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ning practic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An Evaluation of Suckling and Post Weaning Practices in Relation to the Stimulation and Ease of Detection of Oestrus in Nepalese Pakhribas Pigs

  • Shrestha, NP;Edwards, S.A.;English, P.R;Robertson, J.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6호
    • /
    • pp.765-770
    • /
    • 2001
  • Thirty second parity sows of the synthetic Nepalese Pakhribas genotype were used to investigate factors which might improve the occurrence and expression of estrus. The experiment had two sequential elements. In part 1, a change in suckling pattern was applied during lactation, and in part 2, different estrus detection methods were evaluated after weaning. All sows received the same pattern of weaning, which imitated the progressive weaning system used in Nepalese villages. Piglets from each litter were weaned at three ages (6, 7 and 8 weeks of age) in the proportion of 0.5 at 6 weeks followed by 0.25 at each of the subsequent weanings. In the first lactation treatment, the suckling pattern was left undisturbed, similar to the practice used in the villages in which the remaining piglets after first weaning are allowed continuous suckling. In the other treatment, the remaining piglets after first weaning were allowed to suckle their sows only during the night, whilst in the day time (09:00-16:00) they were excluded from the sow but left free to roam around. After weaning, estrus detection procedures were carried out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two different boar stimuli: a synthetic boar pheromone spray or fresh boar urine. These were applied sequentially in a sequence of testing that alternated for each sow on a daily basis. The weaning to re-mating interval was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unrestricted suckling treatment. All sows were re-mated within 30 days after first weaning in the restricted suckling treatment groups, whereas only 71% of sows were re-mated within 30 days after weaning in the unrestricted suckling treatment groups ($x^2=3.877$, 1df, p<0.05). Both boar pheromone spray and boar urine increased the estrus detection probabil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timuli treatments.

속초시 영유아의 이유실태조사 (Study on Infant Feeding Practice in Sockcho-City)

  • 이정실;김을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5호
    • /
    • pp.469-476
    • /
    • 1991
  • 속초시에 거주하는 6개월에서 20개월 사이의 영유아 170명(남아 98명, 72명)을 대상으로 1991년 3월 25일에서 4월 5일 사이에 영유아들의 어머니들에게 설문지로 이유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학력수준은 79.4%가 고졸 이상이며 주부가 69.4% 직장근무 17.1%, 부업 및 시간제 근무가 13.5% 이었다. 영유아의 이유이전의 수유방법은 모유영양이 40.0%, 인공영양이 44.1% 및 혼합영양이 15.9%이었다. 모유의 수유기간은 최고 18개월까지로 나타났으며 인공영양아를 제외한 대상자중에서 평균 수유기간은 6.3개월 이었다. 이유의 시작시기는 대상자 전체가 2개월에서부터 12개월로 평균 5.6개월이었으며, 이유의 완료시기는 전체가 6개월에서부터 12개월로 평균 11.4개월 이었다. 제일 먼저 먹인 이유식은 과일 쥬스류가 전체의 78.2%이었다. 식품의 종류별로 이유식의 사용빈도에서 대상자의 75.9%가 곡류를 자주 사용한다고 하여서 당질위주의 이유식이 이루어 졌으며, 육어류와 채소의 사용빈도는 낮았다. 시판이유보충식의 사용여부는 주 3회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44.7% 이었으며 대개가 분말 및 액상형태인 제품이었다.

  • PDF

The Influence of Weaning Time on Deer Performance

  • Bao, Y.M.;Ru, Y.J.;Glatz, P.C.;Miao, Z.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569-582
    • /
    • 2004
  • Current growth in the deer industry is 20% per annum as the demand increases for venison in Europe, including the increased use in Asia of antlers as a natural medicine by humans. The deer industry in Australia has developed rapidly, but farm profitability has fluctuated markedly. The knowledge on deer farming has largely been adopted from New Zealand (NZ) and the United Kingdom (UK) althoug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se deer growing countries differ markedly from Australia. The practice used for weaning is on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However, a wide range in weaning dates are practised by farmers leading to the question of whether deer should be weaned after mating to reduce the stress during weaning or should they be weaned in the pre-rut period to allow does to recover their body condition for the next reproduction cycle. This review examines the effect of weaning time on the performance of does and hinds and the subsequent growth rate of the fawns and calves. Gaps in knowledge of weaning procedures and nutritional management for early weaned deer are identified.

