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d slab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보이드 슬라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mprovement of the Void Slab Applying the Impedance Method)

  • 오재응;김영식
    • 소음진동
    • /
    • 제11권2호
    • /
    • pp.276-284
    • /
    • 2001
  • In apartment buildings, floor-impact sound has been regarded as the major source that causes complaints from residents. It is mainly due to the use of light-weight structures and the lack of researches in terms of floor-impact s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response and sound radiation of 12type void slabs in the improvements void slab by impedance method and finding the fittest improvements void slab on the 12type void slab.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1) In the $\frac{1}{3}$ octave band level of sound radiation, $\frac{1}{3}$ octave band levels, measured from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10~25 dB lower than that of standard void slab(No.1) in the 1250 Hz. Especially,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is the best void slab in terms of radiation efficiency of sound level. (2) In the correlation relation of acceleration and sound radiation, standard void slab(No.1), four-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8), SK standard four-hole void slab(No.10), and eight-divided improvement void slab(No.12) are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

  • PDF

포스트텐션 중공슬래브의 동적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 of Post-tensioned Void Slab)

  • 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89-95
    • /
    • 2012
  • 바닥슬래브의 처짐과 차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포스트텐션 중공슬래브가 최근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8m 스팬 1층구조물을, 한 구조물은 일반슬래브(solid slab)로, 다른 구조물은 중공슬래브(void slab)로 2개를 제작하여 각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였다. 중공슬래브의 고유진동수와 감쇠율의 진동특성을 일반슬래브와 비교하였으며, 포스트텐션 도입 후에 일반슬래브와 중공슬래브 각각에 있어서 고유진동수와 감쇠율의 진동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210mm의 일반슬래브 보다는 250mm 중공슬래브의 1차 고유진동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포스트텐션 도입 후에도 중공슬래브의 1차 고유진동수는 일반슬래브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슬래브와 보이드슬래브의 감쇠율은 포스트텐션 도입 전과 도입 후에 거의 동일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데크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가 결합된 슬래브의 차음성능에 대한 실물실험 평가 (A Study on the Sound Insulation for Void-deck Slab Combined with Deck Plate and Polystyrene Void Foam)

  • 노영숙;윤성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0-65
    • /
    • 2015
  • This study is to explore floor impact sound and sound ins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void-deck slab system which combines polystyrene void foam and T-shaped steel deck plate. A void-deck slab system can effectively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used and hence the mass of a reinforced concrete slab. Also void slab system has dynamically favorable for bending. Three-bay 2-story building was constructed as a mock up test specimen using void-deck slab system and floor impact sound was measured to valuat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Light weight floor impact and heavy weight floor impact were investigated. Light weight floor impact pressure levels were 32dB, 28dB, and 29db at representative locations which are $1^{st}$ level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e heavy-weight floor impact pressure levels were 44dB, 45dB, and 43dB at representative locations which are $2^{nd}$ level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erefore void-deck slab system can be used in public housing apartment building in terms of not only effectively reduced construction materials but also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플랫 플레이트의 장단기 처짐에 대한 중공 슬래브의 자중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Weight Reduction Effect of Void Slab on Long and Short Term Deflections of Flat Plates)

  • 김재요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43-350
    • /
    • 2017
  • RC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은 공기단축, 시공성 향상, 층고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장스팬 적용 시 슬래브의 작은 휨강성으로 인해 균열 손상 및 과다 처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시공 중 슬래브 자중에 의한 과하중의 작용이 슬래브의 장단기 처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중 저감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는 중공 슬래의 사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슬래브 처짐에 대한 중공 슬래브의 자중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수연구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강도, 슬래브 시공주기, 동바리 지지층수, 압축철근비, 인장철근비 등의 변수조건들을 포함하여, 시공단계, 콘크리트 균열, 장기 효과를 고려한 시공하중 및 처짐을 산정한다. 일반 슬래브와 중공 슬래브에 대한 시공 중 단기처짐과 완공 후 장기처짐을 비교하고, 슬래브 처짐에 대한 중공 슬래브의 효과를 분석한다.

바닥충격음 임피던스법에 의한 개량형 보이드 슬라브의 선정 (The Selection of the Improved Void Slab Applying the Impedance Method to the Floor-Impact Sound)

  • 김우택;오재응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59-166
    • /
    • 2001
  • Recently, high story apartments are common to solve a housing problem especially in major cities. Apartments are considered as clean, sanitary and convenient to liv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because residents share walls, floors and ceilings with other people. Thus, the residents are often disturbed by neighbours since sound travels the building elements. Especially, impact noise through the floors causes the many complains. And so, it has been drawn attention to isolate by the impact s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response of 12-type void slabs in the improved void slab by impedance method, and is to find the best improveds void slab on the 12-type void slabs.

