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ginseng saponi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8초

인삼이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이완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on the Relaxation of the Penile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in Rabbits)

  • 안태영;김건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339-343
    • /
    • 1996
  • The effect of ginseng on the reactivity of penile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strips of rabbits was investigated to suppor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ginseng for the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normal diet group (n=9) and ginseng saponin diet group (n=5). Then, each group was fed normal diet and Korean red ginseng saponin diet (50 mg/kg/day) for 10 weeks. We measured concentration dependent relaxation of corporal smooth muscle to acetylcholine (10-8 M to 10-4M) in organ chamber. The degree of relaxation was expressed as percentage of maximal relaxation obtained by papaverine (10-4M). Dose dependent relaxation of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to acetylcholine, at the concentration of 10-8 M to 10-4M by half log increment, was 4.06$\pm$0.00, 4.30$\pm$1.30, 5.32$\pm$0.68, 11.64$\pm$1.74, 16.24$\pm$1.61, 23.33$\pm$ 2.29, 26.45$\pm$2.25, 30.43$\pm$2.40 and 33.41 $\pm$2.48 (%), respectively in normal diet group and 9. 83$\pm$4.15, 20.60$\pm$4.62, 24.1815.12, 35.75$\pm$5.71, 43.35$\pm$6.11, 51.30$\pm$6.22, 56.33$\pm$6.22, 54.30$\pm$4.17 and 51.98$\pm$3.92 (Vc), respectively in ginseng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ginseng enhances ondothelium-dependent acetylcholine-induced relaxation of penile corpus cal.ernosal smooth muscle in rabbits.

  • PDF

박피가 인삼의 색택 및 주요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Surface Color Formation and Constituents of White Ginseng Preparer with Peeling by Using Barker)

  • 최재을;남기열;이상국;김현호;조항식;황광보;고성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69-375
    • /
    • 2008
  • 본 연구는 박피시간에 따른 백삼의 색택과 일반성분 및 사포닌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삼 표피의 색택은 박피시간이 길어질수록 양호하였다. 일반성분인 조지방, 조단백질, 지방산 및 아미노산은 박피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감소하였다. 조사포닌과 ginsenosides 함량은 박피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박피 인삼의 ginsenosides는 무박피에 비하여 약 20-30%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삼의 박피가 색택을 좋게 하지만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인 사포닌 함량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정상홍삼과 불량홍삼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Inferior Parts in Korean Red Ginseng)

  • 김천석;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89-93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point of difference in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ormal and inferior Korean red ginseng (Naeback red ginseng=red ginseng with white part of clear boundary in phloem and/or xylem of ginseng body, saengnaeback red ginseng=red ginseng with white part of indistinct boundary). content of total sugar as chemical components of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from Korean red ginseng were less than that of normal part, and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normal and saengnaebakc part showed higher than that of naeback part. But differences in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not found. The content of crude saponin in normal part was highest, amounts of ginsneoside were about same. The content of constituent amino acid in normal part was about 2 times as compared with those in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in red ginseng. Among the various amino acids, the contents of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nd alanine of normal and naeback part were higher than others, but in saengnaeback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threonin and glycine etc. were higher. In the total amount of free amino acids, those in normal,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were about the same one another, and argin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major free amino acids.

  • PDF

오염된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Citrobacter sp.에 대한 인삼사포닌의 생육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of Citrobacter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 박채규;곽이성;홍순기;이훈상;황미선;이만휘;원준연;한경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70-274
    • /
    • 2008
  •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약 1.0 ${\mu}m$이었고 길이는 $2.0{\sim}6.0{\mu}m$로 세포표면에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편모로 이동하는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beta}-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rn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없었고,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 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Cit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Cit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circ}C$에서 3 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생육저해율은 각각 28.6, 66.7, 92.4, 97.7%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 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2{\times}10^6$에서 $1.0{\timex}10^8$ CFU/g으로 완만한 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cessing Method)

