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group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3초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웹 사이트의 이용 패턴 분석 및 그룹 간 비교 분석 (Usage Pattern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among User Groups of Web Sites Using Process Mining Techniques)

  • 김슬기;정재윤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14
    • /
    • 2017
  • 오늘날 많은 서비스 지원이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웹 사이트의 이용 및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방문자들의 이용 패턴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PI Challenge 2016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접속 로그를 분석하여 이용 패턴 분석 및 이용자 그룹별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데이터는 네덜란드 고용보험사(UWV)의 IT 시스템의 웹 사이트 접속 로그를 제공하며, 고객의 인적 정보, 해당 기관의 웹 사이트를 사용할 때의 고객 행동을 설명하는 클릭 데이터 등의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 고객의 사용 패턴과 고객 그룹 간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교사, 목사 및 교환수들의 음성발성에 대한 음향분석학적 특징 (Acoustic and Stroboscopic Characteristics in Teachers, Clergies and Telephone Operators)

  • 진성민;박상욱;이정우;이경철;이용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58
    • /
    • 1998
  • Objectives : To compare the voice quality and voice problems of untrained professional voice user groups with that of normal control group without voice problem.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stained vowel sounds of 13 male and 36 female teachers, 46 clergies and 15 telephone operators, and 40 normal male and 20 normal female persons were analyzed, using a videostroboscopy and acoustic analyzer. Together with these analyses, a questionnaire associated with risk factors for current and past voice problems was handed over to the patients. Results : The most common symptom in subjective groups was the voice fatigue. In stroboscopic examination, the professional voice user groups shelved functional voice disorder findings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voice use. In the clergy and teacher using loud voice, vocal polyp, vocal nodule and hyperfunction of laryngeal muscle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clergy and telephone operator, jitter and shimm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emale teacher, the value of jitter, fundamental frequency variation and fundamental frequency were statis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voice of male teacher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s in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studies. Conclusion : In the management of voice problems for untrained professional voice user group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exact causes and patterns of voice problems, and to be individualized th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auses.

  • PDF

다양한 형태의 웹 탐색도구의 이용자집단간 비교효용성 및 평가에 관한 연구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and evaluation study of user groups of the various web search tools)

  • 박일종;윤명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7-1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ffering appropriate system and training program to helf the system designer and the trainer in addition to analyze information use behavior about the web search tools and evaluate the estimated system by user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ircledS1$ It is desirable to consider age than other demographic variables in the case of web search tool. $\circledS2$ It is desirable to design Directory Search Tool in the case of web search tool which serves the student user group. $\circledS3$ An Intelligent Search Tool is mo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who are using keyword search tool than any other tools. $\circledS4$ A discussion about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web information should be accomplished soon because users feel confused in using web search tools due t o absence of standard mode of classification about classified item. $\circledS5$ Librarians need the cognition about data on internet s a source of information and need positive service and user training program about these information because student users hardly get help from librarians or library orientation for learning method to use web search tool. $\circledS6$ Internet use experience and years of computer use had effect on their use ability when using web search tool, whereas computer use experience, library use experience and Online Public Access Catalogs (OPAC) use experience had no effect on it. Especially, OPAC use experience had no effect on use ability of web search tool of student user group because student user groups had no information about internet and web search tool and they did not recognized the difference about search method between web search tool and OPAC. $\circledS7$In the case of web search tool, it si important to index the increasing web resource automatically by a searching robot. But in the case of student users, web search tool is much more needed to index by index expert due to the absence of ability about selecting and combining keyword.

  • PDF

사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콘텐츠 품질요인의 차이 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s of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Quality Factors and User Satisfaction on Mobile Contents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 김은동;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957-1968
    • /
    • 2013
  • 본 연구는 모바일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인들을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용성, 정확성, 적시성, 오락성, 경제성, 보안성 등의 품질요인을 가지고 자기효능감, 혁신성향, 몰입성향, 사회문화적 영향 등의 사용자 특성별로 실증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사용자 특성은 성향의 고/저에 따라 각각 2집단씩 총 8집단으로 분류하고, 품질요인과 만족도와의 관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분석한 결과, 유용성은 사용자 특성에 상관없이 대체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기효능감, 혁신성향, 몰입성향이 높은 집단들에서는 유용성, 오락성이 공통적으로 만족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특성이 낮은 집단들에서는 네 개의 집단 모두 유용성, 정확성이 공통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도 사용자 특성이 높은 집단들에서는 대체적으로 적극적으로 자신이 필요한 정보 서비스 콘텐츠를 사용하며, 낮은 집단들에서는 대체적으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콘텐츠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증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A System Algorithm for Recommending User-Customized Games

  • Son, So-hui;Lee, Im-kyeong;Huh, Jun-ho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3호
    • /
    • pp.145-150
    • /
    • 2017
  • Recently, game compani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exactly figuring out the right consumer groups for their games. To solve this problem, a system algorithm which recommends user-customized game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entered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Game developers will be able to clearly determine the consumer group(s) of both on and off-line games through accumulated data while consumers can find the game they desire. It is expected that the gaming culture will advance further with the proposed algorithm.

