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y of Disease Control of Korean Ginseng over the Past 50 Years

과거 50년간 고려인삼 병 방제 변천사

  • Dae-Hui Cho (GimpoPaju Ginseng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 조대휘 (김포파주인삼농업협동조합)
  • Received : 2023.10.07
  • Accepted : 2023.12.08
  • Published : 2024.03.02

Abstract

In the 1970s and 1980s, during the nascent phase of ginseng disease research, efforts concentrated on isolating and identifying pathogens. Subsequently, their physiological ecology and pathogenesis characteristics were scrutinized.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control approach for safeguarding major aerial part diseases like Alternaria blight, anthracnose, and Phytophthora blight, along with underground part diseases such as Rhizoctonia seedling damping-off, Pythium seedling damping-off, and Sclerotinia white rot. In the 1980s, the sunshade was changed from traditional rice straw to polyethylene (PE) net. From 1987 to 1989, focused research aimed at enhancing disease control methods. Notably, the introduction of a four-layer woven P.E. light-shading net minimized rainwater leakage, curbing Alternaria blight occurrence. Since 1990,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l soft stem rot pathogen facilitated the establishment of a flower stem removal method to mitigate outbreaks. Concurrently, efforts were directed towards identifying root rot pathogens causing continuous crop failure, employing soil fumigation and filling methods for sustainable crop land use. In 2000, adapting to rapid climate changes became imperative, prompting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to control methods. New approaches were devised, including a crop protection agent method for Alternaria stem blight triggered by excessive rainfall during sprouting and a control method for gray mold disease. A comprehensive plan to enhance control methods for Rhizoctonia seedling damping-off and Rhizoctonia damping-off was also devis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initial emphasis was on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control of ginseng diseases, followed by refining established control methods. Drawing on these findings, future ginseng cultivation and disease control methods should be innovatively developed to proactively address evolving factors such as climate fluctuations, diminishing cultivation areas, escalating labor costs, and heightened consumer safety awareness.

인삼 병해 방제 연구 초기 단계였던 1970~1980년대에는 병원균을 분리하고 동정한 후 병원균의 생리와 발병 특성을 구명하였다. 그에 따라 지상부 주요 병해인점무늬병, 탄저병, 역병, 그리고 주요 토양 병해인 모잘록병, 모썩음병, 균핵병, 잘록병 등에 대한 경종적(耕種的) 예방법과 화학적 방제를 병행하는 방제법이 수립 될 수 있었다. 1980년대에 해가림 피복물이 기존의 볏짚 대신 polyethylene(P.E) 차광망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른 병 방제법 개선 연구가 1987~1989년에 진행되었다. 이때의 연구를 통하여 점무늬병 발병 억제를 위한 빗물 누수 최소화 4중직 P.E 차광망 소재가 도입되었다. 1990년부터는 줄기속무름병균을 동정하였고 발병을 억제하는 화경제거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연작장해 원인균인 뿌리썩음병균을 구명하고 연작지 재활용을 위한 토양 훈증방법, 성토방법의 기초 및 응용연구가 진행되었다. 2000년에 들어서는 급속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법 수정과 보완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출아기 강우 과다에 의한 줄기점무늬병의 작물보호제 방제법과 잿빛곰팡이병의 경종적 예방법이 수립되었다. 또한 모잘록병, 잘록병의 방제법 개선 방안이 확립되었다. 지난 50년 동안 초기에는 인삼 병의 원인과 방제법의 개발에 주력하였고, 후기에는 개발된 방제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경험삼아 앞으로 기후변화, 인삼 초작지 고갈, 인건비 상승, 소비자의 안전성 의식제고 등과 같은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삼 재배법과 병해 방제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2년도 (사)고려인삼학회 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김요태, 김홍진, 김형무, 「반점병 방제시험」, 「연구보고서(재배분야)」 (고려인삼연구소, 1979)
