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 cutting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Holding Period of Cutting on Sprouts Quality and Sweet Potato Growth

  • Cha, Kwang-Ho;Lee, Byeong-Gook;Yoo, Nam-Hee;Yun, Song-Joong;Park, Kyeong-G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5-39
    • /
    • 2001
  • It is important to accelerate rooting and establishment of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for higher dry matter production and tuber yield in sweet potato cultiv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vine-cutting holding on rooting and plant growth after transplanting. Vines were cut 20-25cm long and stored for 1, 3, 5, 7 or 9 days in a shade room at 20$\pm$0.5$^{\circ}C$, RH 68$\pm$,/TEX>1%. Peroxidase activity in the vine cuttings increased as the holding period increased and the highest catal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he 5-day holding. Length of main vine, number of branches and nodes on main vine also increased in the 5-day holdi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main vine among the various holding periods. The data obtained indicate that transplanting of vine cuttings after 5-day holding could promote rooting and vine growth.

  • PDF

한라산 흑오미자의 자생환경 및 삽목증식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Environment and Cutting Propagation for the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Siebold & Zucc.) Radlk] in Halla Mountain)

  • 부재윤;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359
    • /
    • 2020
  • Background: The recent, decline in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BMV) native to Jeju Island, Korea,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causes of this decline. We investigated the native environment of S. repanda and evaluated its propagation through cutting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ts restoration in Jeju Island. Methods and Results: The native environment of the BMV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and the climatic variable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ex of the donor plant (male/female) type of cutting (softwood/hardwood), and treatment with a plant growth regulator (indole-3-butylic acid/rootone) on the rooting of BMV were investigated. Additinallly, the rooting rate, root count, and root length, as well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in the vinyl moist chambers. BMV was observed in 63 plants distributed from 567 m to 1,364 m above sea level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In the cutting experiment, the rooting rate was 71.9%, and it was higer in female plants (75.0%) than in male plants (68.8%). Conclusions: The mass propagation of BMV through cuttings valuable for its restoration as without such safeguard measures, the population could face extinction within a few decades.

NFT 수경재배에서 양액 종류 및 삽수 크기가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and Cutting Size on Growth of Virus-free Sweet Potato Plant in Nutrient Film Technique)

  • 유경란;이승엽;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86-693
    • /
    • 2012
  • NFT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한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주 대량 증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버미큘라이트와 펄라이트(1:1, v/v)를 채운 72공 플러그 트레이(35mL/cell)에 삽목하여 양액 종류, 삽수 크기 및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을 평가하였다. 무병묘의 줄기신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일본원시배양액, 한국원시배양액, 야마자키 상추배양액의 순으로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삽수 종류에 따른 무병묘의 생육은 줄기 정단 삽수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삽수 크기가 클수록 줄기 길이, 생체중 및 건물중의 증가가 뚜렷하였다. 품종 간에는 '신자미'와 '연황미'의 줄기신장, 생체중 및 건물중 증가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줄기 굵기와 뿌리 길이는 삽수 부위 및 크기와 품종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1마디 삽수는 2마디 삽수와 생육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FT 수경 재배에서 무병주 대량 증식 효율은 1마디 삽수와 정단 삽수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LED 광질에 따른 고구마의 묘소질 및 괴근 수량성 (Growth and Tuber Yield of Sweet Potato Slips Grown under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s)

  • 이나라;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6-363
    • /
    • 2014
  • 몇가지 LED 광질이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생장과 포장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황미',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20일간 담액수경 재배하여, 자연광하에서 10일간 순화시켜 30cm 크기의 삽수를 $75{\times}25cm$로 6월 10일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LED 광질은 형광등(40W)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적+청 8:2 및 적+청 7:3 혼합광을 사용하였다. 묘소질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줄기신장, 줄기두께, 잎수 및 뿌리발달 등이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식 30일후, 포장 생존율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형광등과 적색 LE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등의 지상부 생육특성도 LED 광질 및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식 120일후 지상부 생육특성에서도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곁가지수, 생체중 등에서 LED 광질에 따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줄기길이, 마디수, 줄기두께, 생체중 등에서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당평균중, 평균괴근중 및 수량 등은 LED 광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수량은 '맛나미'와 '연황미'에서 '신황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Controlling Mikania micrantha HBK: How effective manual cutting is?

  • Rai, Rajesh Kumar;Sandilya, Madan;Subedi, Raj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235-242
    • /
    • 2012
  • Mikania micrantha, a neo-tropical vine, is spreading rapidly in the tropical part of Nepal and is now threatening the rural ecosystem including biodiversity and rural livelihoods. However, no attempt has been made to control the spread of M. micrantha. As a result, the vines are spreading freely and rapidly. After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and assessment of forest management practices, we proposed a manual cutting method, as it suits the Nepalese situation for several reasons: required labor is readily available, as local communities are managing forest patches, and the method does not have any potential adverse effects on non-target native species. Experimental plots were laid out in August 2011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ual cutting. Two different site types based on canopy coverag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blocks based on cutting strategy. Four treatments were assigned across the experimental plots following a complete block design. We harvested above-ground biomass according to the assigned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t least two consecutive cuttings within a 3-week interval before flowering, and that three consecutive cuttings resulted in 91% mortality of the vines. In addition, cutting promoted regener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Employing regular cutting operations can modify understory shade enhancing regeneration of native species, which is a desirable condition to constrain proliferation of M. micrantha. Periodic cuttings reduced the competitiveness of M. micrantha regardless of canopy openness, but native ground cover should be retained.