광주지역 영유아의 영양실태 (Infant Feeding Practices in Kwangju Area)

  • 노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8-54
    • /
    • 1994
  • The survey on feeding practice in 202 infants in Kwangju area was undertaken from April to May, 1993. The incidence of breast feeding was 35.6% of the interviewed mothers while 35.1% of infants were formula fed. Baby's sex, birth order, birth weight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did not affect the infant's feeding method of the respondents , but family's monthly income affect it significantly(p<0.05). Initiating time f weaning in infants was 4.83 month. Fruits and fruit juice, infant's most favorite food were the first food introduced to infants. Cereal's were offered frequently as infant foods while animal protein source and vegetables were lesser used 52.8% of mothers purchased commercially prepared infant food , while 33.2% of them did not use it at all. Depending on mo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 got information on weaning with the aid of different education materials. The respon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the way how to prepare weaning food. It might be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technique specific to the different groups of mothers should be focused.

  • PDF

Estimation of Weaning Ag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n Berkshire Pigs

  • Do,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51-162
    • /
    • 2012
  • Analysis for back fat thickness (BFAT) and daily body weight gains from birth to the end of a performance test were conducted to find an optimal method for estimation of weaning age effects and to ascertain impacts of weaning age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urebred Berkshire pigs from a closed population in Korea. Individual body weights were measured at birth (B), at weaning (W: mean, 22.9 d), at the beginning of the performance test (P: mean, 72.7 d), and at the end of the performance test (T: mean, 152.4 d). Further, the average daily gains in body weight (ADG) of 3,713 pigs were analyzed for the following periods: B to W (DGBW), W to P (DGWP), P to T (DGPT), B to P (DGBP), B to T (DGBT), and W to T (DGWT). Weaning ages ranged from 17 to 34 d, and were treated as fixed (WF), random with (WC) and random without (WU) consideration of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weaning ages in the models. WF and WC produced the lowest AI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nd least fractions of error variance components in multi-traits analysis, respectively. The fractions of variances due to diverse weaning age and the weaning age correlations among ADGs of different stages (when no overlapping allowed) by WC ranged from 0.09 to 0.35 and from -0.03 to 0.44, respectively. The maximum weaning age effects and optimal back fat thicknesses were attained at weaning ages of 27 to 32 d. With the exception of DGBW, the effects of weaning age on the ADGs increased (ranging from 1.50 g/d to 7.14 g/d) with increased weaning age. In addition, BFAT was reduced by 0.106 mm per increased day in weaning age. In conclusion, WC produced reasonable weaning age correlations, and improved the fitness of the model. Weaning age was one of crucial factors (comparable with heritability) influencing growth performance in Berkshire pigs. Furth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increasing weaning age up to 32 d can be an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However,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the costs and losses related to extension of the suckling period and on the extended range of weaning age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oductivity and safety of this practice in a commercial herd and production system.

