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ons and program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초

관측 관련 사업들의 현 상황과 미래의 비전 (Observation Programs: Current Status and Future Visions)

  • 박선기
    • 대기
    • /
    • 제15권2호
    • /
    • pp.141-148
    • /
    • 2005
  • Currently several important observation programs are planned or being perform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paper, a brief introduction is provided on international programs such as THORPEX, ARGO and GEOSS as well as a domestic program KEOP. In addition, discussions on various issues related to observations and future visions are provided.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 II: 역사적 전개와 주요 계획프로그램 (Development Axis and the Programs of Spatial and Regional Planning in Germany)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1-394
    • /
    • 2015
  • 이 연구는 1965년 이후 지난 50여 년간 독일의 국토 및 지역계획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 연방차원의 공간계획이 어떤 시대적 배경 하에서 발전해 왔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에 따른 주요 공간계획의 비전과 방향, 목표 등을 포함한 국토계획 프로그램이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 연방차원의 국토계획은 1965년 연방 국토계획법이 제정 발효된 후 크게 3시기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독일의 국토계획은 공간계획의 추진 자체뿐만 아니라 시대의 정치사회적 배경과 경제적 환경의 변화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왔다. 그리고 독일의 연방정부는 시대마다 국토 공간적 발전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 비전과 목표를 포함한 계획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시해 왔다. 물론 독일의 국토계획 프로그램은 그동안 지역 간 균형발전을 최우선 목표로 되풀이하여 내세워 왔지만, 그 추진 성과는 반드시 높지 않으며 그 영향도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PDF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프로그램 구성체계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gram Structure and Activation Pla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n Public Library)

  • 신영지;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89-114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의 현황 및 운영 중인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복합문화공간을 구성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공간유형 및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복합문화공간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문화공간을 도서관 내에 구성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육공간, 전시공간, 공연공간이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맥락을 같이하여 복합문화공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유형도 교육, 전시, 공연 유형의 프로그램이 다수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전담인력 부족, 예산 부족, 프로그램 개발 어려움, 프로그램 참여 저조, 문화시설 및 자료 부족 등으로 복합문화공간 운영의 내실화는 아직 부족한 실정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향후 공공도서관 내 복합문화공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목표와 비전을 설정, 공간 확보, 복합문화공간을 위한 인력 및 예산 확보, 홍보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빈곤청소년의 꿈과 미래 설계경험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Planning Experiences of Dreams and Vision of the Poor Youth)

  • 김경희;박근혜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1호
    • /
    • pp.113-134
    • /
    • 2013
  •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의 꿈과 미래 설계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빈곤청소년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월드비전 산하의 전국 24개 기관에서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청소년의 꿈은 경험을 통해 형성되고 주변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청소년은 정서적 및 물질적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꿈의 형성과 발전, 진로 준비로의 구체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그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노력하는 역량과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빈곤청소년의 꿈과 미래에 대한 관심 제고의 필요성 및 체험지향적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교육청 교원연수체제 개발 사례와 시사점 (A Case of Developing Teacher Training System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 박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0-48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정리함으로써 단위 교육청 교원연수체제를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개발 사례를 방법, 근거, 결과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이러한 사례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시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원연수체제의 개발을 위해 실태 분석과 요구 분석, 국내외 교원연수 및 기업 사례 분석, 문헌 조사 및 전문가 집단 자문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원연수체제의 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근거로 하여 프로그램(안)을 개발하였다. A교육청 교원연수체제의 모형은 비전(인재상)과 목표(세부 인재상), 추진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기초로 연수프로그램(안)인 4S 프로젝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발 사례를 통하여 교육청의 비전과 인재상에 기초한 교원연수의 비전 수립, 교원연수의 비전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개발, 실행을 위한 추진전략 제안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55-69
    • /
    • 2006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s and determining factors of burnout of the workers in elderly living facilities. In this study, 131 male and female workers composed of social workers, health practitioners, and other management workers were selected among 23 retirement and nursing facilitie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5. They were asked about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 working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s on burnout in the working places. As for main dimensions of the burnout, there were three elements such as emotional weariness, diminishing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ed behaviors. Particularly in this study, the depersonalized behaviors were defined as aggressive or rude verbal and behavioral outbursts from ang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Most workers have medium level of perception on their commitment and burnout, but there. are some risk factors; newly married young workers were less satisfied or fairly rewarded with their job and as a result, they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emotional weariness but lower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s. In addition, they occasionality practiced aggressive or rude behaviors such as yelling, threatening, and physically harassing As for the influence of determining variables, long-time workers of long established facilities were more satisfied and less burnout. In addition, there are some impacts of job category; health practitioners were more burnout than social workers. In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guiding and settl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newly started young married workers, particularly at early stage of their career. Second, future aspects of facility visions should be guided for the workers, so that they are relieved from stressful routines without any future plan. Third, medical workers such as physical therapists and nurses should be further monitored for main reasons of increasing their stress.

영역별 특성에 따른 구취 자각정도와 인지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to territorial among awareness of halitosis)

  • 박성숙;서은주;장계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27-1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eople in general about halitosi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people who visited the clinical practice lab at J health college to get their teeth scaled.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3, 2008,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178 respondents were analyzed after four different areas were selected, which included smoking/nonsmoking, scaling experience, toothbrushing frequency and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SPSSWIN 12.0 program was utiliz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s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oncerning subjective feelings of halitosis, 55.3 percent(99 people) of the respondents found themselves to have a moderate level of bad breath. 28.5 percent(51) deemed themselves to have a little foul breath, and 14 percent(25) didn't feel they had any bad breath. 2. As to the subjective level of halitosis, 89.8 percent(168) thought that their bad breath was a little perceived only by themselves, regardless of smoking, scaling experience, toothbrushing frequency and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3. In regard to the cause of halitosis, 31 percent(56) cited plaque in the mouth as the cause, and 28.5 percent(51) pointed out the other causes that weren't mentioned in the questionnaire. 18.4 percent(33) cited decayed tooth, and 11.2 percent(20) pointed out gastroenteric disorder. 10.6 percent(19) viewed diabetes as the cause. 4. As to the time when they had the subjective symptom of halitosis, 114 respondents(63.7%) felt their own bad breath the most immediately after they got up 21.8 percent(39 respondents) did it when they were hungry 5.5 percent(9) did that before breakfast, and 4.5 percent(8) did that after having breakfast. 5. Regarding view of how to prevent halitosis, 52.5 percent(94) brushed their teeth frequently 21.2 percent(38) got their teeth scaled on a regular basis at a dentist's office, and 17.9 percent(32) drank water often. The above-mentioned finding seemed to suggest that the respondents weren't well aware of the fact halitosis was a sort of oral and systemic diseas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halitosis prevention and care programs geared toward practice lab visions were required.

  • PDF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Suggestions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 박기문;이규녀;이병욱;나영민;이경표;손다미;이상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 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 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