  • 최재을;남기열;이상국;김복용;조황식;황광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2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changes in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free sugar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 and ginsenoside contents depending upon processing methods. Ginseng roots harvested from the same field were employed for the processing into white ginseng (WG), taegeuk ginseng (TG), red ginseng A (RGA, steamed one time), and red ginseng B (RGB, steamed three times). The fat content decreased by increasing duration of treatment and number of steam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contents of ash and carbohydrat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Contents of sucrose and maltose was higher in Taegeuk and red ginseng than those of white ginseng. Steamed ginseng root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showed higher amount of water extractable solid than the unsteamed white ginseng, but the variation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not distinctiv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increased by the order of white, taegeuk, red A, and red B root. In summary, chemical composition and total ginsenoside cont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t of root and processing methods, thus impl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as well as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root.

사포닌 함량 및 품질의 증진을 위한 백삼 물추출액 추출 조건 (Saponin Content and Quality for the Promo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ion Conditions)

  • 한진수;이상국;박용준;강선주;김정선;남기열;이기택;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8-463
    • /
    • 2009
  • 본 연구는 백삼 추출액의 사포닌 함량을 높이고 품질과 관련된 특성을 증진 시킬수 있는 최적 추출 시간 및 온도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백삼의 물 추출액의 총 ginsenosides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액 8.32 mg/10ml, $85^{\circ}C$에서 6시간 추출액 5.93 mg/10 ml, $95^{\circ}C$에서 6시간 추출액 4.92 mg/10 ml으로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항당뇨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 $Rb_2$와 Re을 합한 최고 함량은 $75^{\circ}C$에서 18시간 추출액 1.76 mg/10 ml, $85^{\circ}C$ 6시간 추출액 1.34 mg/10 ml, $95^{\circ}C$ 6시간 추출액 0.56 mg/10 ml이었으며, 항암 작용을 나타내는 $Rg_3$의 함량은 $75^{\circ}C$에서 36시간 추출액 1.67 mg/10 ml, $85^{\circ}C$에서 36시간 추출액 3.13 mg/10 ml, $95^{\circ}C$에서 24시간 추출액이 3.56 mg/10 ml이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른 이화학성의 변화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pH는 낮아 졌으나 환원당, 탁도, 당도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백삼추출액을 제조할때 1차 추출에서는 사포닌 최고 함량 추출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한 다음 다시 온도를 높게 2차 추출 하여 맛을 증진시켜 혼합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삼과 백삼의 비교 고찰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 (Panax ginseng C. A. Meyer))

  • 남기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1-18
    • /
    • 2005
  •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가공방법fl 따라 크게 백삼과 홍삼으로 분류된다. 가공 공정 면에서 홍삼은 생 인삼(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백삼과는 다르게 일정한 온도조건 하에서 수증기로 쪄서 건조 한 인삼으로 두 종류의 인삼간에는 열처리 공정에 차이점이 있다. 품질 안정성 면에서 홍삼은 열처리과정에서 효소의 불 활성화와 자체 항산화 물질의 증가로 저장성이 양호하고, 호화전분이 되어 끓일 때 내용성분이 잘 우러나오고 소화 흡수도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분 면에서 홍삼제조 시 열처리(steaming처리)와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화학성분의 구조적 변환이 일어나 홍삼특유의 암세포증식억제 활성 성분인 $ginsenosides-Rh_2,\;-Rh_4,\;-Rs_3,\;-Rs_4,\;-Rg_5$, 암세포 전이 억제 및 혈관확장 효과 등을 나타내는 $ginsenoside-Rg_3$ 등이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비사포닌계 생리활성물질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가진 polyacetylenic alcobol의 구조적 변환에 의해 panaxytriol 등이 생성되고, 그리고 maillard 반응 생성물로 항산화 활성 성분인 maltol과 당과 아미노산이 결합된 아미노산 유도체인 arginyl-fructsyl-glucose등이 생성된다. 한편 홍삼과 백삼 및 이들 제품의 수출과 관련하여 각 수출 대상국의 진세노사이드 수준의 품질관리기준에 대한 충분한 분석화학적 정보의 확보가 필요하며, 금후 이에 적합한 품질기준의 설정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홍삼의 경우 찌는 온도와 시간의 장단에 따라, 또는 그 농축액 제조 시 추출 및 농축 조건(온도와 시간)에 따라 인삼의 품질 지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 ginsenosides를 비롯한 상당한 성분의 변환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품질관리방법의 고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효능 면에서 홍삼과 백삼의 차별성에 대해서는 in vitro 혹은 in vivo 시험에서 노화억제효과와 관련된 항산화 활성을 비롯해서 혈액순환개선 효과, 암 발생 억제력 등의 약리 활성이 홍삼이 백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울러 한방의학에서 일반적으로 허를 보 하는 힘은 홍삼이 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실제 임상실험에 의한 비교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경구투여 후 체내 동태측면에서 그 효과의 차별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금후 홍삼과 백삼의 효과 우열의 측면이 아닌 그 용도와 적응증에 차이가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과학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가능한 동일한 재배조건에서 생산된 원료수삼으로 제조된 홍삼과 백삼의 원 생약과 그 추출 분획물, 또는 성분을 시료로 하여 화학성분 조성을 비교하고 이와 연계한 실험적 효능연구의 확충과 특히 임상적 효능 비교연구를 통해 과연 그 적응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보다 많은 과학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삼성분(人蔘成分)의 추출(抽出)에 관한 연구 -제1보 인삼(人蔘)의 지역별(地域別) 및 가공중(加工中) Saponin구성성분(構成成分)의 변화-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Korean Ginseng Component -Part 1. Differences of Saponins in Korean Ginseng by Cultivation Area and Processing-)

