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discharge measurement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3초

Investigations of Accelerated Aged Polymeric Insulators Using Partial Discharge Signal Measurement and Analysis

  • Mekala, K.;Chandrasekar, S.;Ravindran, R. Sams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99-307
    • /
    • 2015
  • Reduction in pollution performance of polymeric insulators, aged due to water absorption stress and thermal stress, is a major threat to the reliable operation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mation of partial discharges on the surface of wet polluted insulator plays a major role in determining the life time and pollution performance of outdoor polymeric insulators. However, reports on parti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water absorption stress aged and thermal aged polymeric insulators are scanty. This paper discusses the polluti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ccelerated aged polymeric insulators using the advanced ultra wide band PD signal measurement and analysis. Laboratory experiments on accelerated aged polymeric insulators were carried out as per IEC 60507 under AC voltage, at different humidity and contamination levels using NaCl as a contaminant. PRPD pattern and Time-Frequency map analysis of PD signals were carried out. From the results, it can be speculated that PD analysis is a well suited technique to understand the pollution performance of aged polymeric insulators.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 (FSIV)를 이용한 실시간 하천 유량 산정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of the River Using Fixed-type Surface Image Velocimetry)

  • 김서준;류권규;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5호
    • /
    • pp.377-388
    • /
    • 2011
  • 표면영상유속계(SIV)는 영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유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FSIV) 시스템을 달천 수전교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유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수전교에 적용된 FSIV의 하드웨어 시스템은 영상 획득을 위한 2대의 디지털 카메라와 컴퓨터, 그리고 수위 측정을 위한 초음파 수위계로 구성된다. 이 현장 장비들에서 획득된 실시간 영상과 수위 자료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홈페이지에 전송되며, 표면영상유속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한다. FSIV에 의한 유량산정 결과는 직상류의 괴산댐 방류량과 FSIV와 동일한 지점에 설치된 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 (ADVM)를 설치한 후 유속지수법으로 산정된 유량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30$m^3/s$ 이상의 유량에서는 대부분 5~10%의 오차를 보였으며, ADVM을 이용하여 측정된 유량과 비교한 결과는 약 200$m^3/s$ 이상의 유량에서는 오차가 약 5 % 이내로 확인되었다. FSIV의 설치 경비와 운용에 드는 비용과 인력을 감안한다면, FSIV는 실시간으로 유량을 관측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FLOW-3D에 의한 파샬플륨 흐름 해석 (Flow Analysis of Parshall Flume Using FLOW-3D)

  • 오병동;김경호;이환기;안상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375-386
    • /
    • 2004
  • 갈수량은 수자원의 개발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 신뢰성 높은 갈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수자원공사는 2000년도에 용담댐 시험유역에 5피트 규격의 파샬플륨을 설치하였다. 파샬플륨은 유량측정을 하기 위해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부정확한 유량관측을 유발하는 퇴사문제를 거의 해결한 시설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모형으로 5가지 수위에 대해서 완전월류(free flow)시 파샬플륨의 유동을 해석하였다. CFD모형에 의해 산정된 결과와 ISO에 제시된 유량공식, USBR에 제시된 유량공식 및 수위-유량관계식으로 산정한 유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ISO와 USBR의 공식에 의해 산정된 유량은 거의 동일했으나, 3차원 CFD모형에 의한 유량은 경험공식에 의한 유량보다 9%정도 크게 나타났고 수위-유량관계식에 의한 유량은 경험공식에 의한 유량보다 16%정도 작게 나타났다.

상류 수위를 활용한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 추정 (Estimating Nakdong Estuary Barrage outflow using upstream hydrograph)

  • 심규현;정한철;황도현;김대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165-171
    • /
    • 2023
  • 낙동강 하구둑은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감조하천 환경으로 하구둑에서 방류하는 지표수 유출량과 연안 해저 지하수 유출량에 대한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 상류 지역에 위치한 수위자료와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변화 저수량과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해저를 통한 육상에서의 지하수 유출도 원격탐사 기반 지형자료와 수문 모델링 자료를 근거로 산출하여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현장 측정 이외의 원격탐사 기반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자원 관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담수 지표수 유출량 뿐만 아니라 해저 지하수 유출이 연안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낙동강 하구둑 생태계 모니터링에서 담수와 해수의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형 유전체비드를 가지는 단층절연방전관의 수(水)오존농도측정 및 전계분포 시뮬레이션 (The measurement of Ozone Concentration and Simulation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t Dielectric Tube of one Layer with Globular Dielectric in Water)

  • 이동훈;박재윤;박홍재;고희석;이현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제5회 영호남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47
    • /
    • 2003
  • In this paper,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dielectric tube with one layer and spherical dielectric($ZrO_2$) in water was simulated. The reactor was made up of the spherical dielectric that is diameter : 3.0[mm], $ZrO_2(\varepsilon_r:10)$ and one glass plate of thickness(2[mm]), $\varepsilon_r$(10) as electrode. The discharge gap was 8[mm]. To get more strong electric field, the dielectric constant should be higher comparatively. Using the spherical dielectric for water discharge in dielectric tube, the location of equipotential line was shifting from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At real water discharge experimental, ozone was measured higher dissolved ozone in water at condition of water rate(l[l/min]) and injector than condition of non-injector or 2~3[l/min].