양육인의 교육 및 수입정도에 따른 이유기 식생활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A Study on Infant Weaning Practices Based on Maternal Education and Income Levels)

  • 김송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00-1007
    • /
    • 2005
  • 영유아 보육의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의 이유기 급식, 이유식 생활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조사$\cdot$연구하고자, 보건소를 방문한 양육인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유아의 이유기 식생활관리와 이유식 공급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하여 고졸과 대졸양육인 간에 인식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p<0.01), 가계소득 월 150만원을 기준으로 저소득층의 $47.6\%$와 고소득층의 $41.7\%$가 올바른 이유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였다. 2) 단계별 이유식의 종류, 형 태, 조리 법, 급여 횟수와 양 등에 대한 지식과 관련하여 양육인의 $76.0\%$ 정도가 올바른 이유상식 없이 이유를 실시하였으며,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식 도입시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다. 3) 이유정보의 출처는 대중매체 $(57.3\%)$, 또래 엄마$(34\%)$, 가족$(3.9\%)$, 보건의료인$(2.9\%)$, 기타$(1.9\%)$ 등이었으며, 대졸자는 대중매체 $(72.5\%)$를, 고졸자는 대중매체$(47.6\%)$와 또래 엄마$(39.7\%)$를 통하여 주로 정보를 얻었다. 또한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유정보와 교육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였다. 4) 시판이유식 구입시 양육인의 학력과 소득이 높을수록 TV광고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았으며, 대졸자는 영양측면에서 시판 이유식이 가정식에 비해 월등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학력 수준에 따른 유의 성 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식이 영유아에게 좋거나 보통정도의 이유식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양육인의 $88\%$ 정도로 나타났다. 5) 학력 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으나 고졸자에 비하여 대졸자가 영양표시 라벨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인지하고 있었으며, 식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양육인의 교육과 수입에는 무관하게 3.5점 이상으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6) 영양교육의 기회가 주어지면 교육과 소득수준이 높은 양육인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식품$\cdot$영양관련 기초지식에 대하여 양육인의 $55.3\%$가 보통정도, $43.7\%$가 지식이 부족하다고 스스로 평가하였다. 양육인 중에 특히 대졸자 또는 고소득자가 본인 스스로의 지식에 대해 높은 신뢰도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유기의 식생활과 영양에 대해 실질적 책임자인 어머니들이 올바른 이유지식과 영양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즉 구체적이며 전문적인 이유관련 교육과 계몽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건강을 주도하며 지역 모자보건사업을 실시하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영유아의 급식과 집단영양지도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요청된다. 이 때 양육인의 사회적 배경과 기초 지식정도를 참조한 영유아 월령별 이유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영양균형을 갖춘 식재료 선택과 조리법 등에 대한 올바른 이유식 실무교육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영양지도교육은 양육인의 식품${\cdot}$영양 관련지식을 향상시키며, 이유기의 섭식 개선을 통하여 영양취약계층인 영유아의 이유 식생활관리와 영양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서울 및 경기지역 유아의 수유 및 이유에 관한 실태조사 (The Study of Infant Feeding in Weaning Period -Focused on Seoul and Kyunggi-Do Area-)

  • 손경희;윤선;이영미;민성희;전주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9-321
    • /
    • 1992
  • A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through an retrospective survey on feeding method, a period of weaning and various kinds of weaning food. Analysing a few influential environmental factors while assessing the level of knowledge today's mothers have on infant nutr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random sample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6 mothers having infants under the age of 3 were surveyed. Among them, 235 were from Seoul and 281 were from Kyongi province (Yongin, Suwon, Bupyong, Poil, Kihung, Ansan(Chungbuk)). 2. Among the infants who fell under the category of normality (Kaup index $15{\sim}18$), the infants from Seoul area amounted to 60.7%, surpassing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from Kyongi province, 41.9%. The percentage of the infants belong to a group of under nutrition (Kaup index <13)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infants in a group of overnutrition (Kaup index >20). 3. 16.1%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d, 54.6% were formula-fed and 29.3% were mixed-f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ercentage of breast-fed infants of high-educated, working mother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low-educated housewives. 4. Most of the respondents knew the significance or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food in terms of weaning. 5. 98.8% of those surveyed responded that the mother's adequate knowledge on weaning was necessary. 70.1% of them replied that they wanted to get various and in-depth information in printed materials such as books or other kinds of publications. They, also showed deep interest in recipe of weaning food. 6. The average period when those surveyed began weaning of their infants was $4.3{\pm}1.8$ months. The tendency of earlier weaning in 3 months was founded among 41.1% of them. About half of the respondents, 52.3%, started weaning of their infants in $4{\sim}6$ months. In overall, 93.4% of them set on weaning in less than 6 months after babies were born. The survey, in addition, revealed an interesting fact that earlier weaning of infants was shown in the group of high-educated mothers. 7. According to the study, finishing period of weaning was $13.3{\pm}5.4$ months on average. Only 38.9% of the respondents ended weaning of their infants in 12 months, the proper period recommended by renowned experts. In general, the infants on formula-feeding finished their weaning later than those on breast-feeding (p<0.05).

