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eight regulation

Search Result 53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대서양 황다랭이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A REVIEW OF SOME ASPECTS OF THE YELLOWFIN TUNA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 주우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1977
  • 대서양 황다랭이(Yellowfin tuna)어업에 대한 최근의 자료를 국제대서양 참치 보존위원회(ICCAT)로부터 수집하며, 자원생물학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대서양에서의 상업적인 황다랭이 어업은 1955년에 시작되었으며, 한국은 1964년 연승에 의해 입어하기 시작하였고, 1972년 부터는 채낚기 어선도 출어하여 참치 어업이 이원화되었으나 아직은 연승에 의해 주로 어획하고 있다. 2. 대서양의 황다랭이 전체 어획량추이로 보면 어업이 시작된 이래, 연승어업의 portion이 극히 높았으나, 1966년부터 표층어업이 앞질러 1975년의 경우에는 전체 114.0천MT 중 연승은 25.5천 MT로 $23\%$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국은 연승어획국중에서는 1위를 마크하고 있다. 1. 대서양에서 황다랭이를 어획하기 위해 투입되는 모든 어획노력량을 연승의 낚시수로 환산한 바, 1974년의 경우 약 476백만 hooks 이었는데, 이중 연승은 163백만 hooks로 $34\%$이었다. 4. 황다랭이 어획량을 어획미수로 환산한바, 1973년에 8.6백만미로 평균 10.9kg짜리가 어획되었다. 5. 최근에 들어 오면서, 표층어업에서는 주군이 2세어군에서 1세어군으로, 그리고 연승에서는 3세어군에서 2세어군으로 야년화되어 가는 현상이 뚜렷했다. 6. 최근의 황다랭이의 평균 총사망계수(Z)는 1.5로 계산되었는데, 자연사망 계수를 0.8로 간주할 때 어획사망계수(F)는 0.7로 나왔다. 7. 1973년의 가입시 체중 계산은 2.7kg으로 나왔는데, 이는 ICCAT의 황다랭이 규제체중인 3.2kg 보다 훨씬 작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 때, 연승은 별문제가 없으나 채낚기 어업의 경우, 이들 규제체중 미달어체의 혼획을 낮추는 문제를 조사${\cdot}$연구할 필요가 있다. 8. 가입량크기(Recruitment strength)를 비교한 결과, 강한 년급군의 가입량은 약한 년급군의 가입량에 비해 3배나 컸으나, 이들이 번갈아 나타나므로서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켰다고 생각된다. 9. 대서양 황다랭이와 최대특속적 어획량은 95-145천 MT로 계산되었다. 이는 현재의 어획수준에 해당하는 값으로, 현재 이상의 어획노력의 투입은 오히려 어획량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희망적인 경우라 할지라도, 잉여의 노력량 투입공에 해당하는 만큼의 어획량 증가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10. 오늘날까지의 우리나라의 입장은 원양어업의 신장을 위해 어떠한 형태로 든지의 국제적인 자원규제조치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받아들여 왔음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안국의 전관수역의 확산 움직임과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채낚기 및 연승의 선망에 비한 어법의 열세 및 어획량 portion의 상대적 감소등을 감안할 때, 적어도 표층어업과 연승별 어획량 quota 제의 실현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우리에게 안정적인 조업을 할 수 있는 길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 PDF

과체중과 비만 여성의 HbA1c 지표에 따른 당뇨병 예방을 위한 영양상담의 효과 (Benefits of Nutrition Consultation for Preventing Diabetes According to HbA1c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 권용진;선우섭;문황운;박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2호
    • /
    • pp.112-123
    • /
    • 2013
  • HbA1c was recently adopted as a reliable indicator for screening diabe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y of nutrition consultation to prevent diabetes in overweight women (BMI 23 $kg/m^2$ or more) using HbA1c as an indicator. Twenty overweight and obese women (with $HbA1c{\geq}5.7$%) completed the 12-week nutritional study, with individual and personalized nutrition counseling performed every 2 weeks. The main study guidelines involved the following: 1) reducing the intake of high fat foods and alcohol, 2) consuming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3) reducing the intake of simple sugars and empty-calorie foods, and 4)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to ${\geq}30$ min/day. Anthropometric (height, weight, BMI, body muscle (kg), body fat (%),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parameters (fasting blood sugar (FBS), HbA1c, lipid profiles, hs-CR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consultation. After 12 weeks, the HbA1c<5.7%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s in BMI, WC, HC, WHR, HbA1c, hs-CRP and also dietary intake of energy (P<0.01), carbohydrates, lipids (P<0.01), proteins (P<0.01) and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the HbA1c ${\geq}5.7$% group, HbA1c, TC, LDL, NON-HDL, hs-CRP and dietary intake of energy, carbohydrate, lipid, protein, and 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consultation effectively helps to prevent diabete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after applying HbA1c standards. Overall, the improvement in all markers measured suggest that HbA1c is a good indicator for blood glucose regulation, helping to prevent diabetes.

