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rice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성 동위원소 $^{32}P$를 이용한 멸구류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에 관한 연구 (II) (Screening method of varietal resistance to planthoppers labeled with radioisotope $^{32}P$ (II))

  • 이정운;김용헌;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3-175
    • /
    • 1981
  • 멸구류에 대한 수도품종 저항성 검정방법을 개발하고저 방사성 동위원소 $^{32}P$를 이용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전편에서 얻어진 결과를 활용하여 멸구별, 멸구충태별, 접종시간별 벼멸구 흡즙량 차이와 품종별 벼멸구 흡즙량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 순으로 $^{32}P$ 흡즙량이 많았으며 암컷이 숫컷보다 공시멸구류 모두 흡즙량이 많았다. 나. 벼멸구의 각태별 흡즙량은 성충, 5령충, 성충), 4령 순으로 많았으며 충접종시간은 접종 24시간$\~$48시간에서는 일정한 흡즙령을 나타냈다. 다. 벼멸구의 벼품종별 흡즙량은 저항성 품종인 밀양 47호에서는 839 CPM인 반면 감수성 품종인 TN 1에서는 88,603 CPM을 나타 내었다. 따라서 본시험에서의 검정방법과 유묘집단검정방법과는 일치하였다.

  • PDF

집합페로몬 트랩의 색깔, 설치높이 및 장소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 (Attractiveness of Stink Bugs to Color, Height and Location of Aggregation Pheromone Trap)

  • 배순도;김현주;이건휘;윤영남;남민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5-331
    • /
    • 2010
  • 집합페로몬 트랩의 색깔, 설치높이 및 장소에 따른 노린재류 유인효과를 구명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황색트랩에 가장 많이 유인되었으며, 다음은 백색>흑색>녹색>청색>갈색의 순 이었다. 트랩설치높이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은 지상 80 cm 높이에서 성별에 관계없이 가장 많았으며, 성별간에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40 및 80 cm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많이 유인되었으나, 120 및 160 cm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40 및 80 cm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많이 유인되는 경향이었으나, 120 및 160 cm에서는 오히려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많이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콩 및 들깨 재배포장에서 트랩설치 위치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은 들깨포장에서 가장 많았으며, 콩포장과 콩들깨의 경계지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콩포장, 약용작물포장 및 단감원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인효과는 단감원에서 가장 높았으며, 콩 및 약용작물포장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PLC-UVD를 이용한 농산물 중 pyrifluquinazon 잔류시험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pyrifluquinazon residues determination o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HPLC-UVD)

  • 도정아;권지은;김미라;이은미;국주희;조윤제;장문익;권기성;오재호
    • 분석과학
    • /
    • 제26권3호
    • /
    • pp.174-181
    • /
    • 2013
  • Pyrifluquinazon은 quinazoline 계통의 살충제로 진딧물, 흰파리 등 해충에 대해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신경계 또는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섭식행동을 제어하고 또한 식물조직에 추가적 손상을 방지, 식물체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한다. 국내에는 2012년 사과와 배에 신규 사용등록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농약은 분자량이 464.3으로 큰 편이며, 증기압이 낮아 분석을 위한 기기로 HPLC-UVD를 선택하여 잔류허용기준 준수여부 확인을 위한 시헙법을 확립하였다. 추출용매는 간섭물질의 추출이 비교적 적은 acetonitrile을 사용하였으며, pyrifluquinazon의 Log $P_{ow}$값이 3.12로 극성에 가까운 물리화학적 특성을 감안하여 액-액 분배를 위한 용매로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였다. 간섭물질 제거를 위한 clean-up과정에서는 silica 카트리지를 사용하였고, acetone으로 용출하여 최적의 정제조건을 확립하였다. 분석 결과 회수율은 70~120%로 나타났으며, 분석오차는 10% 미만, 실험실간 편차 ($RSD_R$(%)) > 0.01 mg/kg, ${\leq}$0.1 mg/kg 범위에서 3.40~15.4%로 코덱스 가이드라인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본 시험법의 재현성 및 선택성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도록 LC-MS를 통한 정성시험법을 추가로 확립하였다. 본 시험법은 신규 등록된 pyrifluquinazon 분석을 위한 신속 정확한 공정 시험법으로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활용되고 있다.