고구마 무병묘 자루재배시 배지의 혼합 비율 및 삽수의 종류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Mixing Ratio of Substrates and Cuttings on the Growth of Virus-free Sweetpotato Seedlings in Hydroponic Bag Culture)

  • 유경란;배종향;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7-203
    • /
    • 2011
  • 고구마 재배농가에서 무병묘를 손쉽게 자가증식할 수 있는 간편한 수경재배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하여, 점적호스를 이용한 순환식 자루재배 시스템을 시설하여 배지 혼합비율 및 삽수종류에 따른 무병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연황미와 맛나미 모두 15일경까지는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일경부터는 원예용상토(TKS-2)와 펄라이트 함량이 높은 혼합배지(코코피트 : 펄라이트, 3 : 7 v/v)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품종 간에는 연황미의 생육이 맛나미보다 양호하였으며, 1마디 삽수보다 정단 삽수로 증식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연황미와 맛나미의 줄기생육은 정단 삽식에서 1마디 삽식보다 10cm 및 2cm 이상 신장하였으며, 코코피트와 펄라이트 3 : 7(v/v) 혼합배지에서의 건물중과 생체중은 원예용 상토 또는 코코피트와 펄라이트 7 : 3(v/v) 혼합배지에서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코코피트와 펄라이트(3 : 7, v/v) 혼합배지를 이용한 자루재배는 고구마 무병묘 증식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고구마 종순농가에서도 큰 경제적 부담없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삽목시기, 삽수 채취 부위 및 마디수가 겨울딸기 지삽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Several Factors Affecting to Rooting of Stem Cuttings in Rubus buergeri Miquel)

  • 강영길;고미라;강시용;류기중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7-80
    • /
    • 2005
  • 2002년 6월 26일, 8월 3일 및 9월 4일에 당년 발생한 덩굴에서 정부 중부 기부의 2마디씩 채취하여 삽목하였고, 2002년 7월 10일에 삽수의 마디수를 $1{\sim}4$개로 달리하여 삽목하여 겨울딸기의 발근 및 신초생육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근율은 8월 2일 삽목구에서 69.6%로 가장 높았고 근장은 6월 26일 삽목구에서 23.1 cm로 가장 길었다. 9월 4일 삽목구의 발근율 및 신초 생육이 현저히 떨어졌다. 삽수 채취 부위별 발근율은 덩굴 중간부위에서 55.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정단부위에서 45.6%이었고 기부에서 25.4%로 가장 낮았다. 다른 형질들은 삽수 채취부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발근율과 신초발생률은 삽수마디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삽수당 근수 및 뿌리 건물중, 신초 생육은 삽수마디수가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홉(Humulus lupulus L.) 도입 품종의 생육특성 및 영양번식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 of Introduced Hop (Humulus lupulus L.) Cultivars)

  • 하태현;유재일;이준형;류재혁;박상훈;강시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0
    • /
    • 2023
  • 국내 홉 생산은 외국산 수입으로 1990년대 초반 이후 중단된 상태이나, 최근 수제맥주 붐의 영향으로 국내 생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홉 생산 및 육종을 위한 기반연구로 외국산 도입 홉 6개 품종을 대상으로 생육특성 및 증식기술 개발중심으로 수행하였다. 2021년과 2022년 진행한 홉 생육조사에서 재식 후 4년차보다 5년차에서 일반적으로 홉의 착화고, 착화수, 구화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홉 삽목 실험의 결과, 일반적으로 발근제 '아토닉' 처리를 하지 않은 물꽂이에서도 전체 평균 발근율이 88%로 높았지만 아토닉을 침지하거나 희석하여 관주할 경우 발근율이 93%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아토닉 처리 방법에 따른 발근력과 발근율에는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발근 삽목묘를 상토 이식 후 생존율을 확인 하였을 때, 조직배양실에서 삽목한 것이 온실에서 삽목한 것에 비해 상당히 생존율이 떨어졌다. 따라서 홉 삽목시에는 물꽂이 만으로도 높은 삽목 성공률을 얻을 수 있으며, 상토 이식 후 식물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기술 개발이 홉 대량증식에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배양 기술을 통해 홉을 증식할 땐 IAA 0.1 ㎎/L에 BAP 1 ㎎/L 보다 TDZ 1 ㎎/L를 첨가하여 배양하는 것이 다경유도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삽목 및 조직배양 증식과 순화 기술을 정립하면, 국내 홉 건전묘 생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