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ployment Types of Middle and Old Age Group of Wage Earner on Life Satisfaction

중·노년층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

  • Lee, Seo-yeong (Dept. Child and Family Welfa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g, Hee-kyong (Dept. Child and Family Welfa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서영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송희경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9.05.30
  • Accepted : 2019.08.21
  • Published : 2019.08.30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s middle and old age group of wage earner on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variables in the employment typ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ata for the 12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1,244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main types of economic activities were 'full-time, temporary, daily wage earners' or 'self-help labor, public labor, and elderly empolyment program in public sector.' among 4,341 people over 55 years of age under the age of 75 as of 2017 standard. The survey covered 1,244 people. By age group, 826 people aged 55-64 (middle-age group) and 418 people aged 65-74(old-age group). Middle age group showed that education level, spouse, health condition,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and average monthly income variables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life. But The type of employ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ld age group showed th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in spouse with-living or spouse death, the better health condition is perceived, the less experience of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the more satisfied life is. The survey also found that old-aged people who participate in "self-help labor, public labor, and elderly employment program in public sector" are also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policy for the old age group should be focused on hunting and expanding of employment program in public sector for the elderly. In order to boos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intensive vocational education and employment training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는 중·노년층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고용형태 변수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2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7년 기준으로만 55세 이상 75세 이하 4,341명 중에서 주된 고용형태가 '상용직·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이거나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로 응답한 1,24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집단별로는 55-64세(중년층) 826명, 65-74세(노년층) 418명의 중·노년층이 포함되었다. 55-64세(중년층) 집단은 통제변수 중 배우자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기초생활수급유무, 평균 월소득 변수가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고용형태는 55-64세(중년층) 집단에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5-74세(노년층) 집단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거나 사별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기초생활수급 경험이 없을수록, 평균 월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중 '자활근로/공공근로/노인일자리'와 같은 공공형 일자리에 참여하는 노년층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층 임금근로자를 위한 다양한 공공형 일자리 사업의 발굴과 확대 추진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라고 하겠다. 따라서 기존의 기초생활 수급자 중심의 공공형 일자리 제공에서 벗어나 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모든 노년층을 대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중앙정부 중심의 노인일자리 사업 뿐만 아니라 지자체나 민간부문 차원의 노인일자리 사업의 발굴과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차원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경대학교 2018년도 학술연구조성비의 지원에 의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