골담초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이후 지질 및 당질 대사 개선 효능 (Effects of a Caragana sinica Water Extract on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상철;정수임;강미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2-538
    • /
    • 2016
  • 난소의 노화에 의해 폐경이 시작되면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되어 여러 폐경 증상들을 겪게 되는데 이것으로 인해 발병되는 성인병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절제술을 통해 폐경을 유도한 흰 쥐 모델에서 골담초 열수 추출물의 체내 물질 대사 관련 여부 및 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Sprague-Dawley 암컷 쥐30마리를 비절제난소군(SHAM), 난소제거군(OVX) 그리고 골담초 추출물을 급여한 OVX-CS군으로 각각 10리씩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 그리고 지방조직무게는 OVX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OVX-CS 군에서 감소하였다.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혈장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골담초 추출물 급여에 따라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산 합성 관련 효소 활성도인 ME는 간조직에서는 OVX-CS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G6PD 활성은 OVX 군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당신생합성 관련 효소인 G6pase 활성은 골담초 추출물 섭취에 따라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아디포카인 측정 결과 렙틴 농도는 OVX-CS군이 정상군 수치만큼 감소하였으며, 아디포넥틴도 정상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난소제거를 통해 폐경이 유도된 흰쥐모델에서 골담초 추출물 급여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체중증가를 억제하고, 지질 및 당질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건강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추후 골담초의 구체적인 생활성물질을 추적하여 그 과학적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Is Involved in Weaning to Estrus of Primiparous Sow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Hormone Genes in Hypothalamus-pituitary-ovary Axis

  • Kong, L.J.;Wang, A.G.;Fu, J.L.;Lai, CH.H.;Wang, X.F.;Lin, H.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40-35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weaning to estrus of primiparous sows. Twelve sows composed of 6 groups of 2 full-sibs in a similar age (325.2 d), body weight (BW; 152.4 kg) and backfat thickness (BFT; 27.0 mm) at start of lactation, were allocated to accept 31 MJ (restricted group, R-group) or 53 MJ (control group, C-group) DE/d treatment,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 energy intake resulted in excessive losses of BW and BFT during lactation in R-group sows, which may be related to decrease of serum 15-deoxy-${\Delta}^{12,14}$-prostaglandin $J_2$ (15d-$PGJ_2$), a ligand of PPAR${\gamma}$ The obvious peak and the frequency of LH, FSH and estradiol ($E_2$) were only observed in C-group sows. Except for $E_2$ at d 1 and 2, serum FSH, LH and $E_2$ concentrations in R-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C-group sows after weaning. However, the serum progesterone ($P_4$) level in R-group sows was always more than that in C-group. The expression abundances of PPAR${\gamma}$and GnRH receptor (GnRH-R) in pituitary, FSH receptor (FSH-R), LH receptor (LH-R), estrogen receptor (ES-R) and aromatase in ovary of anestrous sows were lower than those of estrous sows. Neither the BFT nor the BW was associated with the mRNA abundance of PPAR${\gamma}$in hypothalamus during lactation. Expressions of PPAR${\gamma}$in pituitary and ovary were affected evidently by the BFT changes and only by the loss of BW of sows during and after lactation. Furthermore, PPAR${\gamma}$mRNA level in ovar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xpression abundances of GnRH-R, FSH-R, ES-R and aromatase, and GnRH-R was obviously associated with PPAR${\gamma}$expression in pituitary. However, PPAR${\gamma}$expression in hypothalamus likely has no effects on these genes expression and no obvious difference for all sows. Not serum $E_2$ or $P_4$ alone but the ratios of $E_2$ to $P_4$ and 15d-$PGJ_2$ to $P_4$, and serum FSH and LH were evidently related to PPAR${\gamma}$expression in pituitary and ovary. It is concluded that PPAR${\gamma}$is associated with body conditions, reproduction hormones and their receptor expression, which affected the functions of pituitary and ovary and ultimately the estrus after weaning of primiparous sows.