어린이도서관 공간요소의 중요도 평가 (An Evaluation of importance of Spatial Factors in Children's Libraries)

  • 강미희;홍현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9-243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도서관의 공간요소를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문가집단 및 이용자집단의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국내외 관련단체 및 협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간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구조화하여, 공간요소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2개의 평가영역과 127개의 세부지표로 구조화된 공간요소에 대해 어린이도서관 사서, 유아교육학 전공자, 초등학교 사서교사, 건축학 전공자 등 네 집단의 전문가와 영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등 세 집단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집단은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세부지표 127개 중 120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이용자집단 역시 12개의 평가영역 모두와 127개 세부지표 중 2개를 제외한 125개를 3.0 이상으로 평가하여 지표로서의 중요성을 증명하였다. 셋째, 전문가집단과 이용자집단 간의 중요도 평가결과, 12개 평가영역 중 2개 영역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과 사용자 수용간의 상황적 관계분석 (A Contingent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User Acceptance)

  • 서건수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3-55
    • /
    • 2001
  • It is generally agreed that realizing the full potential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ISM) requires careful identification of customer needs and expectations. However, a quantitative framework to explain and predict users' behavior toward ISM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because the research on the user acceptance of IS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study proposes a model which uses factor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of ISM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user acceptance of ISM. Predictive models based 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elect the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user acceptance. Results show that five factors including economy, convenience, credibility, reliability, information risks, and performance risks affects user acceptance. In addi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innovativeness, playfulness, and recreational shopping traits have both direct and interaction effects on user accept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lthough user attitudes towards ISM characteristics in general are important to their acceptance behavior, the level of importance depends upon different user groups.

  • PDF

생성형 AI에 관한 인식 및 집단간 차이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garding Generative AI)

  • 노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5-21
    • /
    • 2024
  •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활용 및 사용자 그룹 간 차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사용자 그룹 간 차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각 사용자층에 대한 AI 활용 역량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검증 결과, 연령별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전문적 배경에 의한 집단 간에는 생성형 AI 활용 분야와 생성형 AI의 윤리적 관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전문 분야에 따라 다른 AI 솔루션 제공 및 맞춤형 교육 훈련 필요성, 윤리적 고려에 대한 특별한 교육과 문화 형성 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연령대별, 전문 분야별로 다른 방식의 AI 활용 및 활용 역량 개발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기여를 했다고 사료된다.

이용자 행태분석 기반의 SaaS 서비스 발전 전략 (Development Strategy of SaaS Service based on User Behavior Analysis)

  • 서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73-78
    • /
    • 2012
  •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과 진화는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기여한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기술 중에 하나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관점에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이해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주로 사업자의 입장에서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 수익 모델의 발굴, 기술 발전에 따른 전망 등에 초점을 맞추어져 왔고 정작 서비스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SaaS 서비스의 이용자 측면에서 서비스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SaaS 서비스의 발전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aaS 서비스 이용자를 현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군과 현재에는 SaaS 서비스를 이용하지는 않지만 향후에는 서비스를 이용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잠재 이용자군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행태분석 결과 기반의 SaaS 서비스의 발전 전망, 발전 전략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협력적 여과 시스템에서 귀납 추리를 이용한 순위 결정 (Ranking by Inductive Inference in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 고수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9호
    • /
    • pp.659-668
    • /
    • 2010
  •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새로운 사용자의 행위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흥미로워할 아이템을 추천해주기 위해서 사용자들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찾아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귀납적 추리 방법을 제안하고, 추리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아이템의 순위를 결정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귀납적 기계 학습 방법인 NMF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학습시켜서 모든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군집시키고, 각 그룹으로부터 카이제곱을 이용하여 그룹의 특징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귀납 추리 방법의 하나인 베이지언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가 입력한 평가값과 각 그룹의 특징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적합한 그룹으로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결측한 아이템을 대상으로 로치오(Rocchio)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아이템의 순위를 결정한다.