5%로 가장 분포비율이 높았다.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ocular Cysticercosis

  • Li, Juan-Juan;Zhang, Li-Wei;Li, Hua;Hu, Zhu-L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223-229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aocular cysticercosis due to Taenia solium metacestode infection. Total 8 patients diagnosed with intraocular cysticercosis at the Red Cross Hospital of Yunnan Province, China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clear dioptic media had undergone fundus chromophotography. All patients underwent B ultrasonography of the ocular region (CT) successive scanning of the orbit and cerebral tissues. Parasites were extracted surgically and then examined pathologically. The fundus chromophotography showed a white and condensing scolex package in the vesicle. The B ultrasonic examination showed a vesicle-like echogenic mass in the vitreous chamber, in which the high-level echo spot was the cysticercus scolex. The pathological examinations showed that the vesicle wall exhibited hyaline degeneration,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neuroglial fiber, and glial cell proliferation layer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colex is round and is composed of the outer tissue (the body wall) and the inner furrow tissue; these tissues migrated together. Primordially differentiated sucking discs were found in one case, but no hooklets were found. The inner scolex tissue was folded like a paper flower. The severity of intraocular disease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of the cysticercus worm.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intraocular lesions can help to evaluate the course of the disease as well as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effective antiparasitic medication.

흰 토끼풀에서 분리한 강낭콩황반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동정 (Identication of Bean Yellow Mosaic Virus from Trifolium repens)

  • 유갑희;이순형;나용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2
    • /
    • 1986
  • 흰토끼풀에 황색모자이크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주를 채집하여 병즙액의 지표식물반응과 물리적 성질조사, 풍매전염시험, 바이러스입자의 형태관찰 그리고 항혈청반응 등의 방법으로 병원바이러스의 동정을 시도한 결과 강낭콩황반모자이크바이러스(BYMV)로 밝혀졌다. 공시병원바이러스의 지표식물반응은 명아주에 전체국부반응, 잠두의 접종엽에 국부반응, 줄기와 상위엽에 각각 양저증상과 모자이크반응을 보였으며, 강남콩에는 엽맥양저, 황색모자이크 또는 축엽이 되고 순이 고사하였다. 또한 완두, 녹두, 팥과 red clover에는 모자이크 반응을 나타냈다. 바이러스입자의 형태 및 크기는 740nm정도의 사상입자이며,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이 가능하였다. 바이러스병즙액의 생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65^{\circ}C$, 내희석성이 $10^{-3}\;-\;10^{-4}$, 내보존성이 3일이었다. 순화된 공시바이러스는 일본 식물바이러스 연구소로부터 분양받은 BYMV항혈청과의 혼합침강반응결과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Puccinia phragmitis에 의한 참소리쟁이 잎녹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Caused by Puccinia phragmitis on Rumex japonicus in Korea)

  • 이승열;박지원;강인규;정희영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53-56
    • /
    • 2020
  • 2019년 5월, 잎 표면에서 적색 반점이 관찰되는 참소리쟁이를 충북 괴산군 인근 야산에서 채집하였다. 관찰된 병반의 앞면은 적색 및 황색의 병반이 관찰되었고, 뒷면에는 백색의 돌기가 관찰되었다. 다양한 현미경으로 자세하게 관찰한 결과, 돌기는 녹포자기로 확인되었으며, 많은 녹포자가 확인되었다. 녹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었고 19.0-24.4×19.0-24.5 ㎛의 크기를 가지면서 표면은 무사마귀형으로 관찰되었다. 계통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 및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3 (CO3) 유전자 영역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소리쟁이에서 관찰된 녹병균은 Puccinia pritzliana와 매우 근연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관찰된 기주, 포자세대, 형태 및 계통학적 유연관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분석된 녹병균은 국내 미보고 녹병균인 P. phragmitis로 확인하였으며, 위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 녹병을 참소리쟁이 잎녹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