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cation of Bean Yellow Mosaic Virus from Trifolium repens

흰 토끼풀에서 분리한 강낭콩황반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동정

  • 유갑희 (농촌진흥청 농약연구소) ;
  • 이순형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
  • 나용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Published : 1986.01.01

Abstract

The virus isolated from white clover, Trifolium repens showing mosaic symptom was identified as bean yellow mosaic virus (BYMV) based on the host range, physical properties, aphid transmission, serology and morphology of the virus particles.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C. quinoa produced local lesions on the inoculated leaves and chlorotic spot on the upper leaves. Broad bean and cowpea produced local lesions on the inoculated leaves and mosaic with vein necrotic symptoms on the upper leaves. French bean showed vein necrosis on the inoculated leaves, yellow mosaic on the upper leaves and bud blight. The average size of virus particles was 740nm in length. The virus was also transmitted by Myzus persicae. The thermal inactivation point of the virus isolate was $60\;to\;65^{\circ}C$, the dilution end point $10^{-3}\;-\;10^{-4}$ and the longevity in vitro was 3 days Serological tests with the virus purified from Trifolium repens were positive to BYMV antiserum.

흰토끼풀에 황색모자이크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주를 채집하여 병즙액의 지표식물반응과 물리적 성질조사, 풍매전염시험, 바이러스입자의 형태관찰 그리고 항혈청반응 등의 방법으로 병원바이러스의 동정을 시도한 결과 강낭콩황반모자이크바이러스(BYMV)로 밝혀졌다. 공시병원바이러스의 지표식물반응은 명아주에 전체국부반응, 잠두의 접종엽에 국부반응, 줄기와 상위엽에 각각 양저증상과 모자이크반응을 보였으며, 강남콩에는 엽맥양저, 황색모자이크 또는 축엽이 되고 순이 고사하였다. 또한 완두, 녹두, 팥과 red clover에는 모자이크 반응을 나타냈다. 바이러스입자의 형태 및 크기는 740nm정도의 사상입자이며,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이 가능하였다. 바이러스병즙액의 생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65^{\circ}C$, 내희석성이 $10^{-3}\;-\;10^{-4}$, 내보존성이 3일이었다. 순화된 공시바이러스는 일본 식물바이러스 연구소로부터 분양받은 BYMV항혈청과의 혼합침강반응결과 양성반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