  2. 김요태, 김홍진, 이순구, 「반점병 방제시험」, 「연구보고서(재배분야)」 (고려인삼연구소, 1980)
  3. 오승환, 김홍진, 정영륜, 「반점병의 발병기작연구」, 「연구보고서(재배분야)」 (고려인삼연구소, 1979)
  4. 오승환, 박창석, 김홍진, 「인삼의 반점병 방제시험」, 「연구보고서(재배분야)」 (고려인삼연구소, 1978)
  5. 오승환, 유연현, 김기황, 김영호, 조대휘. 「인삼의 재배법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생태 및 방 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0)
  6. 오승환, 유연현, 김기황, 조대휘. 「인삼 토양 병해충 방제 및 농약개발 연구」,「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2)
  7. 오승환, 유연현, 김기황, 조대휘. 「인삼의 재배법 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생태 및 방제연구」 「인 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1)
  8. 오승환, 유연현, 김상석, 이일호, 김기황, 조대휘, 이장호. 「인삼의 주요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 연구보고서(재배)」(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5)
  9. 오승환, 유연현, 김상석, 이일호, 김기황, 조대휘, 이장호. 「인삼의 주요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4)
  10. 오승환, 유연현, 김영호, 김기황, 이장호, 「인삼의 재배법 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 생태 및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 및 육종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9)
  11. 오승환, 유연현, 김영호, 김기황, 이장호, 「인삼의 재배법 변화에 따른 병해충 발생 생태 및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 및 육종편)」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8)
  12. 오승환, 유연현, 김영호, 김기황, 이장호. 「인삼의 주요병해충 방제연구」,「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및 육종)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7)
  13. 오승환, 유연현, 이순구, 박규진 이장호. 「묘포병해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3)
  14. 오승환, 유연현, 정영륜, 이순구, 이장호. 「인삼의 역병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 ( 한국인 삼연초연구소, 1982)
  15. 오승환, 정영륜, 「병해충 방제연구(균핵병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1)
  16. 오승환. 「인삼 병발생과 방제」, 「인삼연구」 (고려인삼연구소, 1980)
  17. 유연현, 백종운, 조대휘, 목성균. 「근부관련 인삼 연작장해 해소 실용화 및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2001)
  18. 유연현, 백종운, 조대휘. 「근부관련 인삼 연작장해 해소실용화 및 주요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9)
  19. 유연현, 오승환, 「제8장 인삼의 병」, 「최신고려인삼 (재배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6)
  20. 유연현, 오승환, 김기황, 박규진, 조대휘, 「인삼연작장해 해소연구」,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4)
  21. 유연현, 오승환, 김기황, 조대휘. 「인삼 토양 병해충 방제 및 농약개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93)
  22. 유연현, 오승환, 이윤환, 김기황, 박규진, 조대휘. 「근부관련 인삼 연작장해 해소 실용화 및 주요 병충해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8)
  23. 유연현, 조대휘, 강제용. 「인삼 뿌리썩음병의 종합적 방제 시스템 개발 연구」. 「인삼연구결과 연차 보고서 (재배분야)」 (KT&G 중앙연구원, 2002)
  24. 이순구, 김홍진, 정형륜, 오승환, 김요태, 「반점병 방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981)
  25. 전매청 공보담당관실. 「제 3편 인삼, 제 5장 인삼시험연구사업」「한국전매사 제3권」 (삼화인쇄 ,1982)
  26. 조대휘 「산지 연작지 재활용 성공사례집」 (한국인삼공사 자원분석연구소, 2016)
  27. 조대휘 「제6장 인삼 병해충」, 「한국홍삼․인삼과학기술해설서」 (한국인삼공사 R&D 본부, 2014)
  28. 조대휘, 박동욱. 「인삼 병해충 방제연구」, 「인삼연구보고서」 (KT&G 중앙연구원, 2003)
  29. 조대휘, 「여주, 괴산지역 3~4년생 3개소 포지 줄기점무늬병 발병원인 조사」 「인삼자원연구소 기술문서」 (한국인삼공사, 2013)
  30. 조대휘, 전용호, 조혜선, 「인삼병해충 방제연구」, 「생물자원연구소 보고서」 (KT&G 중앙연구원, 2005)
  31. 조대휘, 조혜선, 김재현, 신정섭, 「잘록병 및 균핵병 친환경 방제제 실내 선발」, 「친환경방제팀 기술문서」(한국인삼공사, 천연물자원연구소, 2012)