  • PDF

중공 슬래브의 국부지압강도에 대한 시공안전성 평가 (Construction Safety Evaluation of Local Bearing Strength of Hollow Core Slab)

  • 허무원;윤정환;황규석;윤성호;박태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8-15
    • /
    • 2018
  • 중공슬래브는 휨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의 콘크리트 단면을 삭제하고 중공재로 치환함으로써 중공재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줄어들어 자중 감소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물량절감뿐 아니라 친환경적 측면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도 저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하지만, 중공재로 치환한 부분의 지압강도가 명확하지 현장 적용 시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공재가 포함된 중공슬래브를 제작하여 각 타입별(트럭 하중 적용 시, 동바리 하중 적용 시 및 잭 서포트 하중 적용 시)로 국부지압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중공슬래브 국부 지압강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트럭하중 적용 시, 동바리 하중 적용 시 및 잭 서포트 하중 적용 시의 실험결과 중공재 연결부위 및 중공재 상부의 지압강도는 모든 실험체에서 허용 하중 이상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크 적용 유무에 따른 실험결과도 모두 허용 하중을 초과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변형 테이블폼용 일방향 중공관 지지장치 개발 (Development of One-way Void Support Device for Flexible Table Form)

  • 권우빈;이동민;이창수;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13
    • /
    • 2019
  • Flexible Table Form is being used more frequently at the level of formwork in construction site. However, one of the most common structural frameworks, the RC column-beam structure, is having problems in these factors. To improve this problems, this study developed support devices and proposed installation specifications to enable application of the one-way void slab method to flexible table form.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s of reducing the self-weight of the slab in the floor slab construction using flexible table form.

  • PDF

표준화재 재하조건 콘크리트 중공슬래브의 피복두께에 따른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Behavior of Concrete Void Slab under Standard Fire with Loading Condition)

  • 김흥열;김형준;조범연;여인환;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64-72
    • /
    • 2011
  • 기존의 무량판 구조와 동일한 콘크리트 중공슬래브구조는 구조적 하중지지 성능이 불필요한 슬래브 단면상의 중앙부 콘크리트를 제거하여 슬래브의 자중을 줄이고 무량판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극대화시킨 구조형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공슬래브 공법의 실제 스팬길이인 7.5 m에서 슬래브 피복두께에 따른 화재거동 영향성 분석을 위하여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조건은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실험체에 등분포 조건으로 사전 재하하였으며, 표준화재조건으로 재하가열 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래브의 화재가열 노출면으로부터의 깊이별 온도변화와 처짐변형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KS F 2257-1 평가기준에 의거하여 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피복두께 50 mm를 확보할 경우, EPS 중공체로 제작한 실험체의 경우 약 2시간 정도의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간 판재단조시 강괴 내부의 기공폐쇄에 관한 연구 (Study on Internal Void Closure in Slab ingot during Hot Plate Forging)

  • 조종래;김동권;김영득;이부윤
    • 소성∙가공
    • /
    • 제5권1호
    • /
    • pp.18-26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cooling of ingot on void closure in hot plate forging the internal strain and stress distributions are examined quantitatively by using ABAQU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on a large slab ingot having the sam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gradient induced by air-cooling. It is shown that pre-cooling produces little effect on the strain behavior but remarkable effect on the hydrostatic stress at the central zone of ingot. The main factors for crushing micro-voids are the effective strain and the time integral of hydrostatic stress in the region surrounding the voids.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stortion of void can be expressed as a polynomial function of the two factors.

  • PDF

사다리꼴 형상의 경량체를 가진 데크형 중공슬래브의 휨 및 전단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ending and Shear Performance of Deck Type Void Slab with Trapezoidal Hollow Ball)

  • 김필중;김상모;박준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443-4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데크형 중공슬래브의 중공률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중공슬래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형형상의 경량체 대신 사다리꼴 형상의 경량체를 적용하고, 이에 따른 휨 및 전단 내력 성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일방향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방향에 따른 구조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휨내력 측면에서는 기존 구형형상의 경량체를 가진 중공슬래브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전단내력 측면에서는 경량체 형상 변화에 따른 차이보다는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철선의 기여에 따라 큰 전단내력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체 설치시 콘크리트 유효단면의 감소로, 전단 강도가 약 50~60% 정도로 저하된다는 기존 연구에 따른 계산한 전단내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폭방향으로 데크를 설치하여 트러스철근이 전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한 실험체도 트러스철근의 트러스프레임 거동에 의한 영향으로 저감 전 값 대비 87%의 성능을 보여 기존 연구에 따른 계산전단내력보다 최대하중이 더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