  • 유주현;김해중;변유량;남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3-316
    • /
    • 1977
  • The patterns of saponins of lateral gingengs cultivated different areas and various ginseng products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thin-layer chromatography. In the case of ginseng cultivated in the Kum San and Gang Hwa area, some parts of the panaxatriol series of the saponins (peak 6 and 7.8.9) were higher in concentration than in ginseng grown in other areas while the other ingredients were almost the same. In the process of heat treatment the quantity of peak 2 was generally de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red and white ginseng, one part of the panaxatriol saponins, peak 6 was increased. This tendency was also found in honeyed ginseng and ginseng tea which were not exposed to sunlight, but the increase was much less. The change in the red and white ginseng which were exposed to sunlight was very substantial.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the increase of peak 6 comes about due to the combination of heat treatment and exposure to sunlight, especially due to exposure to sunlight.

  • PDF

오염된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의 동정 및 인삼사포닌의 균 생육억제효과 (An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 곽이성;이종태;여운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0
    • /
    • 2002
  •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mu extrm{m}$, 길이는 1.2-3.0 $\mu\textrm{m}$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beta$-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m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 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circ}C$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times$$10^{6}$에서 2.0$\times$$10^{7}$ CFU/g 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열처리(熱處理)가 인삼(人蔘)사포닌의 안정성(安定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eating Treatment on the Stability of Saponin in White Geinseng)

  • 성현순;양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26
    • /
    • 1986
  • 인삼엑기스의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그리고 열처리가 인삼엑기스의 사포닌과 순수분리 조제된 조사포닌의 양적 변화와 패턴변이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하기 위하여 물을 추출용매로 하고 추출 조건별로 인삼엑기스와 조사포닌을 조제하고 조제된 조사포닌을 다시 열처리하여 그 변이여부를 HPLC법으로 측정비교하여 본 결과 순수분리된 조사포닌이 인삼엑기스중의 사포닌 경우보다 열처리에 의한 변이차가 더 컸으며 패턴별로는 ginsenoside-Rd가 비교적 내열성이었고 ginsenoisde-Re, -Rc, $-Rb_1$$-Rb_2$가 비교적 비내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엑기스 조제시 사포닌의 패턴과 양적인 변이는 추출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길수록 컸으며 $100^{\circ}C$이상에서 특히 심하였다. 따라서 인삼엑기스중의 사포닌 함량과 ginsenoside별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추출조건으로는 $80^{\circ}C$이하에서 40시간내외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