지역에 따른 총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수준, 급원식품, 대사질환과의 관련성 비교: 2016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Regional Differences in Dietary Total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Intak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etabolic Diseases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송수진;심재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95-507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intake of dietary total fat and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their food sources among Korean adults.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SFA intake with metabolic diseases by regio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926 adults (≥ 19y) who participated in the 2016 ~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The regions were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here the participants lived. Using dietary data obtained from a 24-h recall, intake of total fat and SFA and their food sources were assessed by region. Metabolic diseases included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elevated total cholesterol and their association with SFA intake by region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f the participants, 19.6% lived in rural areas. In urban areas, the total fat and SFA intakes were higher than in rural areas: 21.2% of energy (%E) came from total fat and 6.9%E from SFA in urban areas, whereas 18.0%E came from total fat and 5.8%E from SFA in rural areas.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exceed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otal fat and SFA in urban areas was 16.5% and 41.9%, respectively, but 43.4% of participants in rural areas showed lower intake levels for total fat compared to the reference level. Young adults did not show regional differences in fat intake,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exceeded the reference for SFA was high both in urban (58.5%) and rural (55.7%) area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take of fatty acids except for n-3 fatty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rural areas. About 69% of older adults in rural areas showed a lower intake of total fat compared to the reference level. The food sources for total fat and SFA were meat, soybean oil, eggs, and milk in both areas. The intake of fat from eggs, milk, mayonnaise, and bread was higher in urban areas, but the intake of fat from white rice and coffee mix was higher in rural areas. The SFA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levated serum total cholesterol in urban areas (4th quartile vs. 1st quartile, OR: 1.22, 95% CI: 1.06-1.40, P for trend: 0.043), but not in rural areas. Conclusions: Regional differences in total fat and SFA intakes and their food sources were observed among Korean adults. Our findings may help plan nutritional strategies to ameliorate regional health disparities.

Adaptability Test on Low Organic Soil and Selection of Varieties of Soybean Cultivars

  • Sung-Hyun Yun;Ju-young Choi;Young-Hwan Ju;Min-Young Park;Soo-Jeong Kwon ;Probir Kumar Mittra;Sang-Do Lee ;Tae-Young Hwang ;Sun-Hee Wo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8-78
    • /
    • 2022
  • Food productivity in North Korea is about 50% lower than in South Korea.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major crop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maturing, disease resistance, and high-yielding varieties and apply them early. Since the late 1990s, North Korea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potatoes, rice and com as major food crops, and soybeans are considered important as a protein-supplying crop. Domestic cultivated varieties, which are expected to be most adaptable eco-climatologically, are mainly selected from soil with high nutrient soil. It is necessary to test separately for adaptability in low organic soil. So it is very necessary to apply technology to improve soil improvement through rotational crop selection in the middle and long-ter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adaptability to low organic soils of domestic cultivars and to select varieties. In 2021 there are twenty two (22) varieties of soybeans were grown in low organic soil at the field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is year twenty two (22) varieties of soybeans were also grown in low organic soil at the field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owing was done on June 10, the planting distance was 70cm × 15cm, after opening the cotyledons fully, the soybeans were thinned and leaving two plants per hol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to low organic soil of domestic varie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ntitative components of soybean varieties grown in low organic soil. The flowering period of 22 varieties of soybeans was about 14 days from July 22 to August 4. The flowers of the beans were white, purple, light purple and the pubescence color was gray and brown where most of them were gray. The highest plant height was up to 130.4 cm and lowest was 20.3 cm, highest stem length was up to 119.5 cm and lowest was 15.3 cm. Highest first pod height (FPH) was up to 34.0 cm and lowest was 3.0 cm. Highest stem diameter was up to 15.76mm and lowest was 1.76 mm. Number of main stem nodes was up to 19 and at least 1. Number of branch was up to 10 and at least 0. The number of pod per plant was up to 121. Bacterial pustule has been spread in soybean field.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zuki Bea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diment Yield

