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acuity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9초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among the Primary Students in Jeollanamdo)

  • 장정운;박인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1-318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성별과 연령, 나안시력에 따른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전남지역 소재 8~13세, 73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력검사, 자각적 및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나안시력검사는 한천석식 시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타각적 굴절검사는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생들 중 0.1이하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은 54명(7.3%)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9명(90.7%)이 안경을 착용하였다. 0.125~0.2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79.3%, 0.3~0.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은 64.2%, 0.6~0.8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61.6%를 보였다. 또한 정시 269명(36.6%), 근시 321명(43.7%), 원시 56명(7.6%), 난시 89명(12.1%)으로 굴절이상 유병률 중 근시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난시 유병률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시 중 약도근시의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도 및 중도근시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시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 유병률에서 50.6%(45명)가 직난시, 48.3%(43명)가 도난시, 1%(1명)가 사난시를 보였다. 결론: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466명(63.4%)의 학생들이 굴절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안경교정 인원은 313명(42.6%)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확한 시력검사와 굴절검사 후 적절한 교정을 통해 학생들의 지속적인 시력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경 안면각 변화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n Variation of Face Form Angle of Eyewear)

  • 고다영;김기홍;이동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7-484
    • /
    • 2015
  • 목적: 안경테의 안면각의 크기 변화가 시력 및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면각이 $25^{\circ}$$5^{\circ}$인 검안테를 각각 착용하여 시력, 대비감도, 사위 및 입체시를 측정하였고, 자각적 증상은 설문조사를 하였다. 여기에는 안질환이 없는 성인 30명(남자 14명, 여자 16명, 평균연령 $25.46{\pm}3.9$세)이, 굴절이상자는 완전교정 한 후, 실험의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결과: 안면각이 $5^{\circ}$일 때 보다 $25^{\circ}$일 때 시력과 대비감도가 감소하였고,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체시는 안면각이 $5^{\circ}$일 때 보다 $25^{\circ}$일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안면각이 큰 경우, 대상자들의 굴절이상도가 높을수록 글자가 흐리거나 어지럽거나 눈이 아프다는 등의 자각적 증상의 증가가 심해지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두 요소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 안면각이 큰 경우 시력과 대비감도 및 입체시가 감소하고 사위도는 내사위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안면각의 변화가 시력과 시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력저하노인의 기능상태,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Functional State,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 차기정;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5-234
    • /
    • 2013
  • Purpose: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stat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162 elderly people from the G university hospital. Functional state was measured by Late-Life Function and Disability Instrument (LLFDI) and Minimum Data Set-Home Care version 2.0 (MDS HC 2.0).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the tool of Rho & Lee (2011) and Yoon (2007).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daily life fun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and vision decrease. The regression model with these two variables explained 35.6% of the variance of daily life function. IAD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sion decrease, age, gender, and self-efficacy. The regression model with the three variables explained 52.9% of the variance of IADL.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daily life function, vision decrease and IADL. The last regression model with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51.8% of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levels of functional state,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ere low. Self-efficac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on the functional state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self-efficacy are required in order to increase the functional state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Visual Outcome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in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 Seuk, Ju-Wan;Kim, Choong-Hyun;Yang, Moon-Sul;Cheong, Jin-Hwan;Kim, Jae-M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6호
    • /
    • pp.339-344
    • /
    • 2011
  • Objective : Pituitary apoplexy is one of the most serious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of pituitary aden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ual outcome after early transsphenoidal surgery for the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31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who were admitted due to acute visual acuity or field impairment and treated by transsphenoidal surgery. Five patient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 decreased conscious level. The visual acuity of each individual eye was evaluated by Snellen's chart Visual fields were also checked using automated perimetry. To compare the visual outcome according to the surgical timing,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2 groups. The first group, 21 of the patients have been undertaken transsphenoidal approach (TSA) within at least 48 hours after admission. The second group included 8 patients who have been undertaken TSA beyond 48 hours. All patients were monitored at least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 Patients were 21 males and 8 females (M : F=2.6 : 1) with the mean age of 42.4 years. Among the enrolled 29 patients, 26 patients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nd 23 patients revealed the defective visual field respectively. Postoperatively, improvement in the visual acuity was seen in 15 patients (83.3%) who underwent surgery within the first 48 hours of presentation, as compared to those in whom surgery was delayed beyond 48 hours (n=5; 62.5%) (p=0.014). Improvement in the visual field deficits was observed in 15 (88.2%) of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within the first 48 hours of presentation, as compared to those in whom surgery was delayed beyond 48 hours (n=3; 50.0%) (p=0.037).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rapid transsphenoidal surgery is effective to recover the visu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If there are associated abnormalities of visual acuity or visual fields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pituitary apoplexy, early neurosurgical intervention within 48 hours should be also required to recover visual impairment.

