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ys of coping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2초

일부지역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행위 측정 (Measurements of Stress and Coping with Stress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the Chon-buk Area)

  • 정영숙;정승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5-195
    • /
    • 1996
  •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ways to prevent and cope with stress m primary school students, Specific, ally, we wish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stress and to identify the variance and frequency of coping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by the subjects. After examining the school children's list of items about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by on open structure method, subjects ranked the seventy of stressor's and frequency of a coping strategies by closed structure method. A survey was done of 720 students who were from the 4th to 6th grade in 4 primary schools in the Chonbuk area from April 1st to May 30th, 1995.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1. The sources of stress bad were classified in 57 items Among the 57 items, 'were school records' 'illness of parents' 'death of family members' 'meetings with trouble makers' ranked high ranking in the stress ratings. 2. Severity of stress. the mean total stress scores were 186.4 with 285 as the highest score. 3. The kinds of coping with stress using were classified in 35 items, Among the 35 items, 'wandering and walking alone' 'mood getting out of the in any way' 'trying to forget the stressor' 'were among the highest scored. 4. Frequency of coping with stress: mean total stress coping scores were 67.9 with 140 as the highest score. 5. Difference m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between sex, age, living district and religion groups were examined. 1)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stress scoring were sex (t=-2,29, p<.001) and grade (F=6.33, p<.001). 2)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stress coping practice were residence (t=1.94, p<.05), sex (t=-3.17, p<.002) and religion (F=5,95, p<.0001).

  • PDF

만성 요통 환자의 대처 유형과 건강 통제위,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Coping Patterns in Chronic Low Back Pain : Relationship with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 김인자;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6
    • /
    • 1995
  • Coping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a sample of 126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coping pat terns were divided into the active cognitive coping, the active behavioral coping, the passive cognitive coping, and the passive behavioral coping. While all the above coping patterns were used, the passive behavioral coping was found to be used most frequently. Six subgroups were identified by cluster analytic procedure using their scores of the coping scale : active cognitive coper, general active coper, passive behavioral coper, general passive coper, multidimensional coper, and multi dimensional non-coper. Six subgroups were compared regarding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pain and demographic variables. Distinct differences appeared among subgroups in internal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ain. General active coper and active cognitive coper had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higher self-efficacy, and lower pain. General passive coper and multidimensional non-coper had lower internal locus of control, lower self-efficacy, and higher pain. Passive behavioral coper had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lower self-efficacy, and higher pain. It supports the concept of learned helplessness due to prior experiences. Multi dimensional coper had higher internal, higher powerful others, and higher self-efficacy. So it corresponds to 'believer in control' group Identified by Wallston et at(1982). Unexpectedly this group also complained more pain. It could be interpreted in two ways. The more coping methods they use, the more they complain pain ; which is the result of Folkman et al (1986). Or they might be typical 'yea sayers'. These unique groups-passive behavioral coper and multidimensional coper-identified by this study supports the suggestion of Wallston et al(1982), about locus of control : individual's pattern of responses across the three scales may be more predictive than his or her scores on each of the scale seperately. The fact that passive coping was used more than active coping also suggests that self controlled active co ping is encouraged to chronic patients as well as acute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articulate the coping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coping and adjustment by experimental design.

  • PDF

선원들의 스트레스 인지와 그 대처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ress Perception and Ways to Cope with Stress for Seafarers)

  • 서영승;김재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2
    • /
    • 2005
  • 본 연구는 선원들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을 분석하여 선원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시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2003년 10월 2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안전교육을 수강하는 선원 428명이었으며 설문지에 의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법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간의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항해 구역, 결혼 상대, 흡연량, 음주 횟수,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수면 시간, 여가 시간, 직업 만족도 특성에서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특성으로는 현재 신분, 항해 구역, 연령, 승선 경력, 학력, 결혼 상태, 연 수입, 음주 횟수, 음주량,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직업 만족도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집단이 정서 중심의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Stress Coping and Academic Burnout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 안종혁;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9-18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소진을 비교하고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정서적으로 잘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을 감소시켜 정서적으로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일반학생이 영재학생보다 학업스트레스, 학교 학업스트레스, 과외 학업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영재학생은 적극적 및 사회지지 추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며 일반학생은 소극/회피적 및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일반학생은 영재학생에 비해 학업소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일반학생은 주당 평균 사교육(학원 및 과외 학습) 시간이 평균 이상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학업소진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영재학생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회피적 및 공격적 대처방식의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업소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대처방식, 해리 경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 김봉명;반신환;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3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Methods : Subjects included 193 male and 9 female firefighter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Daejeon. Their age ranged from 25 to 57 with an average of 39.17 (SD : 7.572) years. Their posttraumatic stress or traumatic experiences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tic Scale. Their coping style was categoriz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Their dissociation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 The data analysis includ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ing tested the validity of the model that posttraumatic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dissociation and coping style had an mediatory effect between stress and dissociation. Results : First, firefighters' posttraumatic stress or traumatic experiences had a direct effect on dissociation, a symptom of a mental disorder. Second, the firefighters employed passive styles to cope with their stress. This is explained that they had been exposed to their traumatic events repeatedly without being able to control it themselves. Third, coping style had no effect on the med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dissociation. This is explained in terms of repeated exposure to the traumatic events.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firefighters' dissociation was not relieved by their coping effort bu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ir traumatic experiences. To decrease their dissoci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exposure to their traumatic events.

