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acceler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5초

리눅스 커널에서 구현한 웹서버 암호화 가속 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Socket Layer WEB Acceleration using Linux Kernel Thread)

  • 황준;민병조;남의석;김학배;장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489-492
    • /
    • 2002
  • 인터넷 전자 상거래의 폭발적 증가와 더불어 개인 및 기업의 정보가 온라인 상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하드웨어의 추가 없이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의 변화에 유연한 인터넷 보안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영역과 상관없는 커널 스레드를 사용하고 커널 영역으로 포팅된 라이브러리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웹 페이지 요청을 처리함으로써 응답시간과 서버 부하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SSL(Secure Socket Layer) 처리 구조를 제안한다.

  • PDF

MongoDB를 활용한 풀 스택 플랫폼 설계 (Full Stack Platform Design with MongoDB)

  • 홍선학;조경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52-15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플랫폼 라즈베리파이 3 모델을 기반으로 몽고DB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풀 스택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로깅하는 도구로써 이벤트 구동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리눅스 라즈비안 Jessie 버전으로 초당 28 프레임으로 USB 카메라(MS LifeCam 시네마) 이미지를 획득하며,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확장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속도 센서 동작을 검출하여 이벤트 트리거링을 감지하는 풀 스택 플랫폼 기능을 구현하고, IoT 환경에서 온도와 습도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특히 몽고 DB가 MEAN 스택과 가장 좋은 데이터 연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풀 스택 플랫폼 성능을 개발 향상시키는데 MEAN 스택을 사용하였다. 향후 IoT 클라우드 환경에서 풀 스택 성능을 향상시키고, 몽고 DB를 활용하여 보다 쉽게 웹 설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기술을 개발하겠다.

Terra-Scope - a MEMS-based vertical seismic array

  • Glaser, Steven D.;Chen, Min;Oberheim, Thomas 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115-126
    • /
    • 2006
  • The Terra-Scope system is an affordable 4-D down-hole seism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dependent, microprocessor-controlled sensor Pods. The Pods are nominally 50 mm in diameter, and about 120 mm long. They are expected to cost approximately $6000 each. An internal 16-bit, extremely low power MCU controls all aspects of instrumentation, eight programmable gain amplifiers, and local signal storage. Each Pod measures 3-D acceleration, tilt, azimuth, temperature, and other parametric variables such as pore water pressure and pH. Each Pod communicates over a standard digital bus (RS-485) through a completely web-based GUI interface, and has a power consumption of less than 400 mW. Three-dimensional acceleration is measured by pure digital force-balance MEMS-based accelerometers. These accelerometers have a dynamic range of more than 115 dB and a frequency response from DC to 1000 Hz with a noise floor of less than $30ng_{rms}/{\surd}Hz$. Accelerations above 0.2 g are measured by a second set of MEMS-based accelerometers, giving a full 160 dB dynamic range.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design and the cooperative shared-time scheduler implemented for this project. Restraints accounted for include multiple data streams, integration of multiple free agents, interaction with the asynchronous world, and hardened time stamping of accelerometer data. The prototype of the device is currently undergoing evaluation. The first array will be installed in the spring of 2006.

생체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감성 추천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Emotion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김태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15-222
    • /
    • 2021
  •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 (Human Computer Interface)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HCI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에 의한 컴퓨터 반응이 아닌 감정 추론 혹은 사용자 의도에 따른 컴퓨터 반응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스트레스는 현대 인간 문명사회에서의 피할 수 없는 결과이며 복잡한 현상을 나타내며 통제 유무에 따라 인간의 활동능력은 심각한 변화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의 일환으로 스트레스를 통해 증가된 심박변이도 (HRV)와 가속도 맥파(APG)를 측정한 후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음악을 이용한 지능형 감성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 즉, 스트레스 지수를 획득 및 인식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렇게 획득된 스트레스 지수를 단계별에 따라 시멘틱 웹 (Semantic Web)을 통해 감성추론을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지수와 감성의 변화에 매칭 되는 음악 리스트를 검색 및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맞는 감성 추천시스템을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였다.

