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high school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1초

진로체험 참여 고등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Image and Career Identity of High-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Job Experience)

  • 문인오;이선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nurse and career ident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to find influential factor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er and to obtain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rsing department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9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executed at the Nursing Department of W University in G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6 to July 19 in 2014.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nurse were career identity(${\beta}=0.339$, p=0.002)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153$, p=0.043) in order of significance(F=9.51, p<0.001), and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were the image of nurse(${\beta}=0.301$, p=0.002),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254$, p=0.010), and gender(${\beta}=0.231$, p=0.015) in order of significance(F=12.06, p<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get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to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with vo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nursing through the program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여고생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gh-school Girl’s Career Matur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이수정;현온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5
    • /
    • 1994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home-environment, mother´s vacational environment, vocational sense and the career maturity of their child in girls high school. Also the study tried to help the children find the proper vocation and to guide them in school. The subjects of this were 514 coupl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girl´s school (2nd grade) living in In-cheon.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are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DMR(Ducn´s Multiple Rang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o think of the career maturity of child in home-environment variable, it differed significant-ly by mother´s standard of education and father´s vocation. 2. According to the mother´s vocational environment variablees, career maturity of child differed significantly by work-state the degree of vocational satisfication. 3. To think of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view of vocation the attitude of choosing vocaion is independent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 attitude of work and sex-role is openhearted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 attitude of work-value is more important in the case of mother´s having work. The attitude of work-respect is formal in both case. In general whether mother has work or not there´s no difference in the mother´s vocational sense. 4. The co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vocational sense and career matur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attitude of chdoosing vocation. 5.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 differed significantly whether they are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 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e mother´s age the standard of education the degree of vocational satisfication and the view of vocation are more influenced on the child´s career maturity than the mother´s work itself.

  • PDF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 김영훈;김태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4-1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 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 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 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와의 수학적 연결성 분석 -전자계산기과 중심-

  • 문철우;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233-249
    • /
    • 2010
  • It seems that it is critical to comprehend mathematics as a tool subject in order to understand a number of calculations in the professional subjec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how much mathematics is connected to specialized subjects in terms of mathematical cont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athematical topics included in professional subjects and those of mathematics subjec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 that is should be necessary to make new mathematics textbook which reflects the reality and needs of the presen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요구 분석 (Analysis of ne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lip learning class)

  • 김민주;박수홍;김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31-2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플립러닝이 활용되는데 필요한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의 한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플립러닝의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A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교사 4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실시할 의향은 높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와 경험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플립러닝 사전학습자료 제작부터 수업, 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를 운영한다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이해 정도에 따라 단계별 또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식 실습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수업모형을 도입하고자 할 때 현장 교사들이 가진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지원체제와 교원연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강원도지역 실업계 고등학생의 우울, 기질 및 성격특성이 음주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pression, Temperament, Characteristic on Alcohol Drinking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 소애영;손신영;전경자;이꽃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1-19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rinking status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depression, temperament, characteristic on drinking statu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By using stratified sampling, 416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 Do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rough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using $x^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88% of students had experienced of drinking. Depression was observed 59.1% of students from light to severe depression scor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drinking, the school records, novelty seeking,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drinking, economic status, harm avoidanc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rinking were school records, depression, novelty seeking and persist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the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regard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drin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일반계와 실업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직업관 비교 (Occupational Outlooks of Senior High School Female Students)

  • 이향숙;조재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9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s and family characteristics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nd the impacts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their occupational outlook. The number of 792 female students in 4 general and 5 vocational high schools in Chongju area were sampled during September 6-10, 1993. There are more differences in family characteristics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types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Both famil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occupational outlooks of the respondents. Therefore, the types of school affect their occupational outlooks. Over 50% of vocational students want to have a junior college education.

  • PDF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