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 frutescen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1초

파종기에 따른 자소 주요형질 및 수량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PO)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3-146
    • /
    • 1991
  • 남부지방에서 자소의 직파 재배시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현은 자소의 파종기가 빠를수록 늦어지고 늦어질수록 단축되는 경향으로 출현일수와 파종기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생육은 4월 1일 파종이 경장과 경직경이 크고 분지수와 수수가 많아서 가장 양호한 경향이었다. 3 건경엽 수량은 4월 1일 파종이 경장이 크고 분지수가 많아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으며, 종실수량도 수당삭수와 수수가 많아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4월 1일 파종이 생육이 양호하여 경엽과 종실수량이 증가되어 남부지방의 알맞는 파종기로 생각된다.

  • PDF

한약재 추출물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생장 및 Urease 활성 억제 (Innibition of Cell Growth and Urease Activity of Helicobacter pylori by Medicinal plant Extracts)

  • 윤양식;이성훈;백남인;김현영;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87-191
    • /
    • 2004
  • 14종 한약재의 70% 에탄을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은 황련 (Coptis japonica Makino)이 가장 뛰어 났으며, 소엽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소목 (Caesalpinia sappan L.) 및 형개 (Schizonepeta tenuifolia Briq.)의 경우에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elicobacter pylori의 위내 서식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진 urease 활성억제능은 연교 (Forsythiae Fructus)의 메탄올 (80%)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목 및 형개의 추출물도 높았다. 특히 연교의 경우 한약재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80% 이상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연교의 메탄올 추출물을 물,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부탄을 순으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에 대한 urease 활성억제능을 검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92%의 ure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and rosmarinic acid improve amyloid-β25-35 induced impairment of cognition and memory function

  • Lee, Ah Young;Hwang, Bo Ra;Lee, Myoung Hee;Lee, Sanghyun;Cho, Eun J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274-281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e accumulation of amyloid-${\beta}$ ($A{\beta}$) in the brain is a hallmark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plays a key role in cognitive dysfunction.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extract (PFE) and its major compound, rosmarinic acid (RA), have show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 investigated whether administration of PFE and RA contributes to cognitive improvement in an $A{\beta}_{25-35}$-injected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Male ICR mice were intracerebroventricularly injected with aggregated $A{\beta}_{25-35}$ to induce AD. $A{\beta}_{25-35}$-injected mice were fed PFE (50 mg/kg/day) or RA (0.25 mg/kg/day) for 14 days and examined for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hrough the T-maze, object recognition, and Morris water maze test. RESULTS: Our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FE and RA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enhanced cognition function and object discrimination, which were impaired by $A{\beta}_{25-35}$, in the T-maze and object recognition tests, respectively. In addition, oral administration of PFE and RA decreased the time to reach the platform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rossings over the removed platform when compared with the $A{\beta}_{25-35}$-induced control group in the Morris water maze test. Furthermore, PFE and R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malondialdehyde (MDA) in the brain, kidney, and liver. In particular, PFE markedly attenuated oxidative stress by inhibiting production of NO and MDA in the $A{\beta}_{25-35}$-injected mouse brai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E and its active compound RA have beneficial effects on cognitive improvement and may help prevent AD induced by $A{\beta}$.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eaf)

  • 김미향;강우원;이난희;권대준;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27-3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및 물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 지질산화 억제능, SOD 유사활성 및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8{\sim}30%$ 정도로 낮았으나, 분획물에서는 95%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이 50%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모든 추출용매에서 75%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이 9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R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200.5 ppm이었다. 저장 온도 $40^{\circ}C$에서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추출물은 70% 에탄올 이었다. 분획물의 경우, 95% 에탄추출물은 hexane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그 외 에탄올 추출과 물추출은 chloroform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28{\sim}32%$, 물추출물이 30.3%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32.4%로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38.8%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I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1549.0ppm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추출물이 $36{\sim}41.2%$이었으며, 물추출물이 46.9%로 추출물중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물추출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1,000 ppm 농도에서 52%의 활성을 보여 가장 높았다.

자소엽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와 성분분석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Extract and Its Fraction and Their Component Analyses)

  • 정효진;현송화;송바름;이상래;이윤주;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716-7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소엽의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제조하여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aureus 및 P. aeruginosa에 대해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은 모두 $78{\mu}g/mL$로 나타나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과 $Fe^{3+}-EDTA/H_2O_2$계에서의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_{50}$) 측정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 보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각각 25.90, $1.40{\mu}g/mL$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에서 세포 내 ROS 억제 효능은 최고 농도인 $32{\mu}g/mL$에서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각각 PC군 대비 28.6, 40.7%의 감소율을 보였고 UVB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2.0-16.0{\mu}g/mL$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자소엽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rosmarinic acid, luteolin, apigenin, caffeic acid 및 ethyl caffeate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자소엽 추출물 및 분획이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써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Added with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owder)