車輪과 鐵路의 連成振動에 관한 硏究 (A Stusy on the Coupled Vibration of Train Wheel and Pail - Dynamic Characteristics of Train Wheel with the Stepped Thickness -)

  • 김광식;박민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3-73
    • /
    • 1987
  • 본 논문에서는 차륜을 등방성, 균질 재료라고 가정하였으며 웨브와 림의 두께 가 서로 다른 환형원판으로써 내원주는 고정되고 외원주는 자유라고 가정하였다. 외 원주상의 한 점에서 철로와의 구름조건에 따라 변하는 반경방향의 반력에 의한 내평면 압축응력과 원판의 회전에 의한 내평면 압축응력을 고려하고, 두께가 변하는 웨브와 림의 경계면에서의 연속조건을 이용하여 차륜의 횡진동방정식을 세워서 Rayleigh-Ritz 방법으로 수치해석을 하여 고유진동수와 임계좌굴하중을 계산하고, 실제 차륜의 1/6크 기로 형상화하여 제작한 연성진동장치로 실험하여 이론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u-라이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단말기 개발 (Development of u-Lifecare Monitoring System Device)

  • 최동운;강윤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533-1540
    • /
    • 2012
  • u-라이프 케어 단말기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운동을 패턴 별로 분류, 저장하고 일정 시간마다 안드로이드 폰에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안드로이드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u-라이프 케어 단말기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활동량을 모니터링한 후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한다. 생체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적절한 맞춤형 운동치료를 컨설팅하게 된다. 생체 정보를 전송할 때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통해 안드로이드 폰에 바로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의 라이프케어 제품들에서 센싱된 정보를 웹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모바일 게이트웨이나 홈 게이트웨이가 별도로 필요치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oneM2M 표준 기반 실시간 회전기기 센싱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ata Monitoring and Acquisition System for Real-time Rotating Machinery based on oneM2M)

  • 이영동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회전기기의 전압, 전류, 온도, 가속도, 진동 등을 측정 전송할 수 있는 oneM2M 기반의 실시간 회전기기 센싱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전기적 결함(과전류, 역상, 결상, 지락)과 기계적 결함(MC 카운터, 모터동작시간, 베어링 및 권선온도, 모터 회전수, 절연저항)의 전기 또는 물리적인 현상 측정이 가능하며, 센서데이터 수집, 웹서버, php,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 웹 접속 통한 데이터 모니터링까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회전기기에서의 기계적 결함을 실험한 결과, 절연저항 및 모터회전수 측정 결과 시험저항 값과 기준 입력값 각각에서 유사한 실험 결과를 보였다.

스마트 폰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Data Collection Application using Smart Phone)

  • 정용진;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4-666
    • /
    • 2014
  • 최근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무의미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계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빅데이터가 이슈이다. 하지만 기존의 데이터 수집 방식은 건물 내 외부에 설치된 센서 및 기타 사용자들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정보취합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수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폰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개발하는 데이터 수집 어플리케이션은 Wi-Fi에 대한 정보 및 온도, 습도, 가속도, 자이로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며, 웹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상황 추론을 위한 데이터로써 사용되며, 향후 추론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맞춰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 PDF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15-232
    • /
    • 2018
  •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인삼의 항암작용에 대한 한의학 관련 논문 분석 (Oriental Medicine papers review on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 장성일;유화승
    • 혜화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5-151
    • /
    • 2011
  • Backgrounds: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cluding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re currently being performed to target various cancers in Western Medicine. However, some cancers still remain difficult to battle, which has long attracted many scientists for the discovery of new agents to fight cancers. Ginseng is one of the herbs used in Oriental Medicine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We have further investigated ginseng for its anticancer effect. Objective: This is a comprehensive review summary of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and ginsenoids as a possible agent for future cancer treatment. Methods: Data were retrieved from two web sites; www.pubmed.com and www.riss.kr, and authorized texts concerning anticancer effects of ginseng. From collected data, information on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was thoroughly sorted, restructured, then assessed. Results: Panax Ginseng C.A. Meyer belongs to Araliaceae Panax family, a perennial prairie plant with its root known as Ginseng Radix. Ginseng induces anticancer effect through cell cycle arrest, acceleration of apoptosis, anti-angiogenesis, and suppression of metastasis.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may be due to single compound or multi-compound actions. Many studies report involvement of immune mechanisms of cytokines, Natural Killer (NK) cells, macrophages and some antibodies in enhancing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In near future, possibility of applying these mechanisms into clinical trials is convinced. There were some important findings on saponin in ginsenoids in reviewing for this article; First, eradication of metastatic tumors were influenced by macrophage activation. Second, suppression of malignant melanoma cell metastasis to lung were induced by macrophage and NK cell activation in spleen with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RGAP). Third, final metabolites of M1, M4 had exerted anticancer effect of ginseng. Conclusion: Unknown anticancer mechanisms of ginseng have been studied for many years up until now. Ginseng is comprised of multiple bio-chemical compounds that create complex pharmaceutical interactions. Therefore, for its proper usage and safe prescription, studies on different types of ginseng and patients' susceptibility to ginseng according to their constitution and stages of the disease should be further pursued. More effort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anticancer mechanisms of ginseng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