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ewer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32초

Speech Viewer II

  • 한옥희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5년도 제4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및 워크샵
    • /
    • pp.137-140
    • /
    • 1995
  • Speech viewer II 소프트웨어는 IBM에서 10여 년에 걸쳐 개발한 언어 및 청각장애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15개의 훈련/치료용 모듈과 6개의 피훈련자 관리용 모듈로 짜여져 있습니다 훈련/치료용의 모듈들은 각각의 적용성과 훈련/치료의 목적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3개의 범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중략)

  • PDF

마이리틀 텔레비전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NS 빅데이터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viewer rating of"My Little Television": Focusing on SNS Big Data)

  • 김상철;김광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6
  • 1인 미디어 방송을 지상파방송으로 확장한 새로운 포맷의 "마이리틀 텔레비전"이 많은 화제성지수를 만들어내고 있다. 2015년 4월 첫 방송을 시작해서 동일 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속하고 있다. 시청자가 다음 TV팟을 통해서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해 실시간으로 시청자와 진행자가 소통을 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프로그램에 반영하고 있다. SNS를 통해서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정보가 확산되면서 프로그램 시청률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시청률로만 프로그램을 평가했던 부분에서 SNS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프로그램에 대한 화제성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프로그램 시청률과 버즈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즈량보다 확대된 개념의 화제성지수가 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제성지수는 시청률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SNS의 빅데이터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독서장애인용 모바일 전자책뷰어 인터페이스 설계 (A Design of Mobile e-Book Viewer interface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 이경희;김태은;이종우;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0-107
    • /
    • 2013
  • 최근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부터 스마트 기기의 소프트웨어 리더까지 각종 전자책뷰어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 난독증, 학습장애인과 같은 독서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전자책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발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전자책뷰어는 독서장애인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독서장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서장애인용 전자책 표준 형식을 지원하는 모바일 전자책 뷰어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시 모델은 전맹인, 저시력인, 학습장애인 등 사용자의 특성 및 상황(context)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독서장애인용 어노테이션 시스템을 지원함으로써 기존의 독서장애인용 오디오북과는 다른 사용자-전자책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또한 본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독서장애인용 전자책뷰어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인구 10%에 해당하는 독서장애인의 효율적인 독서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디지털 자화상 창작 (A Study on the Creation of Digital Self-portrait with Intertextuality)

  • 임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27-43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관람자에게 자아 인식의 문제에 천착하게 하는 몰입의 경험을 제공하는 자화상을 창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음성과 이미지 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자화상을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관람자의 음성 정보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시각화되는데, 텍스트 시각화를 위한 픽셀 정보로 관람자의 얼굴 이미지가 활용된다. 텍스트는 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감성, 상상, 의도 등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는 결과물이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특정 텍스트에 대한 상이한 해석력을 발휘한다. 제안한 디지털 자화상은 텍스트가 가진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내적인 면에서 관람자의 자의식을 재현할 뿐 아니라 텍스트에 내재된 의미들을 확장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은 텍스트와 텍스트, 주체와 주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식의 총체를 가리킨다. 따라서 텍스트로 표현된 자화상은 관객과 텍스트, 관객과 관객,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서 다양한 관계를 파생시키며 확장해간다. 또한 본 연구는 제안한 자화상이 외적인 면에서도 텍스트가 가진 조형성을 확인하고 시공간성을 재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동적 자화상은 실시간으로 관람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하고 갱신되며 창작되는 특성을 지닌다.

Three Dimensional Indoor Location Tracking Viewer

  • Yang, Chi-Shian;Jung, Sang-Joong;Chung, Wan-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3권1호
    • /
    • pp.108-118
    • /
    • 2009
  •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its 3D tracking monitoring viewer, viz., 3D Navigation Viewer (3DNV). We focus on the integration of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with the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 to facilitate a representation of the user's spatial information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physical location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employs beacons as active transmitters, and a listener as a passive receiver.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speeds of RF and Ultrasonic signals is exploited, to determine the user's physical location. This is essential in supporting third parties like doctors and caregivers in identifying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a particular individual via 3DNV. 3DNV serves as a unified user interface for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showing the viewpoint and position of the target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It was implemented using VRML, to provide an actual real time visualization of the target's spatial information.