  32. 조대휘, 조혜선, 신정섭, 「잘록병 및 균핵병 친환경 방제제 선발」, 「친환경방제팀 기술문서」 (한국인삼공사, 천연물자원연구소, 2010)
  33. 조대휘, 조혜선, 신정섭, 「잘록병 및 균핵병 친환경 방제제 선발」, 「친환경방제팀 기술문서」 (한국인삼공사, 천연물자원연구소, 2011)
  34. 조대휘, 조혜선, 신정섭. 「모잘록병 경종적 방제법 개발」, 「생물자원연구소 기술문서」(KT&G 중앙연구원, 2007)
  35. 조대휘, 조혜선, 신정섭. 「인삼병해충 방제연구」, 「생물자원연구소 기술문서」(KT&G 중앙연구원, 2008)
  36. 조대휘, 조혜선. 「인삼 잎점무늬병균 분생포자 비산량과 기상요인 상관조사」「인삼자원연구소 기술문」(한국인삼공사, 2013)
  37. 조대휘. 「점무늬병에 의한 지상부 고사가 근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생물자원연구소 기술문서」 (KT&G 중앙연구원, 2008)
  38. 조대휘. 「제6장 인삼 병해충」, 「한국홍삼 ․ 인삼과학기술 해설서」 (한국인삼공사 R&D본부, 2014)
  39. 조대휘. 「줄기점무늬병 천연물 방제제 선발연구」 「생물자원연구소 기술문서」 (KT&G 중앙연구원, 2006)
  40. 조대휘. 「출아기 강우과다로 줄기점무늬병 적기방제 요망경보문자전달」 「기술문서」 (KT&G중앙연구원, 2003)
  41. 한국식물병리학회, 「한국식물병목록」 (제이와이, 2009) 한국인삼경작조합연합회 「인삼 병해충 원색 도감」 (교학사, 1984)
  42. 박종한, 한경숙, 한유경, 이중섭, 김대현, 황정환.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포도나무 균핵병 발생」, 「식물병연구」15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43. 오승환, 박창석, 「인삼의 역병 병원균 및 방제책에 관하여」, 「고려인삼학회지」 (고려인삼학회, 1980)
  44. 유연현, 오승환, 조용섭, 「고려인삼에서 분리한 Phytophthora species의 분류 및 기주범위」. 「한국식물병리학회지」 4 (한국식물병리학회, 1988)
  45. 유연현, 이영근, 오승환.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인삼의 줄기속무름병균 증상에 관하여」, 「한국식물병리학회지」7(한국식물병리학회, 1991)
  46. 정후섭, 「인삼의 병해」, 「생약학회지」 3 (한국생약학회, 1972)
  47. 조대휘, 강제용, 유연현. 「인삼 잘록병균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과 병발생 및 생육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8 (고려인삼학회, 2004)
  48. 조대휘, 유연현, 김영호.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후막포자의 형태적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7(4) (고려인삼학회, 2003)
  49.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이호자, 「배양기간, 온도, pH가 인삼 근부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균사생육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 (고려인삼학회, 1995)
  50.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이호자. 「인삼 뿌리썩음병균 C. destructans 의 균사생육과 포자형성에 미치는 탄소원과 질소의 영향」,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51.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이호자. 「Cylindrocarpon destructans 에 의한 연작지 2년근 인삼의 근부병 발병특성」, 「고려인삼학회지」 19 (고려인삼학회, 1995)
  52.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이호자. 「인삼 근부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포자생성에 미치는 배양기간, 온도, pH의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20 (고려인삼학회, 1996)
  53. 조대휘, 유연현, 오승환. 「기중균사 제거와 광처리가 인삼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의 대형분생포자 및 후막포자생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 23 (고려인삼학회, 1999)
  54. 조대휘, 유연현.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후막포자 발아에 미치는 배양온도 및 pH 의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5 (고려인삼학회, 2001)
  55. 조대휘, 유연현. 「인삼 잘록병(Rhizoctonia solani) 발생억제에 미치는 Fludioxonil, Flutolanil 및 Thifluzamide의 효과」, 「고려인삼학회지」 29 (고려인삼학회, 2005)
  56. 조대휘, 유연현. 「초음파처리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후막포자의 분리」, 「고려인삼학회지」 24 (고려인삼학회, 2000)
  57. 조대휘, 「인삼병해충의 경종적 방제법 개발동향」 「고려인삼연구와 산업」 (고려인삼학회, 2009)
  58. 조혜선, 전용호, 도경란, 조대휘, 유연현. 「인삼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의 균학적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 (고려인삼학회, 2008)
  59. Cho, HS, Shin, JS, Kim, JH, Hong, TK, Cho, DH, Kang, JY. First report of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nivalis on Panax ginseng in Korea. Plant Dis. 19:49-54 (2013) https://doi.org/10.5423/RPD.2013.19.1.049