  • Byong Won Lee;Seok Bo Song;Yeon Ju Ahn;Ji Ho Chu;Ji Yeong Kim;Myeong Eun Choi;San Ik Han;Chung Song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6-316
    • /
    • 2022
  • Azuki bean is the important bean crop in Korea, and is traditionally used as a filling material for red bean porridge, rice cakes, and bread, as well as for sediment. So far, the National Insititute of Crop Science has developed azuki bean varieties for various uses, such as for sediment, tea, and azuki bean sprouts. Among azuki bean elite lines, 25 strain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d bea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diment yield. The crude protein of red beans was 25.0-28.9%, ash content was 3.8-5.3%, and fat was 0.4-1.0%. As for the appearanc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zuki bean, one hundred seed weight was 11.1-19.5 g, the length of seed was 6.45-8.49 mm, the width seed was 4.84-6.45 mm, and the withd/lenght ratio was 0.72-0.89. When the azuki bean were boiled, the thickness of the seed coat was 0.14-0.27 mm and the length ratio of seed was 0.65-0.76 mm, showing that the length of seed wa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The yield of azuki bean sediment was 239-284% for whole red bean paste, and 144-203% for fine azuki bean past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zuki beans, such as protein, husk and seed weight, and the yield of azuki bean sediment, the yield of whole azuki bean sedi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ed coat thickness and the length ratio of the original grain at -0.62 and -0.45, respectively. The yield of fine sedi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ngth ratio of whole azuki beans at -0.49,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white beans at 0.41. However, protein and ash content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sediment yield.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it would be better to have a high seed weight or a low width/length ratio of seed to develope azuki bean cultivar for sediment.

  • PDF

과거 50년간 고려인삼 병 방제 변천사 (History of Disease Control of Korean Ginseng over the Past 50 Years)

  • 조대휘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51-79
    • /
    • 2024
  • 인삼 병해 방제 연구 초기 단계였던 1970~1980년대에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한 후 병원균의 생리와 발병 특성을 구명하였다. 그에 따라 지상부 주요 병해인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그리고 주요 토양 병해인 모잘록병, 모썩음병, 균핵병, 잘록병 등에 대한 경종적(耕種的) 예방법과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제법이 수립 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해가림 피복물이 기존의 볏짚 대신 polyethylene(P.E) 차광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른 병 방제법 개선 연구가 1987~1989년에 진행되었다. 이때의 연구를 통하여 점무늬병 발병 억제를 위한 빗물 누수 최소화 4중직 P.E 차광망 소재가 도입되었다. 1990년부터는 줄기속무름병균을 동정하였고 발병을 억제하는 화경제거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연작장해 원인균인 뿌리썩음병균을 구명하고 연작지 재활용을 위한 토양 훈증방법, 성토방법의 기초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는 급속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법 수정과 보완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출아기 강우 과다에 의한 줄기점무늬병의 작물보호제 방제법과 잿빛곰팡이병의 경종적 예방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모잘록병, 잘록병의 방제법 개선 방안이 확립되었다. 지난 50년 동안 초기에는 인삼 병의 원인과 방제법의 개발에 주력하였고, 후기에는 개발된 방제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경험삼아 앞으로 기후변화, 인삼 초작지 고갈, 인건비 상승, 소비자의 안전성 의식제고 등과 같은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삼 재배법과 병해 방제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주요작물(主要作物)에 대(對)한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에 관(關)하여 (A Study of Optimum Application of Fertilizers for Major Crops in Korea)