시력 개선을 위한 Netspeg 렌즈의 임상적 검증 (The Clinical Examination of Netspeg Lens for Good Visual Acuity)

  • 김덕훈;배한용;김선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81-291
    • /
    • 2006
  • 본 연구는 굴절이상을 가진 피검자의 시력 개선을 위한 Netspeg 렌즈의 임상적 검증을 하였다. 피검자는 성인 100명(남성 50인, 여성 50명; 평균 21세, 연령은 19세와 24세 사이)의 200개 눈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피검자는 전신건강, 약물복용, 유전병, 알레르기, 전신질환 그리고 안질환을 포함하는 문진 등을 조사하였다. 굴절검사는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단안과 양안을 기록하였다. 시력측정은 양안에 Netspeg 렌즈와 CR-39를 착용하여 실시하였다. 입체시 검사는 Netspeg 렌즈와 CR-39를 착용해서 근거리에서 Titmus fly와 TNO를 사용해서 하였다. P-VEP 검사는 3채널의 16 pattern size(Bausch Lomb, production in U.S.A.)를 사용하였다. 피검자는 Netspeg 렌즈와 CR-39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양안으로 patten 자극을 사용하였다. 역시 피검자는 Netspeg 렌즈와 CR-39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양안시로 P-VEP 자극을 본다. 대비감도 검사는 대비감도 차트(Pelli-Robertson, made in USA)를 이용해서 1m 거리에서 Netspeg 렌즈와 CR-39를 장용해서 실시하였다. Netspeg 렌즈와 CR-39의 표면 미세구조는 SEM(JMS-5800, made in Japan)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etspeg 렌즈와 CR-39를 사용한 비정상 굴절 피검자의 교정된 시력에서 Netspeg 렌즈를 착용한 피검자는 시각의 주관적 테스트에서 CR-39 착용자에 비해서 좋은 시야와 깨끗한 시력을 얻었다. 그러나 시력의 편안함은 Netspeg 렌즈와 CR-39는 비슷한 결과를 가졌다. 역시 Netspeg 렌즈 착용자의 피검자는 CR-39보다 좋은 시력을 가졌다. 한편 P-VEP 분석에서는 사용된 Netspeg 렌즈 착용자의 파의 진폭은 CR-39보다 더 증가한 모습을 가졌다(p>0.5). 또한 대비감도 검사에서 Netspeg 렌즈 착용자는 CR-39보다 좋은 결과를 가졌다. Netspeg 렌즈를 착용한 피검자의 TNO 입체시 검사 값은 그 결과가 CR-39보다 좋았다. 그러나 Titmus 입체시 검사에서는 Netspeg 렌즈와 CR 착용자는 비슷한 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초경발수 Netspeg 렌즈와 비구면 Netspeg 렌즈는 시기능 테스트에서 다소 비슷한 결과를 가졌다. 2. Netspeg 렌즈 표면의 미세구조는 CR-39보다는 매끄럽고 섬세한 구조와 선을 가졌다. 역시 Netspeg 렌즈는 미세구조에서 섬세한 선상 구조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사용된 Netspeg 렌즈의 표면 미세구조는 CR-39보다는 더욱 특수한 pinhole 디자인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사용된 Netspeg 렌즈의 시각은 비정상 굴절 눈을 위한 교정된 시력에 CR-39보다 좋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저자들은 Netspeg 렌즈의 미세구조와 선 구조는 좋은 시기능과 관계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비구면 Netspeg 렌즈와 초경발수 Netspeg 렌즈의 시기능에 대한 결과는 비슷하였다.

