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level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5초

불완전고용의 선행요인 및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 (Underemployment of the Reemployed: Antecedents and Effects on Organizational Adaptation)

  • 노연희 ;김명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19-49
    • /
    • 2011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불완전고용이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는 종단으로 설계되어 2회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1차 조사 시점에서 미취업 상태에 있었으나 2차 조사 시점에서는 재취업한 153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었다. 불완전고용의 측정치는 임금, 사회적 지위, 기술활용도 및 고용형태변화의 차원에서 여섯 개의 측정치-'임금변화비(현재 임금/실직 전 임금)', '지위변화비(현재 직업지위/실직 전 직업지위)', '학력격차비(요구학력/실제학력)',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고용형태가 변화했는지의 여부' 및 자기보고방식의 지각된 과잉자격 척도의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 요인-로 측정되었다. 먼저 불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선행요인으로 인구통계변인(성별, 연령, 학력 및 실업기간), 상황변인(경제적 곤란도와 부양가족 수), 개인특성변인(구직효능감, 우울·불안, 잠재적 기능)을 설정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임금과 지위는 하향 변화하였고, 경제적 곤란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하였으며,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직업지위가 하향 변화하였다. 개인특성변인 중 실업기간 동안 취업의 잠재적 기능을 유지할수록, 성장가능성부재로 측정된 불완전고용의 가능성을 낮추었고, 구직효능감이 높은 경우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실업기간 동안 우울·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학력보다 낮은 학력이 요구되는 직업에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불완전고용이 직무-조직 적합도 지각,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로 측정된 조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력격차비 측면에서 불완전고용의 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조직 적합도, 정서몰입 및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변화할수록 정서몰입과 직무만족을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성장가능성부재와 자격불일치는 조직 적응 전반에 걸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ducare Centers)

  • 윤혜미;권혜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3-319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xtent of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educare center teacher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differences due to the various organizational types of educare centers. Two hundred and twenty two public and private educare center teachers of C city were drawn as samples of this stud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containing items (m job-related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o-demographic background was emplo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l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jor job-related stresses were related to work experiences,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on-the-job training opportunities. Work pl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otal number of children in the class, working hours and wage also affecte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job-related stress and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educare centers. In the question of the effect of job-related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job-related stress explained 12% of work-satisfaction, 33% of satisfaction related to the current working place.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educare center teachers' job-related stresses. were not ascrib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by work-related factors such a, poor administrative support low wage and the overwhelming task related stressors The main stressor of job satisfaction was poor administrative support. Differences on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_between among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unit were distinctive throughout the study.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workshops are recommended to help diminish the job-related stress among educare center teachers. It is imperative that enhanced work benefits and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will in turn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s in educare centers.

  • PDF

병원행정직 종사자중 전공분야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according to Their Majors)

  • 황병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86-194
    • /
    • 2008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도를 파악하고자 울산과 부산지역의 의료기관 행정직원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338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직무만족과(임금요인, 담당직무, 승진, 대인관계요인) 조직몰입은 Like리 5점 척도로 5점(매우 그렇다)부터 1점(매우 그렇지 않다)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만족도는 의료기사전공, 보건(원무)행정전공, 간호사전공 그리고 고졸 및 기타 전공 순으로 높았다. 조직몰입도는 의료기사전공, 간호사전공, 보건(원무)행정전공, 그리고 고졸 및 기타 전공 순으로 높았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임금, 담당직무, 승진, 대인, 조직몰입도 모두 뚜렷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불평등 완화의 정치경제 :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 (Political Economy of Inequality Mitigation : Experiences of Netherlands and Denmark)

  • 최유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94-50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세계 각국의 소득불평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떻게 불평등이 증가하는 정도를 낮출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미국, 독일, 스웨덴과 비교하여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불평등 수준과 추이는 어떠한지, 불평등 변화의 분해를 통해 이 국가들에서 불평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혔다. 또한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어떠한 노동시장정책을 통해 불평등을 완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네덜란드에서 근로소득 불평등이 완화된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자발적 시간제 노동의 증가를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진되었기 때문이다. 여성들이 시간제 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배경에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동등한 대우를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덴마크는 기술훈련 강화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통해 저숙련, 저임금 근로자의 숙련도를 향상시켜 임금격차를 완화할 수 있었다.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경험에 기반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방향을 논의하였다.

기계경비원의 경비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lectronic Security Guard's Security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 신재헌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27-639
    • /
    • 202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기계비원의 경비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채용실태개선과 직무만족 개선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연구방법: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관련분야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고, 기계경비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계적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기계경비원의 경비능력인 학력, 무도능력, 근무기간, 신장, 체중, BMI지수는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기계경비원들의 직무만족 수준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수체계계선과 함께 이직율을 약화시키기 위한 방안 제시 및 채용 시 신체적 기준 강화 및 실무에 맞는 교육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고용과 재정 성과 (The Achievement of The Employment-oriented Welfare State)