DirectX에 의한 지형 모델 뷰어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errain Model Viewer by DirectX)

  • 손광현;노용덕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9호
    • /
    • pp.2403-2411
    • /
    • 1997
  • Direct3D는 새로운 3차원 그래픽 가속기로써, 이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윈도우용 그래픽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Direct3D를 이용하여 제작한 프랙탈 지형 데이터 모델 뷰어를 제시한다. 지형 모델 뷰어 제작에 따른 클래스의 정의, 입력을 위한 대화상자의 설계, 초기화 과정,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을 설명하고 지형 모델 뷰어의 실행으로 얻어진 결과중, 철사형, 솔리드형, 포인트형의 출력을 보인다. 지형 형상화의 결과를 보이기 위하여, 여기서는 프랙탈 격자형 중간점 이동 알고리즘에 의하여 만들어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PDF

통합적 뉴미디어로 변모한 TV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과 능동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Viewer's Perception, Activity, and Satisfaction about TV as a New-media)

  • 백소연;문재승;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3
    • /
    • 2008
  • TV는 기존의 단순한 기능을 하던 매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적 뉴미디어로 변화되었다. 또한 TV는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 많은 통제권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TV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 속에 아직도 TV는 수동적으로 이용하는 매체라고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TV의 변화는 시청자들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V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과 TV사용에 대한 시청자들의 능동성, 그리고 TV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TV와 시청자 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간격에 대한 문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권력 구조가 복식의 성적 표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wer Structure on Sexuality in Dress)

  • 이민선
    • 복식
    • /
    • 제56권5호
    • /
    • pp.89-10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a power group in a society forms features of sexuality in dr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historical research was undertaken to study in socioeconomic context in which sexuality has been formed and transformed. Second, demonstrative studies on sexual-image styles were undertaken through the analysis of pictures and photos. Thir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and sexuality in dress wa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Masculinity in dress, such as simplicity and concealment, corresponds to the attributes of the viewer, and femininity in dress, such as decoration and exposure, corresponds to the attributes of the viewee. Power struggle is the complex process of forming of the viewer-viewee relationship. The one who grasps the power becomes the viewer. In the shif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Society, powers are horizontally spread over the society and the stereotype of sexuality in both women's and men's dress is fading out. In the field of design, standards and certainty described by absolute power are losing their importance. The 'chaotic' view of a world filled with mutual exchang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uncertainty of sexuality will be sure to be a dominant trend in fashion.

데이터방송 서비스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기획 가이드라인 (A Data Broadcasting Service Design Guideline based on the Survey on Viewer's Modality of Using Data Broadcasting Services)

  • 고광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32
    • /
    • 2012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탄생하게 된 디지털방송은 기존 영상 중심의 방송 콘텐츠뿐만 아니라 게임, 날씨정보, 증권거래 등의 다양한 데이터방송 서비스 (디지털TV 상에 운용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멀티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을 포함한 대부분의 데이터방송 서비스들이 리모컨 조작의 불편함과 시청자의 한정적인 시간을 대상으로 방송 콘텐츠와의 경쟁으로 인해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TV가 게임 플랫폼으로 발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인 데이터방송 서비스의 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방송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형식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방송 서비스 이용의 저해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청자의 시청활동을 저해하지 않고 방송 콘텐츠와의 경쟁도를 낮추는 데이터방송 서비스 기획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실내 길 찾기를 위한 Indoor LBS 어플리케이션 개발 - IndoorGML 에디터(Editor) 및 뷰어(Viewer) 개발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Indoor LBS Application for Navigation - Focusing on Development for an IndoorGML Editor and Viewer -)

  • 윤승현;최진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07-215
    • /
    • 2013
  •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arge-scale and high rise buildings, the importance of indoor location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As a result, seamless three-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linked to various indoor and outdoor service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which can edit and operate indoor space information using the IndoorGML(Geography Markup Language). It provides functions such as converting and editing authoring indoor space using the IndoorGML. Based on defined schema which is the IndoorGML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ork, we develop the "Editor" and "Viewer" for the IndoorGML. When indoor space is modeled in an authoring tool, a variety of topologies can be created automatically. These are available to be edited and modified. Moreover, the file of model can be saved as IndoorGML, SBM and KML file. These files are viewed by the "Viewer". Indoor LBS(Location Based Service)is served with these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