심리사회적 중재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법,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on Stress and Coping in Student Nurses)

  • 김조자;허혜경;강덕희;김보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0-10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stress and coping in student nurse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of 24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n=12) and control groups(n=12).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10 points) and blood cortisol. Coping was measured using a scale modified by So (1995) based on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Folkman and Lazarus (1985).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CES-D by Radloff (1977) and state anxiety, using the State Anxiety Inventory by Spielberger (1976). The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program included education, relaxation (Korean Dan Jeon-typed Breathing and music), and social support. Result: Results showed for the two groups, 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scores (U= 19.50, p=0.002), 2) no difference in cortisol levels (8am, 4pm), 3)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focused coping (U=25.50, =0.007), 4) no difference in emotion-focused coping, and 5) no difference 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Conclusion: By utilizing the program, students were able to learn how to control their stress and improve their coping. Therefore with a partial modification, psychosocial stress management can be useful for continual management of stress in student nurses.

  • PDF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연구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Academic Burnout: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Focused on Suppression Effects)

  • 신효정;최현주;이민영;노현경;김근화;장유진;이상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9권2호
    • /
    • pp.289-309
    • /
    • 2012
  • 본 연구는 학업소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력에 있어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유형 간 존재하는 억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단기 종단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중학생 357명이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와 학업소진 척도(MBI-SS)를 사용하였다. 두 시점 자료에 존재하는 개인 내적인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방정식으로부터 표준화된 잔차를 산출하여 각 변수의 변화량 잠재변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하나의 대처방식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유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유형의 대처방식 변화량은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즉,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의 경우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보다 소극적 대처 변화량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부적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한편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은 단독으로 투입되었을 때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학업소진 변화량에 대한 정적 영향력이 적극적 대처방식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발견되었다. 이는 적극적 대처의 변화량과 소극적 대처의 변화량 간 억제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소극적 대처를 줄이고, 적극적 대처를 강화할 때 학생들의 소진을 영향력 있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대처유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Coping Type and the Quality of Life in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 심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73-68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QOL) and between coping type and quality of life (QOL) in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further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51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ho were registered in two special schools in Taejo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period of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18th to May 26th, 1997.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Folkman & Lazarus's Ways of Coping Checklist(WCC) and the quality of life scale designed by Ro, You Ja.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PC/sup +/. Data analysis included the descriptive correlational statistics of ANOVA. Pearson Correlational Coefficient,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self-esteem showed a mean score 34.51 and the level of QOL, a mean score 137.55. An Active type of coping was used more of fen than a passive one. 2. The level of self-esteem differed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cquired handicaps than those of children with congenital handicaps. The level of QOL differed according to monthly income.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self-esteem(r=.355, p<.05), and between health status and QOL(r=.367, p<.01). 4. Test for hypothesis ; Hypothesis 1,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in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the higher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will be. "was supported (r=.755, p<.001) Hypothesis 2, "The QOL level for the active coping group as compared to the passive coping group will be higher. " was not supported.

  • PDF

만성전립선염 환자들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반응 및 대처방식 (Stress Perception, Stress Response and Coping Strategy of Patients with Chronic Prostatitis)

  • 김선경;이진;정성윤;김학렬;박상학;이문인;김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17권1호
    • /
    • pp.8-14
    • /
    • 2009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전립선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의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하여 만성전립선염과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방법 : 비세균성 만성전립선염으로 진단받은 32명의 환자군과 건강한 성인남자 64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지각, 스트레스 반응 및 대응전략은 각각 스트레스 지각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스트레스 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 및 대처방식 체크리스트(Ways of Coping Checklist)를, 전립선염의 증상 정도는 미국립보건원 만성전립선염 증상지수(NIH-Chronic Prostatitis Symptom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만성전립선염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가 높았고,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 반응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모두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스트레스 대처수준이 낮게 관찰되었다. 전립선염 증상 정도가 심한 환자일수록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서 우울의 경향을 더 나타내었고 (p=0.039),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방식(p=0.000)과 사회적 지지의 추구(p=0.017)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만성전립선염 환자들은 다양한 영역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높은 스트레스 반응을 보이며, 이에 대한 대처전략은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만성전립선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동반된 스트레스 인자의 평가 및 조절,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대처방식의 효율성 증진 등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유방암 환자에 대한 심리교육 집단개입의 효과 (A Pychoeducational Group Intervention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 황숙연;이인수;박병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93-118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여성암 중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서구에서 주로 실시되어 왔던 심리교육 집단개입이 우리나라에서도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를 증진시킴으로써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합의를 논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방암 수술을 받은 지 1년이 경과하지 않은 환자들 중 유방암 병기가 3기 B이상이거나 70세 이상의 환자, 거동이 불편한 환자, 지리적으로 참석이 불가능한 환자 등을 제외한 80명의 환자 중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환자 70명을 실험집단, 대기자 통제집단 및 대기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는 각각 24명이었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환자 수는 실험집단 22명, 통제집단 13명이었다. 이들에 대해 매 주 특정주제를 중심으로 8주간의 구주화된 집단개입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은 교육과 심리적 지지를 결합한 심리교육적 전략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대처에 대해 Beck Depression Inventory와 Ways of Coping Checklist-Revised(WCCL-R)를 실시하여 집단개입 전과 8주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 개입 이후 BDI상에 나타난 우울에 대해서는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p<.05). 대처에 대해서는 총점에서나 하위척도 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집단의 크기, 프로그램의 내용, 수술 후 경가 시기 등이 논의되었다.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단기 심리교육 집단개입이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후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