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teaching-learning progra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9초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 금융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 차지혜;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297-31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igh school home economics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and validation by expert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first selecting learning content elements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an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The next step was to categorize these elements into seven themes and apply the backward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2.0. The program was prepared in the form of a 21st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and workbook and was verified by nine home economics teachers with work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average value for all questions was 3.81 (out of 4 points) and the CVR was .99, indicating that the program was valid. In addition, positive evaluations were received in terms of learning goals, content level, and learner participation by cla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a systematic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o improve the financial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t can therefore be used as an elective course (mini-course) in Home Economic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follow-up study w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improvement in financial literacy after implementing this program.

감사성향 함양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인성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수업 적용의 효과 분석 (Development & the analysis of application effect of middle school HE text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cultivating gratitude disposition)

  • 김성교;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35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 의생활 단원에서 감사 성향을 함양시킬 수 있는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5차시 인성교육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전후에 감사 성향 수준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 5차시 분을 개발하여 가정교육 전문가 3인에게 타당도를 검정 받아 수정 후 완성하였으며, 이후 경북 소재의 모 중학교 2학년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 1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5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전후 감사 성향 수준을 조사하였다. 감사 성향 척도는 McCullough 등의 GQ-6를 이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검증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수업 전 학생들의 감사 성향의 평균은 2.87(5점 만점)이었으나, 수업 후 감사 성향 평균은 3.35로 향상되었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따라서 감사 성향 함양을 위한 가정과의 수업이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 개방형 질문 분석에서도 수업을 통해 평소 생각하지 못했던 주변사람과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으며, 감사하는 마음을 되새길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이 좋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감사 성향 이외의 다른 긍정적 정서와 친사회적 능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정과 인성교육용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의생활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교수 학습과정안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수학과 수행평가과제의 개발 및 적용이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n the Learning Attitude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 Focused on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 정재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61-74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nd to apply them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 also intend to know the students'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 mathematics. In order to satisfy this study, I develop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nd the standard program of marking about the mathematical function and statistics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 After examining the students' basic investigation, their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 mathematics, I applied these developed tasks to them After that I put both class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to operation in all 15 periods. I set up two classes of the first grade students (49 students) at J middle school in Kongju, Chungcheongnam-do as a mode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wing to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function and statistics, the teachers can operate the assessment system as a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we can change the students'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 mathematics affirmatively. And by using these tasks, we can help the students to think mathematically. In this way,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realize the real value of mathematics and have a growing interest in mathematics through all these meaningful processes. Judging from this study, we can elevate the students'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and improve teaching-learning method by apply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o them. Thanks to these tasks, the students will be changed affirmatively in their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 mathematics. I think that these tasks are very good assessment method which can call forth curiosity and interest. Besides, they can also help the students realize the real value of mathematics.

  • PDF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참여에 대한 학습동기 요인 연구 (Exploring the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on Learner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e-Learning)

  • 박정현;박지수;손진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3권1호
    • /
    • pp.28-34
    • /
    • 2024
  • 이러닝은 학습자 자율에 의해 진행되므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학습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학습참여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동기와 학습참여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대가치이론과 자기주도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학습동기의 구성요소(학습가치, 비용, 자기조절, 일정관리)가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닝 프로그램을 MoodleCloud에 구축하였고, 학습자는 설문에 답한 후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로그데이터로 산출한 학습참여점수와 설문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은 학습가치와 일정관리이며, 학습가치에 대한 생각은 남녀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학습자가 이러닝 학습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게 인지할수록, 학습자 스스로 일정관리 능력이 있을수록 학습에 많이 참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교수·학습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이러닝 중도 탈락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 김원경;문소영;변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381-406
    • /
    • 2006
  •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is aim,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ilished as follows. (1) How is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n the mai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2) What is mathematics teachers'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rvey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 7mathematics teachers who were answered to questionnaire. Among them, 3 volunteers were chosen by provinces for in-depth interview.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re as follows. First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have much of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newly added and change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change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irdly,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use of technology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are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But, they stick on their own way.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belief are as follows. Firstly, many mathematics teachers view the nature of statistics as a branch of the applied mathematics and put the value of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on the practical usefulness, Secon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understanding concepts and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are the best meth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should cause motivations and interests in order not to give up study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findings can be used to chang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o improve teachers training program.

  • PD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and Stable Diffusion as a tool to recommend picture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 Soo-Hwan Lee;Ki-Sang S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09-2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인 ChatGPT와 Stable Diffusion을 활용하여 교사가 입력한 수업 주제어에 따라 교수·학습용 그림 자료를 추천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교육적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구현한 프로그램은 키워드 당 30가지 내외의 그림 자료를 추천하였으며 부적절한 그림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필터링 되었다. 전체 그림자료 추천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6분 내외이다. 대체로 키워드와 관련된 그림을 추천해 주었으며 추천한 그림 속의 글자는 글자를 나타내려는 의도만 알 수 있고 글자를 인식하고 뜻을 알 수는 없었다. 그러나, 추천되는 그림의 종류나 내용이 ChatGPT의 응답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과 모든 키워드에 대한 그림을 정확하게 추천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점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추천된 그림이 키워드와 관련된 것은 사실이나 교육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는 인간 교사의 판단에 맡겨야 할 논의의 대상이라고 결론지었다.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한 놀이교육 프로그램 개발 (Play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 박혜진;김귀옥;김용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9-27
    • /
    • 2019
  • 본 연구는 교수체제개발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모형을 활용하여 협동학습과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행이 가능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내부 연구진, 교수설계 전문가, 내용 전문가의 검토 및 수정 과정을 거쳐 개발된 최종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디자인 및 계획 세우기, 놀이 공간 모형 만들기, 전시회 준비 및 작품 감상하기의 총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놀이공간을 또래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본 프로그램의 목적으로 세웠다. 개발된 놀이교육 프로그램은 충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놀이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 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본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포함한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가치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놀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놀이교육 및 프로젝트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TEM based approach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이혜숙;민주영;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37-362
    • /
    • 2013
  • 본 연구는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습 및 진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과학, 기술 공학, 실생활과 연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M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자기조절력, 가치인식, 자신감)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STEM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이공계 분야로 진로를 설정하거나 탐색하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임상교육의 효과적인 대안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 approache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 신경림
    • 대한간호
    • /
    • 제32권5호
    • /
    • pp.93-105
    • /
    • 1994
  • Nursing is indeed a practice discipline with experiential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reas comprising an overwhelming portion of a Nursing Student's education. The statement is used to provide a basis for discussion of some issues involved in relation to clinical nursing education. However the lack of substantial research in the area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would suggest that this 'heart' of the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education has olng been ign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and analysis then suggest effective approache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 can be developed by faculty consistently. Curriculum design begins with the writing of philosophy and the selection of objectives for the program. The philosophy must include a statement of beliefs and intrinc values about human being. nursing and teaching learning process. Second. faculty practice can be narrowed practice-theory gaps. Third. clinical teaching strategies can be used many different methods in order to facilitat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Fourth, clinical teacher's rols can influenc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intrinsic value; relating to students as mature individuals; creating an atomosphere where in the student felt comfortable approaching the instructor; providing support crisis situations. Fifth. clinical nursing evaluation can be developed the integrated models.

  • PDF

체험경제이론에 의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Perceived Valu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 김미정;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24
    • /
    • 2022
  •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