  • PDF

구형 유전체비드를 가지는 단층절연방전관의 $H_2O_2$ 농도 측정 및 전계분포시뮬레이션 (The measurement of $H_2O_2$ Concentration and Simulation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 at Dielectric Tube of one Layer with Globular Dielectric in Water)

  • 박홍재;박재윤;이동훈;고희석;이현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제5회 영호남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43
    • /
    • 2003
  • In this paper,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dielectric tube with one layer and spherical dielectric(glass) in water was simulated. The reactor was made up of the spherical dielectric that is diameter : 3.0[mm], glass(${\varepsilon}_r$:5) and one glass plate of thickness(2[mm]), ${\varepsilon}_r$(5) as electrode. The discharge gap was 8[mm). Toget more strong electric field, the dielectric constant should be higher comparatively. Using the spherical dielectric for water discharge in dielectric tube, the location of equipotential line was shifting from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At real water discharge experimental, $H_2O_2$ was measured higher generated $H_2O_2$ in water at condition of water rate(1[l/min]) and injector than condition of non-injector or 2-3[l/min])

  • PDF

LSPIV를 이용한 유속측정 정확도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Velocity Measurement Using LSPIV)

  • 황의호;양재린;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12-1517
    • /
    • 2005
  •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의 성능 개선 및 통신기술의 급진전으로 인하여 관측된 수문자료의 안정적 전송과 다양한 표출 및 무한한 저장 등에 관한 관심과 투자 등의 노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모든 수자원 업무의 기초가 되는 수문관측 및 자료관리에 대한 노력은 심히 부족한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특히 수자원 관련 기술의 발달은 매년 놀라울 만큼 빠르게 선진국을 따라 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유독 이를 뒷받침하는 수자원 기초자료 중 가장 중요한 유량자료를 산정하기 위한 하천의 유속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9년도에 수자원연구원에서 홍수시 유속측정을 위하여 개발한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선진국의 최신 유량측정기법과 정확도를 비교하여 전자파표면유속계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유량측정을 위하여 LSPIV unit을 설계 및 구축하였으며, 동일지점에서 전자파표면유속계로 기록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수위관측과 수리학적 하도추적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식작성 (Determination of Stage-discharge Relations by Hydraulic Channel Routing and Stage Measurement)

  • 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551-560
    • /
    • 2001
  • 낙동강의 화원-교령교-현풍 수위관측소 구간에 대하여 수리학적 하도추적을 통하여 조도계수를 추정하였다. 세 관측소의 연속 수위자료와 하천 종횡단 측량자료만이 이에 사용되었다. 하도추적에 의해 계산된 유량자료로부터 수위-유량 관계식을 작성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수위-유량 관계식보다 나은 결과를 보였다. 수위측정 오차가 유량계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측방유입류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도길이를 제한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 PDF

병렬구조 TSK 퍼지 모델을 이용한 선박용 기름배출 감시장치의 실시간 기름농도 예측모델 (On-line Prediction Model of Oil Content in Oil Discharge Monitoring Equipment Using Parallel TSK Fuzzy Modeling)

  • 백경동;조재우;최문호;김성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17
    • /
    • 2010
  • The oil tanker ship over 150GRT must equip oil content meter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revised MARPOL 73/78. Online measurement of oil content in complex samples is required to have fast response, continuous measurement, and satisfaction of ${\pm}10ppm$ or ${\pm}10%$ error in this field. The research of this paper is to develop oil content measurement system using analysis of light transmission and scattering among turbidity measurement methods. Light transmission and scattering are analytical methods commonly used in instrumentation for online turbidity measurement of oil in water. Gasoline is experimented as a sample and the oil content approximately ranged from 14ppm to 600ppm. TSK Fuzzy Model may be suitable to associate variously derived spectral signals with specific content of oil having various interfering factors. Proposed Parallel TSK Fuzzy Model is reasonably used to classify oil content in comparison with other models. Those measurement methods would be effectively applied and commercialized to oil content meter that is key components of oil discharge monitoring control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