  • PDF

이유식에 대한 대구지역 여성들의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Women in Taegu toward Weaning Diet for Infants)

  • 김경아;이은실;이영환;신손문;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370-382
    • /
    • 1997
  • 1997년 7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육아상담실과 소아과를 방문한 환자의 보호자와 대구시내 주택가와 상가에서 만난 여성들을 대상으로 미리 작성된 시험 문제를 포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303명이 응답하였으며, 연령은 30대가 113명(37.2%)으로 가장 많았다. 2) 설문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성적은 연령별로는 30대가 가장 높았으며, 40대, 50대에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력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았으며, 주위 사람들이나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보다 육아잡지, 서적, 소아과의사로부터 지식을 습득한 경우 점수가 더 높았다(p<0.05). 많은 응답자들이 이유식을 우유병에 넣어 먹여도 좋다(69.1%), 이유식과 분유를 섞어 먹여도 된다(64.5%), 이유식에 간을 넣어 먹여야 한다(68.4%)고 잘못 알고 있어 이런 점을 강조해서 교육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 이유에 대한 지식을 얻는 매체는, 학력이 높을수록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나 주위 사람들보다 육아서적을 통해 습득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대부분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나 주위사람들에 의존하고 있었다. 4) 육아서적이나 육아잡지를 이용한 경우 주위 사람들이나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에게서 정보를 얻는 경우보다 이유를 일찍 시작하였고, 우유병 사용을 일찍 중단하였으며, 숟가락 사용을 더 일찍 시작하였고, 그 아이들에서는 편식을 하는 빈도도 낮았다(p<0.05). 5) 우유병 사용을 중단하는 시기가 늦어지면 편식을 하게 되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사용한 이유식은 직접 만든 이유식(38.8%)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분유회사 이유식(31.6%)을, 그리고 시장에서 만든 분말 이유식(5.6%), 수입 이유식(4.3%), 선식(2.0%)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직장 생활을 하는 경우에 직장 생활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직접 만든 이유식을 더 많이 이용하며 각각 48.8%와 35.3%였고 이는 두 군간의 유의한 학력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에 관한 지식의 습득을 대부분 주위사람들이나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에게 의존하고 있었고, 이들을 통한 부정확한 지식은 부적절한 이유 시행 및 영아의 나쁜 식습관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많은 수의 여성들이 이유 시행의 기분적인 원칙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갖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유에 대한 비교적 올바른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인 육아 서적이나 소아과 의사에의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영유아 섭식에 관한 영양교육이 어머니의 영양지식.태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 Feeding on Mother's Knowledge, Attitude, Practice of Weaning)