미숙아의 발달지지를 위한 간호중재에 관한 문헌연구 (Literature Review Nursing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Support on Preterm Infants)

  • 김태임;심미경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55
    • /
    • 2001
  • Recently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or its lack, on both normal and preterm infants. Particularly numerous studies suggest that premature infants are not necessarily understimulated but instead are subjected to inappropriate stimulation. Developmental support and sensory stimulation have become clinical opportunities in which nursing practice can impact on the neurobehavioral outcome of premature infants. Developmental care has been widely accepted and implement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cross the country. Increasingly, attention and concern in caring for low-birth-weight infants and premature infants has led clinicians in the fiel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mplex of interventions designed to create and maintain a developmentally supportive environment; to provide age-appropriate sensory input; and to protect the infant from inappropriate, excessive and stressful stimulation. The components of developmental care include modifications of the macro-environment to reduce NICU light and sound levels, care clustering, nonnutritive sucking, and containment strategies, such as flexed positioning or swaddling. Sensory stimula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is presented to standardize the modification of a developmental intervention based on physiologic and behavioral cues.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stimuli are those that are sensitive to infant cues. Evaluation of infant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ds to specific intervention stimuli may help to identify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s based on infants' cues. A critical question confronting the clinician is that of determining when the evidence supporting a change in practice is sufficient to justify making that change. There are acknowledged limitations in the current studies. Many of the studies examined had small sample sizes; used nonprobability sampling; and used a phase lag design, which introduces the possibility of threats to internal validity and limit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Although many issues regarding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interventions remain unresolved, the available research base documents significant benefits of developmental care for LBW infants in consistent outcomes,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Particularly, although the individual studies vary somewhat in the definition of specific outcomes measured, instrumentation used, time and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preparaion of the care providers, in all studies, infants receiving the full protocol of individualized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had improvements in some aspect of four areas of infant functioning: level of respiratory or oxygen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oral feeding; length of hospital stay, and infant behavioral regulation. In summary, based on the available literature,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interven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tandard practice in neonatal intensive care. And this implementation needs to be coupled with ongoing research to evaluate the impact of an individualized developmental care programs on the short- and long-tenn health outcomes of LBW infants.

  • PDF

The improving effects of Saengmaeksan on ulcerative colitis

  • Kim, Min-Cheol;Kim, Su-Jin;Choi, In-Young;Ki, Ji-Ye;Kim, Dae-Seung;Jeon, Yong-Deok;Bae, Go-Eun;Choi, Sun-Kyung;Jeong, Hyun-Ja;Park, Yun-Jum;Kim, Hyung-Min;Um, Jae-Young;Hong, Seung-Heo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10권2호
    • /
    • pp.116-122
    • /
    • 2010
  • Saengmaeksan (SMS) is a well known Korean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which consists of 3 different herbs, Radix Ophiopogonis, Radix Ginseng, and Fructus Schisandrae. SMS has been commonly used in various disease including respiratory system and cardiovascular System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roving effects of SMS against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SMS reduced clinical signs of DSS-induced colitis, including body weight loss, shorten colon length, and increased disease activity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SM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B$ p65 in the colon tissues of DSS-treated mice.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result showed that the levels of IL-6 in plasma were increased in DSS treated group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group, but these increased levels were reduced by administration with SM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S has improving effects on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which may explain its beneficial effect in the regulation of chronic intestinal inflammation.

필수아미노산 결핍에 의한 섭식반응과 Methionine 결핍이 흰쥐의 뇌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ssential Amino Acid Deficient Diets in Feeding Response and c-fos Expression in Rats Brain in Response to Methionine Deficiency)