  • 오왕근;장석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9-44
    • /
    • 1969
  •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 최근(最近)에 실시(實施)한 비료(肥料) 삼요소(三要素) 시험성적(試驗成績)을 기초(基礎)로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의 적부(適否)를 검토(檢討)하였다. 1. 수도(水稻)에 있어서 질소(窒素) 및 인산(燐酸)은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과 적정(適正) 시비량간(施肥量間)에 차이(差異)가 없으나 가리(加里)의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은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4.2kg/10a 보다 1.9kg/10a이 낮은 2.26kg/10a이며 만약(萬若) 이것을 4.2kg/10a로 올린다면 증수량(增收量)은 1.2%가 된다. 2. 대맥(大麥)은 현행공급량(現行供給量)보다 질소(窒素) 3.4, 인산(燐酸) 4.7 및 가리(加里) 3.3kg/10a을 더 시비(施肥)해야 하고 이로인한 증수률(增收率)은 8.6%이다. 3. 소맥(小麥)은 질소(窒素) 3.4, 인산(燐酸) 3.9 및 가리(加里) 4.6kg/10a을 증시(增試)함으로서 17%의 증수(增收)가 예상(豫想)된다. 4. 옥수수는 질소(窒素) 7.5, 인산(燐酸) 6.4 및 가리(加里) 5.7kg/10a을 증시(增施)하여 45%의 증수(增收)가 기대(期待)되며 5. 고구마의 증수(增收)는 질소(窒素) 3.8, 인산(燐酸) 1.8 및 가리(加里) 15.1kg/10a 증시(增施)로 8% 6. 감자는 질소(窒素) 0.6, 인산(燐酸) 3.3 및 가리(加里) 3.6kg/10a을 증시(增施)하여 21%, 그리고 7. 대두(大豆)는 질소(窒素) 2.0, 인산(燐酸) 1.9 및 가리(加里) 2.9kg/10a을 증시(增施)하여 15%의 증수(增收)가 기대(期待)된다. 8. 현행(現行) 비료공급량(肥料供給量)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옥수수, 고구마, 감자와 같은 작물(作物)에 더 역점(力點)을 둔 비료공급(肥料供給)이 고려(考慮)되어야 하겠다.

  • PDF

백색 산란계의 산란성적에 미치는 성형 목탄가루, 목초액 및 양조식초 첨가사료의 영향 (Effect of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Powder, Wood Vinegar and Fermented Acetic Acid on the Egg Production in White Leghorn Strain Layer)

  • 최윤석;고태송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3-42
    • /
    • 1991
  • 본 연구는 성형목탄가룬 목초액 및 양조식초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을 주체로 한 대조(기초)사료(CON) 이외에, 대조사료의 탈지미강 대신으로 0.5%의 성형목탄가루를 대치한 사료(CPD), 성형목탄가루 사료에 목초액을 첨가한 사료(PWV) 및 성형목탄가루 사료에 양조식초를 첨가한 사료(PFA)이다 2회에 걸쳐서 산란이 제어된 113주령의 백색 레그흔 계통의 산란계에 대조사료를 급여하여 1주간 예비사육 한 뒤에, 12주 동안 상기 실험사료를 각각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실험사육기간을 통해서, 대조, CPD와 PWV사료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PFA사료의 섭취량은 실험사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난중은 대조에 비해서 실험사료를 급여하면 일반적으로 무거웠고, CPD를 급여한 것에서 대조사료에 비해서 유의하게 (P<0.05) 무거웠다. 산란율은 대조, CPD 및 PWV사료를 급여하면 각각 75.9, 75.0 및 75.9%로 유사하였으나, PFA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P<0.05) 낮아졌다. 그러나 산란일량은 대조, CPD및 PWV사료를 급여하면 각각 48.6, 49.9 및 49.5g이 되어 대조 에 비해서 CPD 및 PWV를 급여한 것에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이에 비해 PFA를 증여한 것에서는 유의하게 (P<0.05) 낮아졌다. 사료효율(딴/사로)은 대조와 PWV사료의 0.480 및 0.478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0.491로 높아지는 경향이, PFA에서 0.442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연 파난율은 대조사료에 비해서 CPD와 PWV를 급여하면 각각 30% 및 70%로 감소하였으나, PFA를 급여한 것에서는 대조사료의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난중 콜레스테롤함량에는 실험사료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일당 난단백질 생합성량은 대조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CPD사료를 급여하면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고, 난각의 두께 및 난각비율이 CPD사료를 급여한 것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성적은 성형목탄가루는 난생산성에 좋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