  • 김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7-273
    • /
    • 2011
  • 기능성 소재로서의 들깻잎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들깻잎 분말 0, 5, 10 및 15% 첨가한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 및 파운드케이크의 pH는 들깻잎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고, 굽기손실률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높이는 들깻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무게는 대조군의 값이 가장 높았지만 시료간의 유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파운드케이크의 색도 측정 결과는 L(lightness) 값과 b(yellowness)값에서 crust와 crumb 모두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redness)값은 crust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crumb은 대조군의 값이 가장 높았고 첨가군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운드케이크의 관능검사 결과 들깻잎 분말 첨가는 색, 향미, 맛, 촉촉함, 전반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10% 이상의 너무 많은 들깻잎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들깻잎 분말 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 들깻잎 분말 첨가량은 5% 첨가군이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된다. 물성 측정 결과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는 증가한 반면, 탄력성, 응집성은 감소하였고, 검성과 씹힘성은 시료 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7일에는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함에 따라 노화도는 증가하였는데, 들깻잎 분말 무첨가군의 노화도가 296.36%로 가장 낮았으며,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라 5% 첨가군 306.44%, 10% 첨가군 334.47%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15% 첨가군에서는 320.83%로 다소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fluence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ater Extract on the Shelf Life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Cooked Beef Patties

  • Lee, Cheol Woo;Choi, Hyun Min;Kim, Su Yeon;Lee, Ju Ri;Kim, Hyun Joo;Jo, Cheorun;Jung, Samooe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9-39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water extract (WEP) on the shelf life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cooked beef patties. The WEP contained phenolic compounds (80.65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had half-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s of 0.437 and 4.509 mg/mL for scavenging of DPPH and ABTS+ radicals, respectively. Treatment with 0.6% WEP inhibi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p<0.05).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tioxidative potential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WEP, beef patties were prepared with three treatment groups: (1) beef patties without added antioxidant (control); (2) beef patties with 0.02% ʟ-ascorbic acid (BAA); and (3) beef patties with 0.6% WEP (BWEP). The pH and cooking loss of BWEP were lower and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respectively (p<0.05). When cooked beef patties were stored for 21 d at 4℃, the total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 BWEP was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on all days except day 14 (p<0.05). The TBARS values in BWEP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s on days 7, 14, and 21 (p<0.05). Compared to control and BAA, BWEP had lower L* and b* values and higher a* value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p<0.05). Except on day 0, acceptability was higher in BWEP than in control and BAA (p<0.05). According to results, WEP can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that improves the shelf life and sensorial qualities of meat products.

동결건조 들깻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Prepared with Freeze Dried-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Powder)

  • 윤미향;김경희;김나영;변명우;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11
  • 기능성 소재로서의 들깻잎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들깻잎 분말 0, 3, 6 및 9%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무게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굽기손실률 및 높이는 증가하였다. 넓이는 윗넓이, 밑넓이 모두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머핀의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 b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성 측정결과 경도와 탄력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들깻잎 분말 첨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는 들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능 측정 결과 동결건조 들깻잎 분말 3~6%(w/w)로 첨가할 시 개발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 쑥, 참취의 건분 및 에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형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김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5호
    • /
    • pp.540-55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perilla lea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mugwort) and Aster scaber(chamchui)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orty-nin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05.9$\pm$1.7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th and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5% dried powders of perilla leaf, mugwort and chamchui, or ethanol extracts from the same amount of each dried leaf powder. Food intake was higher in the control and chamchui powder groups than the other remaining group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Food efficiency ratio was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Plasma total lipid and cholesterol, liver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st in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In contrast, dried powders of mugwort and chamchui showed hypolipidemic effects in plasma and liver. Plasma and liver TBARS levels in both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of the three plants were lower than control.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Catalas and GSH-Px activities in erythrocyte and liver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sperimental groups. In erythrocyte. SOD activiteis of all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except the perilla leaf powder group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the chamchui power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mong them. In liver, all the plant groups showed higher SOD activities than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der and ethanol extract groups. In conclusion, the dried chamchui powder and liver. All the dried plant powder and ethanol extract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TBARS levels of liver and particularly plasma. Among the antiocidative enzymes, SOD activity was most responsive to the experimental diets. All the plant groups showed increases in liver SOD activities and there were more increments in dried powder groups. Since the effects of dried powder groups on lipid metabolism were better than those of extract groups, it is plausible that the high dietary fiber level in dried powders was effective. Antioxidativ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rresponding dried power and extract groups, and it was thought that ethanol extracts from three plants also had similar antioxidative effects as dried powderers.

  • PDF

감마선을 이용한 육종 차조기의 항염증 효과 (Effects of anti-inflammatory on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Induced by mutants with γ-Ray)

  • 심부용;박정현;김성규;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88-497
    • /
    • 2019
  • 본 연구는 감마선을 이용한 육종 차조기 추출물을 통해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MTT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으며,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ROS, NO, 염증성 사이토카인, $NF-{\kappa}B$, COX-2 등을 ELISA, Luminex 및 PC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육종 차조기 추출물은 $25{\mu}g/m{\el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ROS, NO, 사이토카인($IL-1{\beta}$, IL-6, $TNF-{\alph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NF-{\kappa}B$, COX-2의 발현을 감소시켜 육종 차조기 추출물은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염증 매개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건강식품 및 치료제의 원료로 개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