  • PDF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이 시기능 및 야구성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Vision Training on Baseball Player's Visual Performance and Baseball Records)

  • 이민아;오재만;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7-97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가 야구성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포츠에 있어서 시력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스포츠비 젼 트레이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D 고등학교 야구부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원근거리 시위량과 융합 여력, 폭주 근점, 정지 시력과 동체 시력, 정적 입체시와 동적 입체시, 대비감도, 시각-반응 시간을 평가한 후 8주 동안의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그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스포츠비젼 트레이닝 이후 시기능이 향상되었고, 타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비젼 트레이닝의 원리를 다양한 스포츠에 적용하고, 보다 체계적인 검사장비와 훈련방법이 정비된다면 선수들의 스포츠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서울시 학령전기 아동의 근시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Rate and Factors of Myopia in Preschool Children)

  • 김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0-39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enables systematic and correct visual acuity care by discovering out visual acuity conditions, prevalence rate of myopia, and the factors related to myopia with Preschool childre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19 children between 3 and 6 years of age from 12 kindergartens in Seoul which were selected through multiple cluster sampling. Myopia was defined as the spherical equivalent (SE) of more than -0.5 diopters (D) in the right eye.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2-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by using the SAS program. Result: The prevalence rate of myopia was $8.7\%$. the odds ratio of child myopia when one parent had myopia was 2.2 times higher than when neither parent had myopia. The odds ratio of child myopia when reading more than three books per week was 0.27 times higher than reading less than three books. Conclusion: Myopia should be continuously and intensively managed from the age of 3.

인위적인 근시에서 시력의 회복과정 (The Variable Process of Visual Acuity for Artificial Myopia)

  • 최운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60
    • /
    • 1997
  • 인위적인 근시상태에서 시력회복과정을 수치적으로 추적하여 이미 검사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산은 광학모형안의 수치와 기하 광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안은 입사동과 망막으로 단순화하였고, 렌즈와 눈을 하나의 렌즈로 등가하였다. 또 등가렌즈 굴절력을 모형안 내에서 초점거리로 바꾸고 이것을 다시 망막에서 착란원의 크기로 환산하여 시력과의 관계로 계산하였다.

  • PDF

난시안의 교정축 이탈과 교정시력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Axis Cylinder and Corrected Vision of Astigmatism)

  • 김정희;강수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83-87
    • /
    • 2007
  • 본 연구는 안질환이 없고 양안시 기능이 정상인 20대에서 50대 사이의 근시성 난시를 가지고 있는 남, 녀 대학생 57명(114 eye)을 대상으로 난시안의 굴절이상도를 완전교정한 상태에서 교정축 만을 $5^{\circ}$, $10^{\circ}$, $15^{\circ}$ 회전하여 완전교정상태와의 시력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난시 교정안경 착용자의 30.8%가 난시축이 정확하게 교정되지 않은 안경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난시안을 정확하게 교정한 후의 시력과 난시량을 완전교정하고 교정축을 $5^{\circ}$, $10^{\circ}$, $15^{\circ}$ 이동한 시력을 비교한 결과 한 줄 이상의 시력 감소가 나타나는 눈이 각각 56.1%, 84.2%, 93.8%로 조사되었다. 교정축을 완전교정 했을 때와 축이 이탈했을 때와의 시력감소의 폭은 이탈 각도가 클수록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난시 교정축의 이탈 각도에 따른 평균 시력변화는 완전교정 했을 때와 비교할 때 $5^{\circ}$에서는 0.94, $10^{\circ}$에서는 0.87, $15^{\circ}$에서는 0.79로 조사되었다. 또한, 완전 교정축에서 $5^{\circ}$ 이탈했을 때는 문자시표에서는 약 한 줄 정도의 시력차이가 있었고, $10^{\circ}$이탈 했을 때는 약 1.8줄 정도의 시력차이가 있었고, $15^{\circ}$ 이탈 했을 때는 약 2.6줄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난시 교정안경의 교정축이 이탈되었을 경우 시력감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난시안의 교정축 이탈은 안정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력검사 과정에서 정확한 난시축의 교정은 중요한 요소이므로 처방을 토대로 한 난시 교정안경 조제가공 후 교정축의 정확도 확인을 반드시 실시하여 축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굴절성 약시안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Refractive Amblyopia)

  • 박현주;이석주;임태준;김재민;이기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45-352
    • /
    • 2004
  • 약사 환자 44명에 대해 굴절성약시의 초기 굴절교정시의 나이, 굴절이상에 따른 교정시력의 정도 그리고 안경착용 후 시력교정 효과를 시간에 따라 알아보았으며, 평균 33개월 (3-59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들의 초기 굴절교정 직후 시력은 0.02에서 0.5였으며 안경을 처음 착용한 나이의 분포는 3세에서 12세까지였다. 안경처방이 모든 나이에서 교정시력 향상에 영향을 주어 최종교정시력은 초기 교정시보다 향상되었으나, 치료시작 나이가 초기교정시력과 최종교정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