  • 김창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27-738
    • /
    • 2002
  • 본 시험은 각각의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의한 단기간의 섭식반응과 methionine 결핍(-Met) 사료 섭취시 뇌내 각 부위에 나타나는 Fos 면역반응을 조사하여 아미노산 결핍이 뇌내 섭식반응과 관련있는 부위를 명확히 알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사료의 단백질원은 정제아미노산을 이용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모든 사료의 질소원은 순수 아미노산 혼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사료내 단백질 함량은 15%로 하였다. 사료는 하루 6시간 동안 섭취하도록 적응을 시켰으며(17:00${\sim}$21:00, meal feeding method),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급여 7일째부터 매시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각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가 사료섭취량, 체중 변화 및 섭식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실험 2에서는 Fos 면역조직 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methio- nine 결핍사료에 대하여 회피 반응을 나타내는 동안에 활성을 보이는 뇌의 영역을 확인하였다. 각 필수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따른 초기 섭식 억제 정도는 methionine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반면 threonine이 가장 약하였다. 결핍사료 급여 3일째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histidine(71%), leucine(68%), isoleucine (66%), threonine(63%), tryptophan(61%), valine (55%), phenylalanine(52%), methionine(51%), lysine(44%), arginine(24%) 순으로 억제되었다. 뇌 신경 영역에 Fos 면역활성은 PPC, amygdala 및 endopyriform cortex(EPC) 부분이 대조구에 비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냈으나, LH, VMH 및 PVM에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가 비슷하게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뇌내 PPC는 필수아미노산 결핍에 반응하는 초기 인식부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소세포 폐암 환자 조직에서 Hsp90α, Hsp90β, GRP94의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s of HSP90α, HSP90β, and GRP94, an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in Tissu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60-469
    • /
    • 2017
  •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s, HSPs)은 다양한 종양에서 과발현 되고, 종양이 형성되는 과정이나 그 예후에 영향을 주며, 분자량에 따라 HSP27, HSP60, HSP90, HSP100 등으로 구분한다. Heat shock protein90은 세포 내 불안정한 단백질을 보호하는 역할을 통해 질병의 유지에 기여하는데, 정상 조직에 비해 종양 세포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폐암 중 비소세포 폐암에서 Heat shock protein90 family 발현과 비소세포 폐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종양의 생물학적 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HSP90 family의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HSP90{\alpha}$는 림프혈관강 침윤이 되지 않은 환자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고(p=0.014), $HSP90{\beta}$ 은 조직학적 형태에서 편평상피세포 암종에서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p=0.003), GRP94 은 분화도가 낮을수록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p=0.048). 생존율은 $HSP90{\alpha}$, $HSP90{\beta}$, GRP94 모두 발현 차이에 대한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miRNA-126, miRNA-155, miRNA-200c의 발현은 비소세포 폐암의 진단을 위한 생물학적 표지자 및 예후 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용으로 HSP90 family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GRP94가 종양의 예후예측을 위한 중요한 인자라 사료된다.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 (Anti-inflammatory and apoptosis improving effects of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in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 김경조;신미래;김수현;김수지;이아름;권오준;길기정;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27-234
    • /
    • 2017
  •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TNBS 대조군, Sulfasalazine (30 mg/kg)군, Sulfasalazine (60 mg/kg)군, Sulfasalazine (30 mg/kg)+육계 및 시호 혼합 (30 mg/kg)군,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염증 및 세포 자멸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SCB 투여는 염증 단백질 및 세포 자멸과 관련된 단백질의 억제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은 염증과 세포 자멸의 억제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대안 가능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다.

가미옥천산의 ICR 마우스 경구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시험 연구 (Acute Toxicity of Kami-Okchun-San in ICR-Mice)

  • 고병섭;박민정;박소민;전원경;천진미;정필문;박선민;최수봉;오명숙;장문석;박성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00-1203
    • /
    • 2005
  • Kami-Okchun-San(OCS) is known as an effective herbal medicine on Type 2 diabetes. We peformed to investigate acute toxicity of OCS on ICR mice. ICR mice in acute toxicity experiment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dosages of 3,200mg/kg (low dosage group), 4,000mg/kg (middle dosage group), 5,000mg/kg (high dosage group) per single time, respectively. Body weights, clinical signs, motalitie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 were observed daily for 14 day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1999. 12. 22).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OCS with different dosages, no animals died of the test drug. Autopsy of animal revealed no abnormal gross findings. Therefore, LD50 value of OCS for ICR mice was more than 5,000mg/kg on oral route. Normally increasing changes were observed in body weight, drinking water and food intake in every dosage group.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also observed normally in all animals. No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treated animals. Above data suggest that no toxic dose level of OCS in ICR mice is considered to be more than 5,000mg/kg.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OCS have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ICR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