  • 김미양;안홍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0-3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영양 지식과 태도는 영아기 영양관리와 건강에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되어 수유와 이유를 실시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기 섭식에 관한 영양지식 정도와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종단적으로 아기의 성장에 맞는 섭식 관리에 대한 영양 교육을 실시한 후 부모의 영양 지식과 태도의 변화 및 이에 다른 수유와 이유 과정의 진행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유아기의 올바른 섭식 관리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를 위해 임신 후반의 특정 질환이 없는 임신부중 정상적인 재태 기간과 정상 분만을 한 88명의 어머니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54명은 교육군, 34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임신 말부터 생후 12개월까지 6회의 영양교육과 5차에 걸친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 사항은 교육군와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즉 영아의 출생시 평균 체중과 신장은 3.32kg과 50.95cm로 한국 소아 신체발육치와 비슷하였으며,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28.8세, 학력은 고졸 35.2%, 대졸 64.5%였다.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는 교육군 14.5%, 대조군 19.3%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유지식은 교육전 10점중 대조군 $7.33{\pm}0.92$점, 교육군 $7.54{\pm}1.03$점이었다. 이유시기에 관해서는 낮은 점수를,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에 있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반면 교육후에는 10점중 대조군 8.33점, 교육군 9.06점으로 교육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p<0.05). 교육 후 이유태도는 5점중 교육군 $3.74{\pm}0.36$, 대조군 $3.52{\pm}0.35$로 교육군이 바람직한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선식이용과 소금.설탕 이용, 이유식을 조제분유와 섞어 먹이는 것에 대해서는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바람직한 태도를 나타내었다(p<0.05). 이유식 먹이기에 있어서 교육군이 대조군보다 스푼을 이용해서 떠 먹이는 것을 많이 실시하고 있었고 6개월 때 떠먹는 정도 또한 교육군에서 좋았다. 설탕이용 및 시판이유식의 이용은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9{\sim}12$개월 때 이유식 섭취빈도는 시판 우유 및 조제유를 포함한 '우유.유제품'과 '과자류'의 이용에서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했다(p<0.05). 특히 시판우유의 이용이 대조군에서 월등히 많았다(p<0.01).이상에서와 같이 영양교육에 따른 두 그룹을 비교해본 결과 이유기 영양에 관한 교육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특히 교육군에서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식품의 선택이 보다 바람직하게 제시되어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실시는 아기의 바람직한 식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유식을 통한 다양한 식품의 경험 및 식품 섭취방법 등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식생활 및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의 실시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Protein and hematological evaluations of infant formulated from cooking banana fruits(Musa spp, ABB genome) and fermented bambara groundnut(Vigna subterranean L. Verdc) seeds

  • Ijarotimi, Oluwole Stev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3호
    • /
    • pp.165-170
    • /
    • 2008
  • Protein-energy malnutri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public health problems in developing countries as a result of poor feeding practices due to poverty.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evaluating nutritional quality of a potential weaning food formulated from locally available food materials. The cooking banana fruit(CB) and bambara groundnut seeds(BG) were purchased from local market in Akure, Ondo State, Nigeria. The CB and BG were processed into flours, mixed in ratios of 90:10, 80:20, 70:30 and 60:40 and subjected into proximate, sensory and biochemical analyses using standard procedures. Nutrend(a commercial formula) and ogi(corn gruel, a traditional weaning food) were used as control. The nutritient composition(g/100 g) of the food samples were ranged as follows: moisture 2.94-6.94, protein 7.02-16.0, ash 1.76-2.99, fat 0.76-8.45, fibre 1.52-3.75, carbohydrate 63.84-88.43 and energy 1569.8-1665.7 kcal. The biological value(BV), net protein retention(NPR), protein efficiency ratio(PER) and feed efficiency ratio(FER) of the experimental food samples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nutrend, but higher than ogi. The haematological variables of rats fed with formulated food samples, commercial formula(nutrend) and traditional weaning food(ogi) were not significantly(p>0.05)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 However, the values obtained for red blood cell(RBC), white blood cell(WBC), pack cell volume(PCV)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ESR)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food samples than the commercial food. The growth rate of animals fed with experimental food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fed with the nutrend, but higher than those fed with ogi. In conclusi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CB and fermented BG mix of 60:40 ratio was better than ogi; and comparable to the nutrend. This implies that it can be used to replace low quality traditional weaning food and the expensive commercial weaning form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