  60. Colmenares AJ, Aleu J, Duran, RP, Collado IG, Hernandez RG. The putative role of botrydial and related metabolites in the infection mechanism of Botrytis cinerea. J Chem. Ecol 28:997-1005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Chemical Ecology, 2002) https://doi.org/10.1023/A:1015209817830
  61. Horace GC, John MJ, John SH, Deanne D, Patsy DG, Rodney GR. Botcinolide: A biologically active natural product from Botrytis cinerea. Biosci. Biotechnol. Biochem 57:1980-82 (The Japan Society for Bioscience, Biotechnology, andAgrochemistry, 1993) https://doi.org/10.1271/bbb.57.1980
  62. Kang YH, Lee SH, Lee JK. Development of a selective medium for the fungal pathogen Cylindrocarpon destrutans using radicicol. J Plant Pathol. 30:432-36 (2014). https://doi.org/10.5423/PPJ.NT.08.2014.0073
  63. Kim WK. Pathogenicity of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hizoctonia solani on crops. Korean, J Plant pathol. 12:21-32 (1996)
  64. Kim, JH, SK KIm, MS Kim, YH Jeon, DH Cho and YH Kim, Different structural modification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ginseng root rot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J Plant Pathol. 25(1):1-5 (2009) https://doi.org/10.5423/PPJ.2009.25.1.001
  65. Lee CK, Lee SH, Choi YJ, Park MJ, Shin HD. Sclerotinia rot of Aralia elata caused by Sclerotinia nivalis in Korea. J Plant Pathol. 26:426 (2010)
  66. Li GQ, Wang DB, Jiang DH, Huang HC, Laroche A. First report of Sclerotinia nivalis on lettuce in central China. Fungal Biology 104:.232-37 (The British Mycological Society, 2000)
  67. Saito, I. Sclerotinia nivalis, sp. nov., the pathogen of snow mold of herbaceous dicots in northern Japan. Mycoscience 38:327-36 (Mycological Society of Japan, 1997) https://doi.org/10.1007/BF02460857
  68. Zhou RJ, Xu HJ, Fu JF, Yang FY, Liu Z. First report of Sclerotinia rot of chinese atractylodes caused by Sclerotinia nivalis in China. Plant Disease 96:1823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012)
  69. 박규진. 「한국에서 인삼균핵병을 일으키는 Sclerotiniaspecies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70. Yu, YH "Studies on Phytophthora blight of Korean ginseng; etiology, host range and factors affecting sporangium formation of Phytophthora cactorum",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3)
  71. 국가법령정보센터 "중앙전매기술연구소직제(각령 제 623호, 1962. 4, 10)
  72. https://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7&tabMenuId=93&query=%EC%A4% 91%EC%95%99%EC%A0%84%EB%A7%A4%EA%B8%B0%EC%88%A0%EC% 97%B0%EA%B5%AC%EC%86%8C#undefined (검색일 2023년 10월 1일)
  73. 국가법령정보센터 "중앙전매기술연구소직 (대통령령 제 3804호, 1968. 2, 23)"
  74. https://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7&tabMenuId=93&query=%EC%A4%91%EC%95%99%EC%A0%84%EB%A7%A4%EA%B8%B0%EC%88%A0%EC%97%B0%EA%B5%AC%EC%86%8C#undefined (검색일 2023년 10월 1일)
  75. 농민신문, 「금산지역 인삼 역병 '비상'」(2002년 5월 17일) https://www.nongmin.com/_/newspaper (검색일 2023년 10월 3일)
  76. 매일경제 "증평인삼시험장 준공식 거행(1976. 12. 16)" https://www.google.com/amp/s/m.mk.co.kr/amp/339995 (검색일 2023년 10월 1일)
  77. 위키백과, "코흐의 가설" https://ko.wikipedia.org/wiki (검색일 2023년 9월 22일)
  7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인삼연초연구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1367 (검색일 2023년 8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