  • 고혜진;조효진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305-332
    • /
    • 2018
  • 본 연구는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재정 성과를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고용중심 복지국가가 창출한 고용이 무엇이냐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으면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이 기대했던 실업과 빈곤 감소, 나아가서 재정건전성 회복을 담보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 맥락에서, 국가의 복지 노력을 통해 창출된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국가 재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은 복지국가가 창출한 고용과 재정성과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반영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적용한다. 분석결과,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공공 복지 노력이 적어도 통계적인 차원에서는 기대만큼의 효과를 가지는 유효한 개혁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저임금, 비자발적 시간제 고용과 같은 질 낮은 일자리 확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나아가서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으로 기대했던 재정 위기 해소에도 기여하지 못하는 장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단순히 고용의 총량을 늘리는 것은 실효성을 가지기 어려우며, 충분하고 질 좋은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생산요소가격 변동과 제조산업의 수출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Input Factor Prices on the Export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 강주훈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3-17
    • /
    • 2017
  • 본 논문은 자기회귀시차(ARDL) 모형으로부터 도출된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8개 제조 산업을 대상으로 수출의 임금탄력도, 수출의 이자율탄력도 그리고 수출의 수입물가지수 탄력도를 추정함으로서 생산요소가격의 변동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산업별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출의 임금탄력도, 이자율탄력도, 그리고 수입물가지수 탄력도의 부호는 모두 대부분의 제조 산업에서 1%의 통계적 유의 수준에서 기대부호대로 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본집약도가 큰 산업일수록 임금탄력도가 작게 나타났으며 다른 한편 해외수입중간재 비중이 높은 산업일수록 수입물가지수 탄력도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증분석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에 이자율의 하락, 수입물가지수의 증가율 하락, 그리고 실질임금 증가율의 둔화 등으로 나타난 생산요소가격의 하락현상은 제조산업의 수출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 Comparison between Those Who Returned to Pre-injury Job and Those Who Got a New Job-)

  • 이웅;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4호
    • /
    • pp.97-118
    • /
    • 2016
  • 본 연구는 산업재해 이후 직업에 복귀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을 원직장복귀자와 타 직장재취업자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1차자료(2014)를 활용하여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주에게 고용된 산재근로자 1,333명(원직장복귀 693명, 타직장재취업 640명)을 대상으로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직장재취업자는 원직장복귀자에 비해 일자리만족도 및 근로지속가능성, 종사상지위, 월평균소득 등의 제반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직장복귀자의 일자리만족도에는 성별, 학력수준, 기술적합도, 월평균 소득, 복리후생 혜택, 가족수입 여가생활 주거환경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타직장 복귀자의 경우, 성별, 종사상 지위, 기술적합도, 지속근무여부, 월평균급여, 복리후생혜택, 가족수입/여가생활/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 요양 중 담당업무 주체, 요양 중 사업주와의 관계여부가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일자리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민유림영림단(民有林營林團)을 중심(中心)으로 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 소요(所要)·공급분석(供給分析) (Analysis of Labor Need and Supply in Forestry in Korea)

  • 김병구;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70-278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 사유림(私有林) 중(中) 시업지(施業地) 3,503천ha를 법정림(法正林)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각종(各種) 산림사업(山林事業)에 필요(必要)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과 공급량(供給量)을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소요량(所要量)은 영급별(齡級別)로 구분(區分)된 시업면적(施業面積)을 기준(基準)으로 산림청의 산림시책상(山林施策上) 공정(工程)을 적용(適用)하여 파악하였으며 공급량(供給量)은 농산촌지역(農山村地城)으로 분류(分類)된 8개(個) 지역(地城)의 주민(住民)을 대상(對象)으로 제시된 임금 수준에서의 참여 여부를 설문조사하여 추정(推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임업노동력(林業勞動力)의 소요량(所要量)은 연간 작업일수(作業日數) 200일(日)을 기준(基準)으로 할 때 39,190명이었으며, 공급(供給)은 실질임금상승률을 0%, 3%, 5%, 7%의 4가지로 구분(區分)하여 추정한 결과 0%에서는 인구감소율에 따라 공급인원이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3%에서는 2005년 이내에는 소요량을 충족하기가 어려우며, 5%에서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7%에서는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각각 소요량을 충족시킬 것으로 예측(豫測)되었다.

  • PDF

중·노년층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s of Middle and Old Age Group of Wage Earner on Life Satisfaction)

  • 이서영;송희경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517-529
    • /
    • 2019
  • 본 연구는 중·노년층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고용형태 변수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2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7년 기준으로만 55세 이상 75세 이하 4,341명 중에서 주된 고용형태가 '상용직·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이거나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로 응답한 1,24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집단별로는 55-64세(중년층) 826명, 65-74세(노년층) 418명의 중·노년층이 포함되었다. 55-64세(중년층) 집단은 통제변수 중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기초생활수급유무, 평균 월소득 변수가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는 55-64세(중년층) 집단에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5-74세(노년층) 집단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거나 사별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기초생활수급 경험이 없을수록, 평균 월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중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와 같은 공공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층 임금근로자를 위한 다양한 공공형 일자리 사업의 발굴과 확대 추진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라고 하겠다. 따라서 기존의 기초생활 수급자 중심의 공공형 일자리 제공에서 벗어나 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모든 노년층을 대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중앙정부 중심의 노인일자리 사업 뿐만 아니라 지자체나 민간부문 차원의 노인일자리 사업의 발굴과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차원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